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점포에 백수라면 http://adfree99.cafe24.com 에서 창업하고, 소호창업마케팅샵에서 홍보를 마스터한다.
>
[중앙일보 이종민] 지방대학의 위기가 심각하다. 우수한 학생들은 하나같이 서울에 있는 대학으로 몰리고 있다. 입학이 어려우면 편·입학을 해서라도 지방대학이라는 '낙인'을 지우려고 기를 쓰고 있다. 좋은 평가를 받는 교수들도 수도권 대학을 기웃거리기는 마찬가지다. 지방대학을 서울 진출을 위한 교두보쯤으로 여기는 교수가 하나둘이 아니다. 여건이 여의치 않아 '여우가 신포도 타령'하듯 자기 합리화를 하지만 대부분 지방이라는 족쇄를 벗어 던지지 못해 안달이다.
연구기반의 부실은 더 말할 나위가 없다. 시설도 열악하지만 사람이 없는 것은 더욱 문제다. 대학원 과정도 명함을 화려하게 장식하고 싶은 정치꾼이나 사업가들이 있어 명맥이나마 유지하는 것이지, 함께 연구할 인력을 확보하기가 여간 어려운 일이 아니다. 실제로 아시아권 유학생들이 없다면 지방대학의 대학원 과정은 모두 문을 닫아야 할 실정이다.
사정이 이런데도 지역 언론은 '교수 때리기'에 열중하고 있는 듯해 안타깝다. 얼마 전만 해도 논문인용 색인 통계 수치를 들먹이며 1면 머리기사로 '지방대학 교수들 공부 않는다'고 보도했다. 통계가 지니는 의미를 제대로 새기지 못하면서 단편적 수치로 전체를 매도하고 있다. 지방의 열악한 여건은 고려하지 않고 서울과 비교해 지방대학의 위상을 실추시키고 있는 것이다. 지방대학, 특히 지역거점 국립대학의 이러한 사정은 국립대학의 법인화가 가시화되면 훨씬 심각해질 전망이다. 열악한 지방의 경제적 여건 등이 바로 대학의 부실화로 직결될 것이기 때문이다.
문제는 지방대학의 위기가 단순히 교수나 학생들의 문제에 그치지 않는다는 데 있다. 지방대학의 쇠락이 바로 지방의 붕괴로 이어지고, 이는 다시 지방대학의 부실화를 재촉하게 된다. 이러한 악순환의 고리를 끊기 위해서는 대학은 물론 지방정부나 언론, 주민들이 뜻과 힘을 모아야 한다. 아울러 지방대학의 위기가 중앙-지방의 구조적 모순과 얽혀 있다는 인식을 분명히 하고, 이를 타개할 수 있는 방안을 함께 모색해야 한다. 지역의 세를 키우기 위해 주민등록을 옮기는 등 눈 감고 아웅 하는 식의 얄팍한 행태를 그만두고, 그러한 열의를 지역의 대학을 키우는 데 써달라고 주문하고 싶다.
각 지방에서 열을 올리고 있는 기업 유치도 교육 인프라의 확충 없이는 그 효력을 기대할 수 없다. 예를 들어 성공적인 소리축제도 우리 음악에 대한 교육 저변의 확대를 통해서만 기대할 수 있다. 대학이 살아야 기업도, 축제도 제 역할을 다할 수 있는 것이다. 다시 말해 지방대학이 살아야 지방이 살고, 지방이 살아야 나라가 산다. 지방대학 살리기를 통해 지방 공멸의 위기를 극복하는 일에 지방정부와 언론은 물론 중앙정부가 힘을 보태야 하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이종민 전북대 교수·영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