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당신의 1%가 완주의 희망”…1% 기부 희망릴레이 시작

전북 소식/완주군 소식

by 소나무맨 2016. 4. 27. 06:28

본문

 


 

“당신의 1%가 완주의 희망”…1% 기부 희망릴레이 시작

완주군 공익적, 대안적 금융제도 ‘1111 사회소통기금’ 출범

(완주=뉴스1) 박효익 기자 |2016-04-26 17:35:05 송고

26일 완주군청 옛 관사 ‘어울림’에서 ‘1111 사회소통기금’ 출범식이 진행되고 있다. 완주군은 소득에 관계없이 군민 누구나 참여하는 기부 문화를 확산시키고 지속가능한 공익적 재원을 마련해 복지·환경·문화·교육 등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다양한 사회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사회소통기금을 조성키로 했다.(완주군 제공)2016.04.26/뉴스1 © News1 박효익 기자

완주군이 ‘1% 기부 희망릴레이 대장정’을 시작했다.

군은 26일 ‘당신의 1%가 완주의 희망이 됩니다’란 슬로건으로 ‘1111 사회소통기금’ 출범식을 개최했다.

이날 출범식은 군민과의 소통 공간으로 조성된 옛 관사 ‘어울림’에서 박성일 완주군수, CB재단 김택천 이사장과 이근석 센터장 및 언론인, 기부자 등 2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진행됐다.

완주군 사회소통기금은 소득에 관계없이 군민 누구나 참여하는 기부 문화를 확산시키고 지속가능한 공익적 재원을 마련해 복지·환경·문화·교육 등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다양한 사회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안적인 금융제도다.

기금은 성격에 따라 사회사업기금과 사회투자기금 등 투-트랙으로 분리·운영된다. 완주 커뮤니티비즈니스 재단은 사회사업기금의 모금과 배분을 담당하고 완주군청 일자리경제과가 사회투자기금을 운영하게 된다.

사회사업기금은 군민 모두가 100원·1000원·1만원 또는 소득의 1%를 기부하는 형태 및 민간 협찬 등으로 마련될 예정이다.

사회투자기금은 21일에 제정된 사회적경제지원에 관한 조례에 근거해 조성된다. 기적립된 10억원과 매년 5억원을 출연해 2018년까지 총 20억원을 조성한다는 게 군의 계획이다.

사회사업기금은 복지사각지대 발굴·지원 및 의료·생계를 지원하는데 쓰이며 사회소통기금은 다양한 사회적 프로젝트 추진 및 사회적 경제조직에 대한 투·융자사업, 중간지원조직 협력사업을 발굴, 지원하는데 이용된다.

박성일 군수는 “우리지역의 미래를 주민 스스로가 필요에 의해서 만들어간다는 새로운 관점으로 한 사람 한 사람이 완주의 구성원이라는 자긍심을 갖고 전군민이 100원·1000원·1만원 또는 소득 1%를 기부하는 문화가 확산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박 군수는 완주 사회소통기금 제1호로 매달 월급의 1%를 정기 후원하기로 하고 증서에 서명했다.

완주 박효익 기자

 

 

완주군 1% 기부 희망릴레이 시작
2016년 04월 26일 (화) 염재복 기자 yeom1113@sjbnews.com
 


완주군의 1% 기부 희망릴레이가 시작됐다.

군에 따르면, 지난 26일 군청 어울림에서 ‘당신의 1%가 완주의 희망이 됩니다.’라는 슬로건으로 『1111 사회소통기금』 첫 발을 내딛었다고 밝혔다.

이 날 출범식은 군민과의 소통을 위하여 주민에게 관사를 내어주고 마련한 ‘어울림’에서 열렸으며, 박성일 완주군수, CB재단 김택천 이사장과 이근석 센터장 및 언론인, 기부자 등 20여명이 참석했다.

완주군 사회소통기금은 소득에 관계없이 군민 누구나 참여하는 기부 문화를 확산시키고 지속가능한 공익적 재원을 마련하여, 복지·환경·문화·교육 등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다양한 사회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안적인 금융제도이며. 성격에 따라 사회사업기금과 사회투자기금 등 투-트랙으로 분리·운영되며, 완주 커뮤니티비즈니스 재단에서는 사회사업기금의 모금과 배분을 담당하고, 완주군청 일자리경제과에서는 사회투자기금을 운영하게 된다.

