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막 위에 세워지는 친환경 도시가 있다? 흔히 중동하면 기름이 콸콸~ 흘러나오는 사막을 연상하실텐데요. 이 곳에 석유를 배제한 친환경 도시가 들어서고 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아랍에미리트연합(UAE)의 한 국가인 '아부다비'가 만들고 있는 마스다르(Masdar). 마스다르는 기름을 국가의 주요 에너지 자원으로 삼고 있는 아부다비에서 새롭게 시작하는 친환경 도시 프로젝트랍니다. 2008 년 2월부터 짓기 시작한 마스다르는 기존의 석유 자원 사용을 줄이고, 친환경 에너지를 극대화한 도시로 시작되었는데요. 어떤 모습일지 한 번 알아보도록 할까요?
|마스다르 시티 조감도 - 이미지 출처 : http://jfenton4.com
마스다르는 아랍어로 ‘자원(resources)’이라는 뜻을 의미하는데요. 화석 연료를 사용하지 않고, 도시 자체가 에너지원이 된다는 뜻을 담고 있다고 합니다. 마스다르의 전체 면적은 6.5㎢쯤으로 여의도 보다 조금 작은 규모인데요. 마스다르가 눈길을 끄는 이유는 친환경 도시라는 특성 때문만은 아닙니다. 마스다르는 단순한 친환경 도시로 육성되는 것이 아니라, 세계 석유의 9%가 매장된 석유 부국인 아부다비가 석유가 고갈되는 시대를 대비해서 계획하는 친환경 프로젝트이기 때문이랍니다.
|마스다르 시티의 주요 에너지원 태양광 발전 - 이미지 출처 : http://www.envirocomp.ae
도시의 주요 에너지원은 태양인데요. 사막이라는 특성상 햇볕이 하루 종일 내리 쬐는 곳이다 보니 태양 에너지만큼 유용한 친환경 자원이 없겠죠? ^^ 도시에서 사용하는 에너지의 90% 이상이 태양에너지를 통해 공급된다고 합니다. 마스다르는 모든 건물 위에 태양광 발전 패널이 설치된답니다. 태양을 이용하고서도 모자라는 에너지는 풍력, 폐기물 발전 등을 통해 보충하도록 되어 있죠~ 또한 마스다르는 빌딩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줄일 수 있도록 만들어져 일반적인 건물에 비해 탄소를 56%정도 줄일 수 있다고 합니다. 마스다르 시티는 완공 후 태양광 발전 및 태양열 발전 등으로 도시 에너지의 90%이상을 충당할 계획이라고 해요.
|마스다르 시티의 완공 후 예상 모습 - 이미지 출처 : http://mindfirst.com
사막이라는 척박한 기후에서 에너지 사용을 줄이기 위해서는 냉방 효율을 높이는 것은 필수겠죠? 그래서 도시 주변에는 사막의 모래 바람을 막기 위해 나무를 심고 벽이 설치된답니다. 또한 도심 곳곳에 녹지를 만들고 분수 등을 설치해 도시 기온을 낮추는 방법도 고려되고 있죠. 건물은 에너지 효율을 높이기 위해 10층 이하로 짓고, 자연환기 및 자연채광을 적극적으로 활용한답니다. 또한 건물 자체에 풍력 및 태양열 발전 시스템을 설치해 지속적으로 에너지를 만들어 내죠.
|마스다르 시티의 완공 후 예상 모습 - 이미지 출처 : http://mindfirst.com
마스다라는 사막에 지어지는 도시의 특성상 물도 아껴쓴답니다. 사막이다 보니 물이 절대적으로 부족한데요. 이렇게 부족한 물은 바닷물을 담수화시켜서 사용하며 사용한 물은 정수과정을 거쳐 다시 도심 조경 등에 재활용한답니다. 기존 도시보다 물 사용량을 절반 이상 줄일 계획이라고 해요.
|마스다르 시티의 주요 운송 수단인 친환경 자동차 - 이미지 출처 : http://mindfirst.com
도시의 주요 교통수단이 될 무인 전기자동차 개인용 운송수단(PRT; Personal Rapid Transit)도 있답니다. 먼 거리를 이동할 땐 지하 전용도로를 달리는 친환경 자동차를 이용하거나 PRT(Personal Rapid Transit)를 이용해 달린답니다. PRT를 이용하면 마스다르 시티 내 목적지를 7분 안에 갈 수 있다고 합니다.
|마스다르 시티의 완공 후 예상 모습 - 이미지 출처 : http://mindfirst.com
마스다르 시티는 현재 공사가 진행중인데요. 사막이라는 척박한 기후 환경에서 친환경 도시를 만들어 내려는 노력이 얼마나 성공을 거둘 수 있을지 기대되는 계획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태양 에너지가 가득한 사막의 특성을 극대화해서 친환경 도시로 만들어나가는 마스다르의 노력. 몇 년 후의 마스다르 시티는 어떤 모습일지 궁금하네요.^^
마스다르 시티는 3무(無)도시를 원칙으로 가지고 있다고 합니다. 바로 자동차, 쓰레기, 온실가스 배출이 없다는 의미인데요. 기름이 콸콸~ 흘러나오는 산유국에서 벗어나 친환경 도시로 탈바꿈하려는 그들의 노력이 어떤 성과를 거둘 수 있을지 기대됩니다.^^
[송도IBD 도시시리즈] 탄광 도시에서 새로운 태양의 도시로 떠오르다! 독일 겔젠키르헨 (0) | 2013.08.30 |
---|---|
[친환경 건축] 발리에는 대나무로만 만든 학교가 있다~? 친환경 건축의 아름다움. 이부쿠(IBUKU) (0) | 2013.08.30 |
[송도IBD 도시 시리즈] 전기요금이 달랑 200원? 광주 신효천 마을 (0) | 2013.08.30 |
[송도IBD 도시 시리즈] 세계에서 가장 혁신적인 친환경 도시, ‘브라질 쿠리치바’! (0) | 2013.08.30 |
[송도IBD 도시 시리즈] 지속가능한 친환경 도시의 대표 모델, 스웨덴 말뫼! (0) | 2013.08.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