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 도 자 료 | ||||
보도일시 |
2012년 10월 18일(목) 조간(10. 17. 12:00 이후)부터 보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
담당 부서 |
국제협력관실 지구환경담당관 |
정은해 과장 / 이연지 사무관 | |||
02-2110-6557 / 6555 | |||||
배포일시 |
2012. 10. 15.(월) / 총 5매 |
세계 기후변화협상의 주역들이 한국에 모인다 |
◇ 환경부, 22일~23일 기후변화장관급회의(Pre-COP18) 개최 - 주요 40개국 장관급 및 거물급 기후변화 인사 대거 참석 - 한국, 카타르와 공동의장으로 국제적 기후변화 대응 방안 논의 - 2012년은 유엔기후변화협약(UNFCCC) 20주년, 교토의정서 15주년으로, 서울에 모여 기후변화 협상의 향후 20년을 그리게 될 것 |
□ 환경부(장관 유영숙)는 오는 22일~23일 이틀간 서울 중구 신라호텔에서 주요 40여 개국 장관급 인사들이 참석하는 기후변화장관급회의(Pre-COP18)를 개최한다.
□ 이번 회의는 기후변화를 주제로 40여 개국의 장관이라는 대규모의 주요 인사들이 한국을 방문하는 최초의 행사다.
○ 크리스티아나 피게레즈(Christiana Figueres) 유엔기후변화협약(UNFCCC) 사무총장, 압둘라 빈 하마드 알 아티야(Abdullah Bin Hamad Al-Attiyah) 카타르 부총리, 마이테 응코아나 마샤바니(Maite Nkoana Mashabane) 남아공 외교장관(COP17 의장), 토드 스턴(Todd Stern) 미국 기후변화 특사, 씨에젠화(Xie Zhenhua) 중국 개발개혁위원회(NRDC) 위원장, 코니 헤데가드(Connie Hedegaard) 유럽 기후변화 장관 등 국제 기후변화협상에 큰 영향력을 미치는 인사들이 대거 참석할 예정이다.
□ 각국 장관들은 이번 기후변화장관급회의(Pre-COP18)에서 기후변화 위기관리의 어려운 현실을 타개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고, 정치적 의지를 재규합할 계획이다.
○ 특히, 2012년은 기후변화에 관한 유엔 기본협약(UNFCCC, 이하 ‘기후변화협약’) 탄생 20주년이자 교토의정서(Kyoto Protocol) 탄생 15주년이 되는 해로 이번 회의 개최에 의미를 더한다.
- 이에 따라 참여인사들은 교토의정서 1차 공약기간(2008-2012) 종료와 2차 공약기간(2013~)을 준비하는 해로서 기후변화협상 역사상 중요한 시점이라는 것을 고려해 회의에 임할 예정이다.
- 아울러, 이번 회의가 2020년 이후부터 적용될 모든 국가가 참여하는 새로운 기후체제에 대한 협상을 시작하는 해에 개최되는 만큼 기후변화협상의 현재를 점검하고 미래를 구상하는 전환점으로 삼을 방침이다.
* 현재 기후변화협약과 교토의정서에서는 각각 부속서Ⅰ, 부속서B에서 의무감축 국가를 명시하고 있으며 대부분의 국가가 선진국 및 동구 경제전환국임
** 2011년 제17차 기후변화협약당사국총회(COP17)에서는 2020년부터는 상기의 의무, 비의무감축국 구분을 없애고 모든 당사국이 의무 감축에 참여하는 새로운 기후변화체제를 만들기로 합의했으며, 이를 ‘더반 플랫폼(Durban Platform)’으로 명명함
□ 또한, 이번 회의는 Post-2020 기후체제 설계에 있어 첫 단추를 끼우는 협상회의로, 향후 온실가스 감축 목표가 국내 산업계 등에 미치는 영향을 감안할 때 국내적 차원에서도 중요한 시점에 개최된다.
○ 이러한 개최시점의 특성을 고려해 한국은 공동의장으로서 기후변화 대응의 현재를 점검하고, 지구온도 2℃ 이하 상승이라는 목표 달성을 위해 무엇을 해야 하는지, 선진국과 개도국의 균형 잡힌 협력을 이끌어내기 위한 방안은 무엇이 있는지 등을 모색할 계획이다.
○ 특히, 그간 녹색성장 등 국제사회에서 녹색 리더십을 바탕으로 적극적 노력한 것이 반영돼 공동의장국 수행을 하게 된 만큼, 선진국과 개도국의 가교역할을 통해 이번 기후변화장관급회의(Pre-COP18)가 12월에 개최될 도하 당사국총회(COP18)의 가이던스(guidance)가 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다.
