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렌체 메디치 궁전에 있는 베노초 고촐리의 ‘동방박사의 여정’(la Cavalcata dei Magi, 1461). 성경에 나오는 동방박사 세 사람의 행렬에 메디치가(家) 인물들을 그려 넣었다. 맨 앞이 로렌초 메디치, 바로 뒤가 그의 아버지 피에로 메디치 1세, 그 옆의 당나귀를 탄 인물이 메디치 가문을 일으킨 코지모 메디치다. 마키아벨리는 코지모 메디치를 ‘피렌체의 참주’로 간주했고, 동일한 맥락에서 그는 당시 지식인들과는 달리 카이사르를 로마공화정 ‘최초의 참주’라고 비난했다.
[마키아벨리 다시 읽기](2) 포르투나(fortuna)와 비르투(virtu)--곽준혁 | 숭실대 가치와윤리연구소 공동소장 (0) | 2013.11.05 |
---|---|
[마키아벨리 다시 읽기](3) ‘다수’와 ‘소수--’곽준혁 | 숭실대 가치와윤리연구소장 (0) | 2013.11.05 |
[마키아벨리 다시 읽기](5) ‘로마’냐 ‘베네치아’냐--곽준혁 | 숭실대 가치와윤리연구소장 (0) | 2013.11.05 |
[마키아벨리 다시 읽기](6) 체사레 보르지아--곽준혁 | 숭실대 가치와윤리연구소장 (0) | 2013.11.05 |
[마키아벨리 다시 읽기](7) 지롤라모 사보나롤라--곽준혁 | 숭실대 가치와윤리연구소장 (0) | 2013.11.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