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고령화의 경제적 파급효과와 대응과제

정치, 정책/복지정책, 문화 기획

by 소나무맨 2013. 6. 20. 11:32

본문

  • 도서명
    고령화의 경제적 파급효과와 대응과제
  • 저자
    이수희 · 박성준 · 남주하 · 조장옥 · 김상...
    보고서 구분
    연구보고서
  • 주제
    경제정책일반, 기업경영, 노동시장, 인구/복지
    발간일
    2004.01.20
  • 원문
    04-02.pdf 04-02.pdf
    조회
    4725
    • 발간형태
      신국판 336쪽
    • ISBN
      89-8031-291-1 
      가격
      15,000 
    • 언어
      국문
    • 주문
      아이콘 구분
    old/1/K001010/200609/20060915143823_72995
    글자 크게 글자 작게 추천 메일발송 스크랩 인쇄

    고령화 사회로 이행한 선진국에서 찾아볼 수 없는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는 한국의 인구고령화는 공적 사회보험 확대를 비롯한 사회안전망의 확충, 외환위기 이후 본격화되고 있는 기업의 구조조정과 노동시장의 변화, 주5일 근무제의 점진적 정착에 따른 '삶의 질' 추구현상과 더불어 모든 경제주체들에게 선진국 경험 이상의 다각적인 충격과 파급효과를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평생근로기간의 단축과 은퇴 후 기간의 장기화 추세로 연금제도의 구조적 개선이 요구되며 노령가구주의 증가는 가계소비와 저축행태에 변화를 가져와 이를 감안한 중장기 거시경제정책 및 기업의 마케팅전략의 수립이 절실해지고 있다. 기업은 내부노동시장과 외부노동시장에서 고령인력을 포함한 가용인력의 범위를 확장할 뿐만 아니라 효율적인 임금관리를 노동생산성 제고와 연계시키는 구체적인 대책에 보다 많은 관심과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한국의 인구고령화와 관련된 현안들에 대한 기초적이고 실질적인 분석을 통하여 각 경제주체들의 정책적 판단에 유용한 시사점을 제공하기 위한 노력의 결과이다. 특히 한국경제를 대상으로 처음 시도된 인구고령화의 거시경제모형과 가계단위의 저축, 소비행태에 관한 Cohort 분석, 공적 연금을 포함한 다층적 사회복지시스템 그리고 예상되는 인구감소와 노령화에 적응한 기업의 노동력 활용방안과 일본기업의 사례 등 각 경제주체들이 반드시 참고해야 할 내용을 담고 있다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