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LED리스사업도입

본문

 

 

금융권, LED 보급위해 리스제도 도입

공유 :
  • -->
녹색금융 활성화에 나선 금융권이 발광다이오드(LED) 보급촉진을 위해 '리스'제도를 도입하자는 제안을 내놨다. LED는 기존 광원에 비해 수명이 길고 전력이 적게 들어 친환경적이나, 형광등에 비해 초기투자비용이 월등히 높아 대중화되지 못하고 있다. 현재 도입비용의 경우 형광등은 2000원선인데 비해 LED는 10만원선으로 차이가 크다.

산업은행, 여신금융협회, 수출입은행, 한국투자증권, 삼성증권 등 국내 5개 금융기관들은 28일 명동 은행회관에서 열린 '녹색금융협의회 창립회의'에서 'LED보급촉진을 위한 프로젝트 파이낸싱' 방안을 발표했다.

이들 금융권이 제안한 방안은 '그린LED 리스형 제도'다. 우선 시장창출을 통한 가격하락이 급선무라고 보고, 정부, 지방자치단체, 산하기간 등 총 1만699개소의 전 공공기관이 LED사용을 의무화하는 방안을 내놨다. 이들 공공기관이 LED사용을 의무화할 경우 시장창출 효과로 규모의 경제가 만들어지고, 결국 가격하락으로 이어질 것이라는 논리다. 이번 방안에 따르면 시장창출효과는 311만5000대, 약 7조1000억원 규모로 추정된다.

또 공공기관 초기투자비 부담을 없애기 위해 리스형태로 공급하고, 에너지절감량, 운영비절감 등으로 발생한 이익분으로 투자비를 상환하는 구조다.

사업비 마련을 위해 펀드조성 및 이를 관리할 특수목적회사(SPC)도 만든다. 펀드는 투자자에게 약 8.5%의 고정수익이 확보될 수 있도록 만들어지며 SPC는 조성된 펀드로 공공기관에 선투자하고 이용료를 장기로 상환 받는다. 이들 금융권은 이번 사업이 공공기관을 대상으로 하는 만큼 투자자들에게 안정된 수익을 보장, 민간자금이 쉽게 유입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사진퍼가기 이용안내
image

관건은 과연 공공기관들이 LED도입으로 얼마나 경제성을 보장받을 수 있느냐다. 이번 제안을 내놓은 금융기관들은 공공기관 10층 건물에 대한 시뮬레이션(5년 사용 기준) 결과 형광등을 이용할 때보다 약 10%의 비용절감 효과가 나타날 것으로 내다봤다.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