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 음식창의도시 1년 명암 (상) 성과가 없다비빔밥 가격 낮추기 수년째 제자리 / 한정식 外 새 메뉴 발굴도 지지부진
전주시가 유네스코 음식창의도시(UNESCO City of Gastronomy)로 지정된 지도 벌써 1년을 훌쩍 넘겼다. 지난해 5월 전주시는 세계에서 네번째로 음식창의도시의 영예를 얻었다. 이미 전국적으로도 '맛의 고장'으로 공인받고 있는 전주시는 음식창의도시 지정을 계기로 '전주음식이 한국음식의 세계화를 이끌 수 있는 계기를 마련했다'는 기대감을 키울 수 있게 됐다. 하지만 음식창의도시 지정 이후에도 아직은 가시적인 성과가 없다는 실망감도 없지 않다. 이에 본보는 음식창의도시 지정 이후 전주시의 노력과 성과 등을 가늠해본다.
유네스크 창의도시란 '문화적 도시환경과 문화·예술·지식정보산업 분야에 인적 자원 등 충분한 기반을 갖추고 도시 안에서 다양한 네트워크를 통해 독자적인 성장을 추구하는 도시'를 말한다.
지난 2004년 10월부터 시작된 유네스코 창의도시 네트워크 사업을 통해 문학·음악·민속공예·디자인·영화·미디어·음식 등 7개 분야에 걸쳐 뛰어난 창의성으로 인류문화 발전에 기여하는 각계의 도시들이 차례로 영예를 얻었다.
전주시는 지난해 중국 청두·콜롬비아 포파얀·스웨덴 오스터순드에 이어 세계에서 네번째이자, 국내에선 처음으로 음식창의도시가 됐다.
전주시는 이 같은 기세를 몰아 '대한민국 음식수도, 전주'를 슬로건으로 내걸고 8대 전략·47개 세부사업을 담은 청사진을 제시한 바 있다. 8대 전략은 △음식문화서비스 개선 △전주음식 인력양성 △음식 개발지원인프라 구축 △음식발전협력체계 구축 △전주음식산업화 △전주음식경연대회 △전주음식 관광상품화 △음식창의도시 홍보 등이다.
시는 세부적으로 전주음식 시민평가단을 구성해 전주판 미슐랭가이드를 추진하고, 비빔밥·한정식 등 전주음식에 대한 계보정리를 통해 정통성을 확립하겠다고 공언했다. 또 비빔밥과 한정식 이외에 전주를 대표하는 향토음식을 추가 발굴하는 한편 시민이 보존해온 음식문화재와 스토리를 발굴·전시하는 시민음식문화 전시회도 계획중이다. 지난 4월에는 '시민이 주축이 돼 창의적인 전주음식을 개발·보급하자'며 유네스코 전주음식창의도시 시민네트워크를 창립하기도 했다.
하지만 전주시의 야심찬 계획이 제대로 성과를 내지 못하면서 시민들의 체감도가 떨어지고 있다는 지적이 두드러진다. 특히 최근 몇년째 계속되고 있는 비빔밥 가격 논란이 여전히 수그러들지 않고 있다는 점에서 '대체 뭐가 바뀐거냐'는 볼멘소리도 나온다.
실제로 전주시는 올해초부터 전주지역 비빔밥전문점 업주들을 대상으로 토론회를 개최하고 '전주비빔밥이 다른 지역에 비해 2000원 가량 비싼 반면 소비자들의 만족도는 낮다'는 조사결과를 내놓으며 비빔밥가격 낮추기를 시도했지만 별다른 성과를 내지 못하고 있다.
또 지난해 하반기부터 '전주지역 음식점과 숙박업소 이용객들의 의견을 청취하겠다'며 다중이용시설 10곳에 고객의 소리함을 운영하고 있지만 이마저도 별다른 성과를 내지 못하고 있다.
음식분야의 한 전문가는 "전주시의 음식창의도시 지정이 지난해 5월 이뤄진 만큼 후속대책이 가시화되기에는 시간이 부족하다"고 전제하면서도 "비빔밥가격 논란이 여전하고, 새로운 전주음식도 발굴되지 못하고 있다는 점에서 음식창의도시 지정 직후의 부푼 기대감이 상당부분 수그러든 것은 사실"이라며 "전주시의 대책이 필요해 보인다"고 지적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