깨끗한 마을 인증제 추진” | |||||||||||||||||
6월 말까지 분과위별 논의 | |||||||||||||||||
농림축산식품부가 공개한 각 분과위원회별 주요 논의내용에 따르면 행복농촌분과위원회는 농촌 삶의 질 향상, 농촌 일자리 창출, 농촌 중심지 활성화, 마을 정주여건 개선, 취약계층 맞춤형 복지지원 강화, 농촌 공동경영체 활성화를 주요 과제로 선정해 논의하고 있다. 삶의 질 향상을 위해 마을회관 리모델링 및 활성화, 농촌형 교통체계 구축 등의 방안을 모색하고 있고 깨끗한 농촌을 만들기 위해 깨끗한 마을 인증제 등을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기업의 농업참여 등을 논의하고 있는 희망농업분과위원회에서는 “원칙적으로 일정 규모 이상의 기업에 대해서는 정부자금을 지원하지 않아야 한다”는 방향으로 의견이 모아졌다. 다만 일자리 창출, 지역경제 활성화, 경쟁력 제고 등 기업 참여의 장점을 살려나가며 기존 농가와 상생하는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 또 스마트농정분과위원회에서는 정책사업과 농어업회의소 운영 연계를 강화하는 것을 비롯해 농어업회의소 지원근거의 필요성 등이 제기됐으며 농식품 통계·행정자료·지리정보를 종합 연계한 빅데이터 구축 및 활용 등도 논의됐다. 국민사랑축산분과위원회에서는 지속가능한 축산기반 확립 방안, 축산식품 수급 및 유통구조 개선방안, 사료비 절감 방안, 가축질병 근절 방안을 주요 논의과제로 선정하고 각 현안별로 해법을 찾아가고 있다. 식품·소비자분과위원회에서는 식품산업과 외식산업 발전 방향, 한국 식문화 정립 및 확산, 신뢰받는 소비자·식생활 정책 방향 등을 논의하고 있다. 농식품부는 각 분과위원회별로 6월 말까지 논의해 도출된 과제별 개선방안을 향후 농업·농촌 및 식품산업 발전계획에 반영한다는 계획이다.
| |||||||||||||||||
“통일대비 쌀 120만톤 비축 제도화, 수요확대 필요” (0) | 2013.06.27 |
---|---|
농민과 소비자 아우르는 농업의 새로운 시스템·환경 조성할 때 (0) | 2013.06.27 |
농어촌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해 - 동국대 윤성이 (0) | 2013.06.27 |
초록마을 만들기는 ‘여럿이 함께’정진 청주충북환경운동연합 풀꿈도서관장 (0) | 2013.06.24 |
경남 농업의 미래 ‘친환경 생태농업’2015년까지 집중 육성 (0) | 2013.06.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