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백인백색, 색을 통해 그를 알다

정치, 정책/미래정책과 정치 전략

by 소나무맨 2014. 8. 4. 11:31

본문

[트렌드인사이트] 백인백색, 색을 통해 그를 알다

Link to Trend Insight :: 마이크로트렌드부터 얻는 마케팅, 비즈니스(사업) 아이디어 영감

 


 

백인백색, 색을 통해 그를 알다

Posted: 24 Jul 2014 07:00 PM PDT

색채 심리의 이론에 따르면 사람들은 자신의 감정에 따라 마음에 드는 색채도 달라진다고 한다. 기분이 우울한 날에 밝고 선명한 색의 옷을 선택하는 것은 우울한 기분과 반대되는 색을 선택함으로써 이 색을 통해 우리의 마음을 달래고 남들에게 우리의 기분을 드러내지 않으려는 심리가 작용한다.

또한 우리는 색에 따라서 우리의 감정이 바뀌는 것도 알 수 있다. 인터넷 상에서 화제가 되었던 식욕 떨어지는 사진을 기억하는가. 파란색 떡볶에, 파란색 자장면 등은 보기만해도 식욕이 떨어지는 듯한 기분을 느낄 수 있다. 이것은 단순히 원래의 색이 아닌 파란색의 음식이기 때문에 식욕이 억제되는 것이 아니라 파란색이 인간의 식욕을 억제하는 색이기 때문이다.

이렇듯 사람은 의식하지 못하지만 색에 의해 감정의 변화를 경험하고 감정의 변화에 따라 색을 결정한다. 자신의 기분에 따라 보고 싶은 색이 달라지며 그때마다 다른 색을 선택하고 있다. 색은 단순히 사물의 빛깔을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한 사람의 감정을 표현하기도 하고 그 사람의 감정을 달래주기도 한다. 그 사람의 색을 알면 그 사람의 감정을 알고 그 사람의 감정을 색을 통해 바꿀 수 있다.

 

나의 색을 정해주는 Color Selector

Color Selector란 기존에 소비자가 자신이 원하는 색을 그때마다 선택해서 나타낼 수 밖에 없었던 제품을 소비자 감정을 분석하여 즉각적,자동적으로 그들에게 맞는 색을 나타내 주는 제품이다. 소비자의 감정은 매 순간 변화하고, 그 변화한 감정은 그때마다 매번 다른 색의 상품을 원한다. Color Selector는 매 순간 변화하는 소비자의 기분에 즉각적, 자동적으로 반응하여 소비자에 맞는 색을 표현해 주는 제품이다.

  • 얼굴만 봐도 아는, Mood Lamp

Click here to view the embedded video.

 

Mood Lamp는 이탈리아의 개발자 Vittorio Cuculo가 개발한 소비자 감성에 맞춰 변화하는 전등이다. 이 제품은 컴퓨터에 부착된 카메라가 사용자의 표정을 분석하여 그것을 전등의 색으로 나타내 준다. 이 시스템은 사용자의 눈썹 모양, 눈동자의 움직임, 그리고 입술의 움직임을 토대로 사용자의 기분을 분석한다.

유난히 피곤함이 느껴지는 날에는 어두운 색의 전등을 켜 놓으면 휴식을 취하기가 더 쉽다. 그리고 기분이 좋을 때에는 밝은 색의 전등이 내 주위를 밝혀준다면 내가 하는 활동이 좀 더 재미있게 느껴진다. 내 기분에 따라 색을 바꿀 필요가 없다. Mood Lamp는 스스로 나의 표정을 보고 내 기분에 맞춰 전등에 색을 바꿔준다.

  • 뇌파를 분석하는, high-tech Happiness Blanket

111

이 담요는 British Airways에서 business class를 이용하는 손님들에게 제공하는 담요이다. 사용자가 착용한 헤드셋에서 사용자의 뇌파를 분석하여 감정을 파악하면, 담요의 색이 사용자가 가장 편안함을 느끼도록 파란색에서 빨간색까지 변화한다. 이 담요를 이용하여 British Airways은 고객이 어떤 부분에서 불편을 느끼고 편안함을 느끼는 지 파악할 수도 있고 사용자는 자신의 감정 상태에 따라 변화하는 담요의 색에 의해 편안함 감정을 느낄 수 있다.

