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 세계적으로도 유례없는 급속한 인구고령화를 경험하고 있으며 저출산 경향의 지속과 평균수명의 연장, 그로 인한 인구·사회학적 변화와 함께 머지않아 닥칠 인구감소가 한국경제에 미칠 미증유의 영향과 정책과제에 대한 학문적·정책적 관심이 날로 커지고 있다.
노동공급 감소와 고령화, 저축·부의 감소 그리고 성장둔화 과정에서 청년층과 정부의 사회보장 비용부담의 증가 등은 인구고령화가 진행됨에 따라 기업과 정부뿐 아니라 각 개인에게도 더욱 큰 압력으로 작용할 것이다.
2004년 발간한 『고령화의 경제적 파급효과와 대응과제』에 이은 본서는 최근 각 부문에서 증대하고 있는 고령화 연구와 정책수요에 부응하여 미진한 부분을 보완하고 기업의 인력활용 방안 등에 대한 내용을 추가하였다. 또한 연구과정에서 이루어진 구체적 정책현안에 대한 세미나와 토론회의 내용도 함께 담아 참고하도록 했다.
이를 통해 독자들은 급속한 고령화에 따른 경제부문에의 영향과 대책에 관한 종합적이고 균형 잡힌 시각에 접하는 한편 새롭게 추가되거나 구체성과 심도를 높인 각 연구와 논의내용들을 통해 각자가 처한 구체적 현안과 대안들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을 것이다.
유럽복지모델 발전과 개혁의 시사점 (0) | 2013.06.20 |
---|---|
상속세, 경제적 기회균등 보장하는가? (0) | 2013.06.20 |
규제연구 2005년 제14권 제1호04. 퇴직의사결정의 자율성을 보장하기 위한 연금수급제도의 개선방안 (0) | 2013.06.20 |
고령화의 경제적 파급효과와 대응과제 (0) | 2013.06.20 |
한국농업의 발전과 기업역할의 모색 (0) | 2013.06.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