□ 한편, 이번 기후변화장관급회의(Pre-COP18) 개최는 제18차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18, 2012년 12월, 카타르 도하) 개최를 둘러싸고 한-카타르 간 유치경쟁 끝에 한국이 카타르에 COP18 개최를 양보하면서 결정된 사안이다.
○ 2011년 11월 제17차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17, 2011년 11월~12월, 남아공 더반)에서 성공적 COP18 개최를 위한 사전회의(Pre-COP18)를 한국과 카타르가 공동의장으로 한국에서 개최하기로 하는데 합의했다.
□ 붙임 : Pre-COP 프로그램 및 주요 참석인사. 1부. 끝.
|
이 보도자료와 관련하여 보다 자세한 내용이나 취재를 원하시면 환경부 지구환경담당관 이연지 사무관(☎ 02-2110-6555)에게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
붙 임 |
|
Pre-COP 프로그램 및 주요 참석인사 |
ㅇ 10.21(일), 18:30~ : 환영만찬(환경부장관 주재)
20:00~ : 비공식 협의회의(공동의장, 사무국, 발제국가 등)
ㅇ Day 1(10.22, 월)
시간 |
내용 |
비고 | |
09:00~09:30 |
30' |
개회식(Opening Ceremony) - 개회사 : 환경부장관, 카타르 COP18의장 - 환영사 : COP17 의장(남아공 외교장관) - 기조연설 |
|
09:30-09:45 |
15' |
Coffee Break |
|
09:45-11:00 |
75‘ |
세션 1 : State of play going into Doha - Assuring success - 발제 : UNFCCC 사무총장 발제 |
의장 : 한국 환경부장관 |
11:00-13:00 |
120' |
세션 2 : Reaching the meaningful Second Commitment Period to the Kyoto Protocol - 발제 : KP 작업반 의장 |
의장 : 카타르 |
13:00-14:30 |
90‘ |
오찬(카타르 주재) |
|
14:30-16:30 |
120‘ |
세션 3 : Making Progress on all fronts prior to 2020 - 발제 : LCA 작업반 의장 - LCA 협상트랙에서 합의결과 도출 및 저탄소개발전략 모색 |
의장 : 카타르 |
16:30-17:00 |
30‘ |
Coffee Break |
|
17:00-18:30 |
90‘ |
세션 3 : Continuation of Session3 - 재정 및 이행수단 지원 |
의장 : 한국 환경부장관 |
19:00-21:00 |
120‘ |
만찬(외교부장관 주재) |
|
ㅇ Day 2(10.23, 화)
시간 |
내용 |
비고 | |
09:00-10:30 |
90‘ |
세션 4 : Shaping the future - 발제 : DP 작업반 의장 |
의장 : 한국 환경부장관 |
10:30-11:00 |
30‘ |
Coffee Break |
|
11:00-12:30 |
90‘ |
세션 5: Deliverables in Doha and Beyond : Envisaging the Balanced Package |
의장 : 카타르 |
12:30-13:00 |
30‘ |
폐회식 : 공동의장 요약 및 폐회사 |
|
13:00- |
|
공동 기자회견 |
신라호텔 |
□ Pre-COP 참석 주요 인사(기후변화협상 Key Negotiator)
소속 |
성명 및 직급 |
비고 |
유엔기후변화협약 (UNFCCC) |
Ms. Christiana Figueres 사무총장(Executive Secretary) |
|
미국 |
Mr. Todd Stern 기후변화 특사 |
미국무부 |
카타르 |
H.E. Mr. Abdullah Bin Hamad Al-Attiyah부총리 |
COP18 의장 |
남아공 |
Ms. Maite Nkoana-Mashabane 외교장관 |
COP17 의장 |
Ms. Bomo Edna Edith Molewa 환경장관 |
남아공 수석대표 | |
중국 |
Mr. Xie Zhenhua 개발개혁위원회(NRDC) 위원장 |
장관급 |
유럽연합 |
Ms. Connie Hedegaard 기후변화 Commissioner |
장관급 |
독일 |
Mr. Peter Altmaier 환경장관 |
|
국회기후변화포럼 11월 행사 입니다 (0) | 2012.11.08 |
---|---|
스위스의 환경정책들 (0) | 2012.11.02 |
기후변화시대의 그린빌딩, 잔디지붕모습 (0) | 2012.10.16 |
LED리스사업도입 (0) | 2012.05.13 |
esco 등록업체현황 (0) | 2012.04.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