「사회사업기금」은 군민 모두가 ‘100원·1,000원·10,000원 또는 소득 1%’ 기부와 민간 협찬 등 모금을 통해 기금을 마련할 예정이며, 「사회투자기금」은 지난 4월21일에 재정된 사회적경제지원에 관한 조례에 근거하여 추진될 계획이며 기적립된 10억과 매년 5억원을 출연하여 ‘18년까지 총 20억원을 조성할 계획이다.

박성일 완주군수는 출범식에서 “우리지역의 미래를 주민 스스로가 필요에 의해서 만들어간다는 새로운 관점으로, 한 사람 한 사람이 완주의 구성원이라는 자긍심을 갖고 전군민이 100원·1,000원·,10,000원 또는 소득 1%를 기부하는 문화가 확산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완주 사회소통기금 제1호인 박성일 완주군수는 매달 월급의 1%를 정기 후원하기로 하고 증서에 서명하였으며, 군은 사회소통기금 마련을 위한 ‘1% 기부 희망릴레이’를 지속적으로 이어간다는 계획이다. /완주=염재복 기자 yeom1113@sjbnews.com

------------------------------------------------------============================================================================================================================================


완주군, 1111 사회소통기금 출범 14시간전 | 전북도민일보

완주군의 `1% 기부 희망릴레이 대장정`이 시작됐다. 완주군은 26일 군청 어울림에서 `당신의 1%가 완주의 희망이 됩니다`라는 슬로건으로 `1111 사회소통기금` 첫 발을 내딛었다고 밝혔다. 이...

  • 14시간전 | 전북도민일보

    완주군은 ‘호남의 금강산’이라 불리는 대둔산에서 4월부터 오는 10월까지 ‘대둔산 산악문화행사’를 개최한다. 매월 마지막 주 토요일에 열리는 이번 행사는 산악행사와 문화행사로 나눠지며,...

  • 12시간전 | 뉴스1 | 다음뉴스

    26일 완주군청 옛 관사 ‘어울림’에서 ‘1111 사회소통기금’ 출범식이 진행되고 있다. 완주군은 소득에 관계없이 군민 누구나 참여하는 기부 문화를 확산시...

  • 권순택 | kwon@jjan.kr / 최종수정 : 2016.04.26 23:03:22
    ▲ 박성일 완주군수가 26일 군청 어울림카페에서 1% 기부를 통한 희망나눔 기금 조성과 관련, 관계자 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완주군이 1% 기부를 통한 희망나눔 기금조성에 나섰다.

    군은 26일 군청 어울림카페에서 박성일 완주군수와 김택천 완주 커뮤니티비즈니스
    재단 이사장과 이근석 센터장을 비롯 기부자 등 2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당신의 1%가 완주의 희망이 됩니다’라는 슬로건으로 1111 사회소통기금 조성에 첫 발을 내딛었다.

    완주군표 사회소통기금은 소득에 관계없이 군민 누구나 참여하는
    기부 문화를 확산시키고 지속 가능한 공익적 재원을 마련해 복지·환경·문화·교육 등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다양한 사회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안 금융제도이다.

    사회소통기금은 기금은 성격에 따라 사회사업기금과 사회투자기금 등 투
    트랙으로 분리·운영되며 완주 커뮤니티비즈니스 재단에서는 사회사업기금의 모금과 배분을 담당하고 완주군청 일자리경제과에서는 사회투자기금을 운영하게 된다.

    사회사업기금은 군민을 대상으로 100원·1000원·10000원 또는 소득 1% 모금을 통해 기금을 마련할 예정이다. 또 사회투자기금은 지난 4월 21일에 재정된 사회적경제 지원에 관한 조례에 근거해 이미 적립된 10억과 매년 5억원을 출연해 2018년까지 총 20억원을 조성할 계획이다.

    사회사업기금은 복지사각지대 발굴·지원 및 의료·생계를 지원하고
    공유경제 사업을 위해 조성되며 사회소통기금은 지역 공동체 활성화를 위해 다양한 사회적 프로젝트 추진 및 사회적 경제조직에 대한 투·융자사업, 중간지원조직 협력사업을 발굴 지원한다.

    박성일 완주군수는 이날 완주 사회소통기금 제1호로 매달 월급의 1%를 정기 후원하기로 작정하고 증서에 서명했다. 완주군은 사회소통기금 마련을 위한 1% 기부 희망릴레이를 지속적으로 이어갈 계획이다.

    박성일 완주군수는 “완주 군민 한 사람 한 사람이 더불어사는 공동체 사회를 만들어 갈 수 있도록 100원 1000원 10000원, 또는 소득 1%를 기부하는 문화가 확산되길 소망한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전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
















  •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