좋은 NGO 란 무엇이며 어떻게 해야 하나?
1) 자율적 시민사회를 만든다. 시민사회 내부에 삶의 공간을 만들어 내는 일. 시민사회는 다른 영역(공공과 시장)과 협조하면서도 스스로 독립성을 갖추어야 한다. 권력이나 돈의 논리에 의해서가 아니라 공익성과 자발성에 의한 참여의 에너지가 형성되어야 한다.
2) 긍정적이고 적극적인 역할을 모색하는 단체가 되어야 한다. 좋은 시민단체는 정부영역(1섹터)과 시장의 영역(2섹터)에 대해서 비판하고 대안을 제시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내부 민주주의를 함양하여 솔선수범하는 역할을 담당해야 한다.
3)지역에 뿌리를 내리는 단체가 되어야 한다. 공중에 떠 있어서는 안된다. 지역의 시민사회를 건설하고 지역의 민심과 민의를 대변하며, 시민교육에 힘 쓰면서 동시에 전국적인 연대와 국제적인 연대를 도모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또한 분야도 전문화해서 지역에 다원적인 NGO 가 만들어지고 그들 사이에 협의기구를 만들 수 있다.
4)경영체제를 갖고 있는 NGO 가 되어야 한다. 회원과 직원, 경영책임자 등이 효율적으로 결합할 수 있는 경영체제를 형성하고 있어야 한다.권력이나 이윤을 추구하는 것이 아니고 공익을 추구하는 것이지만 한정된 자원을 가지고 단체의 사명과 목적을 성과있게 달성해야 한다.
5) 사명감 있는 실무자들이 있어야 한다. 좋은 NGO 의 목적은 사람을 변화시키는 것이다. 세상을 변화시키기 위해서는 변화시키려는 사람들이 먼저 변화해야 한다. NGO가 고임금을 제공하는 것이 아니기에 직원들이 특별한 직업의식과 사명감을 키워 나갈수 있도록 배려해야 한다.(자신의 사명을 글로 적도록 한다)
6) 조직 내부에 협동체제와 민주주의가 확립되어 있어야 한다. 일하는 과정의 중요성을 알아야 하고 이 과정에서 중요한 것은 내부의 민주주의와 협동정신이다. 좋은 NGO는 서로가 서로를 존중하며 협력해서 일하는 시스템을 개발하고 그 시스템을 작동시키고 개선하는데 부단한 노력을 경주해야만 한다.
7) 목표와 비전이 뚜렷해야 한다. 목표와 비전이 있어야만 올바른 NGO의 길을 갈수 있다. 비전과 목표를 분명하게 설정해야 하고, 그것을 문서의 형태로 만들어 일정한 기간마다 재점검하는 프로그램을 운영해야 한다.
8) 좋은 NGO는 “좋은 사람들의 모임”이라고 말해도 된다. 그런 점에서 좋은 NGO는 인재를 키우기 위해서 존재한다고 말할 수 있다. 사실 사회를 개선하는 가장 확실한 방법은 좋은 사람을 키우는 일이다. 이런점에서 사회교육 활동에 특별한 관심을 쏟아야 한다.
9) 리우데자네이루에서 열린 지구환경회의는 각 지방에 “지방의제 21”을 만들 것을 제안했고, 우리나라에서도 지방자치단체와 기업, 시민단체들이 모여 민관합동의 지방의제 21을 만드는 성과를 거두었다. 그러나 환경문제만이 아닌 지역의 정보화, 지식, 교육, 문화 등 모든 민생의제를 지방의제화 함으로써 미래 지향적인 지역발전의 청사진을 만들어 나가는 오력을 전개해 나가야 한다. 이처럼 특정한 사안에 대해서는 지방자치단체 또는 행정과 파트너십을 형성해 일하는 경험을 쌓는 일도 필요하다.
10) NGO는 프로그램으로 말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좋은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것을 통해 시민들과 공감대를 만들어 나가야 한다. 좋은 프로그램을 만들기 위해서는 지역사회의 현안문제와 시대정신이 무엇인지를 알고 있어야 하고 더 나아가 그런 것을 미리 예감할 수 있는 능력을 길러야 한다. 좋은 NGO는 先知者적 역할을 자임하지 않으면 안 된다. 따라서 지식과 정보를 토대로 한 先行者라고 할 수 있다. 그것이 홀로 하는 것이 아니라 이웃과 함께 한다는데 특성이 있고 그것을 매개하는 것이 프로그램이다.
11) 국제적 수준의 NGO 가 되어야 한다. 이제 사람들은 한나라의 시민인 동시에 국제시민이다. 따라서 범지구적 문제를 풀어 나가는 책임은 정부와 국제기구와 함께 시민사회와 NGO 에게도 함께 주어지고 있다. 이러한 각성은 국가(정부와 의회)와 시민사회의 관계를 재정립해 나가고 있다. 좋은 NGO의 역할은 이처럼 막중하므로 좋은 NGO를 만들고 운영하는 방법을 익혀야 한다.
지방자치제도와 앞으로의 과제 (0) | 2016.12.30 |
---|---|
지방자치발전위, 시군구 통합 효과성제고 자치현장 (0) | 2016.12.30 |
새로운 지방분권운동을 위한 제언 (0) | 2016.12.30 |
지방분권을 위한 서울시 자문기구 출범 (0) | 2016.12.30 |
지방자치론 (0) | 2016.12.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