각자가 좋아하는 색의 담요가 있듯이 각각의 기분에 따라 가장 알맞은 색의 담요가 있다. high-tech Happiness Blanket은 사용자의 변화하는 감정에 따라 즉각적으로 가장 알맞은 색으로 변화한다.

  • 피부로 느끼는, Skin

222333

Skin은 뉴욕에서 열리는 Harvest Works gallery의 프로젝트 중 하나이다. 방문객은 자신의 손을 정해진 장치에 가져다 놓으면 이 장치는 피부의 습기를 데이터로 변화하여 소리와 이미지로 나타낸다. 방문객이 편안한 상태이면 파란색의 이미지를 나타내고, 반면에 사용자가 긴장을 하고 있는 상태에선 오렌지 색의 이미지를 보여준다.

이 프로젝트는 사용자가 느끼는 감정을 분석하여 그것을 소리와 색으로 표현한 것으로 사용자는 자신의 기분에 따라 변화하는 색을 볼 수 있다. 매 시간 변화하는 사용자의 상태를 방 안의 색을 변화시킴으로써 나타낸다.

 

색을 통한 감정의 맞춤, 무드마이징

위에서 소개한 사례는 각각의 방식으로 사용자의 감정을 분석하고 그것을 토대로 색을 표현해 준다. 사용자에게 가장 필요로 하는 색, 혹은 사용자의 감정을 그대로 나타내는 색을 표현해 주는 상품이다. 기존 상품이 할 수 있는 색의 표현은 사용자가 직접 색을 선택하여 색을 표현하는 방법이었다. 하지만 이 사례들은 제품이 매 순간 변화하는 사용자의 감정을 분석하여 즉각적,자동적으로 그들이 필요로 하는 색을 나타낸다. 지금까지의 방식과는 다른 색의 표현이 가지는 비즈니스적 가치를 무드마이징 상품이라는 아이디어로 제시한다.

무드마이징이란
소비자가 원하는 색을 즉각적으로 표현
색의 표현을 통해 사용자의 기분까지 만족
매 순간 변화하는 소비자의 기분에 맞춰 색을 표편해주는 서비스

무드마이징이란 소비자가 원하는 색, 혹은 소비자의 감성에 맞춘 색을 표현해 주는 서비스이다. 이전의 서비스에서 소비자는 자신이 원하는 색을 직접 선택하여 표현하지만 무드마이징 서비스는 제품이 사용자를 분석하여 그들의 감정에 맞는 색을 표현해 줌으로써 사용자의 기분까지 만족시켜주는 서비스이다. 소비자의 감정은 항상 변화하고, 그 변화한 감정은 그때마다 매번 다른 색의 상품을 원한다. 무드마이징 상품은 매 순간 변화하는 소비자의 기분에 자동적즉각적으로 반응하여 소비자의 감성에 맞춰주는 상품이다.

기분이 우울한 날에는 밝고 활발한 분위기의 술집을 찾기보단 어둡고 차분한 분위기의 술집을 찾게 된다. 소비자는 자신의 기분에 따라 있고 싶어하는 곳이 달라지고 그것은 집에서도 마찬가지이다. 편안한 조명을 설치해 놓은 집에서는 휴식을 취할 때에는 조명을 유용하게 쓸 수 있지만, 기분에 맞춰 여러가지 조명을 설치 해 놓는 것은 힘들다.

이런 상황에 무드마이징 상품은 사용될 수 있다. 사용자의 감정에 맞춰 즉각적인 변화를 이끌어 내는 무드마이징 상품은 집 안의 인테리어에서 사용될 수 있다. 집에 들어 갔을 때, 나의 기분에 맞춰 가장 편안한 공간을 제공해 주는 집은 다양한 형태의 인테리어를 할 필요도 없고 다양한 분위기를 내는 소품을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 무드마이징 제품은 한정된 공간에서 다양한 분위기의 인테리어를 자신의 기분에 맞춰 제공해 준다.

무드마이징 상품은 소비자의 감정 변화에 즉각적으로 대응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것은 여러가지 상황에 맞춰 스스로 준비해 놓지 않아도 자동적으로 자신의 감정을 분석하여 자신에게 알맞은 분위기를 제공해 준다. 매 시간 변화하는 소비자의 감정에 알아서 맞춰주는 똑똑한 무드마이징 상품은 스스로의 시간이 부족한 현대인들에게 필수적인 상품이 될 것이다.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