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이 살아야 나라가 산다 | |
| |
지자체 농수산예산 국비 비중 커 그런데 현재의 예산구조와 집행방식은 빠르게 발전하는 지방자치제도의 속도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고, 전체의 한 부분으로서 지방의 발전에도 큰 제약이 되고 있다. 구조적으로 말이다. 중앙 눈치보느라 자체사업 저조 충청남도의 2013년 농수산 예산을 예로 들어 살펴보자. 충남의 전체 농림수산 사업비는 1조1151억 원이며, 이 중 업무추진비, 유지관리비 등과 같은 경상경비를 제외한 사업비 규모는 대략 1조890억 원이다. 이 중 국비가 전체 예산의 42.5%, 시·군비는 26.6%, 자부담이나 융자가 18.7%이며, 도비 비중은 1322억 원으로 총사업비의 12.1% 수준이다. 얼핏 보아도 국비 비중이 커도 너무 크다. 때가 되면 지방자치단체장들은 정부청사를 제집 드나들 듯 해야 하고, 국비 확보가 도지사, 시장 군수들의 능력을 평가하는 잣대가 된지 오래다. 더 큰 문제는 사업비 확보를 위해서 너나없이 치열한 유치전쟁을 치러야 하고, 일단 확보하고 보자는 식의 무리한 사업추진은 개성 없는 성과주의와 전시행정을 양산한다. 구조적으로 말이다. 충남도가 쓰고 있는 농수산 예산 중 도비 1322억 원의 쓰임새는 어떤가. 많다면 많고, 적다면 적다. 어쨌거나 도비의 37.6%인 496억 원은 이런 저런 국비사업에 붙고, 시·군비에는 57.8%인 764억 원이 붙는다. 그러다보니 도 자체적으로 하는 사업은 61억 원 규모로 전체 사업비의 4.6%에 불과하다. 맏형한테 사정사정해서 막내동생 잘 챙겨주는 구조니 지방에서 하고자하는 사업보다는 중앙정부에서 하고자하는 사업에 치중할 수밖에 없는 구조다. 필요 없는 사업은 안 받아도 된다지만, 행여나 괘씸죄로 눈 밖에 나지나 않을까 하는 걱정에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것이 현실이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지방농정의 맏형이다. 맏형이 해야 할 일은 제대로 하고 있나? 충남도민들이 받고 있는 직불금은 쌀소득 직불금, 밭농업 직불금, 친환경농업 직불금, 조건불리지역 직불금, 경관보전 직불금, 벼 재배농가 경영안정 직불금까지 6가지다. 물론 모두 받는 것은 아니다. 이 중 쌀소득, 밭농업, 친환경농업 직불금은 전액 국비로 지원된다. 쌀소득 직불금이 1106억 원으로 가장 많고, 그 뒤로 밭농업 직불금은 58억 원, 친환경농업 직불금은 39억원 규모다. 그리고 국비에 도비, 시·군비가 합쳐져서 지원되는 것이 조건불리지역 직불금과 경관보전 직불금으로 각각 12억원과 22억원이다. 문제는 100% 지방비인 도비와 시·군비만으로 충당되는 벼 재배농가 경영안정 직불금이다. 이 직불금은 충남 도민들이 발의해 만든 조례로 현재 시행되고 있다. 그 예산 규모는 286억 정도로 도가 30%인 86억 원, 15개 시·군에서 나머지 70%인 200억 원을 부담하고 있다. 충남도 전체 농업예산의 6.5%나 되니, 맏형의 일을 떠안고 있는 셈이다. 예산 구조적 문제 혁신 급선무 이런 구조적 문제를 혁신하지 않는 한 우리나라 농정은 끝도 없는 제자리걸음에서 벗어나기 어렵다. 고등학생이 다된 동생한테 초등학생 옷을 입힐 수는 없는 일이다. 중앙정부는 지방에서 하기 어려운 문제들을 큰 틀에서 묶어 우리의 농업·농촌·농업인들이 지속가능할 수 있도록 기반을 조성하는 일에 치중해야 한다. 대표적인 것이 직불제이다. 그리고 동생들이 할 일을 제대로 할 수 있도록 과감한 양보가 필요하다. 지금은 그것이 맏형다운 모습이다. 지방이 살아야만 나라가 산다. |
지방 발전 후 수도권 규제완화" -안희정 충남지사 (0) | 2013.09.24 |
---|---|
] 대선에 地方이 보이지 않는다-이재윤 편집부국장 (0) | 2013.09.24 |
[사설] 지방재정 살아야 지방자치 실현된다 (0) | 2013.09.24 |
"지방경제 살아야 나라 미래있다"-이병석 국회부의장 (0) | 2013.09.24 |
지방이 살아야 나라가 산다--권익현 전북도의회 의원 (0) | 2013.09.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