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게티이미지) |
지난해 1인당 국민총소득(GNI)이 3만1000달러를 넘은 것으로 추정됐다.
박양수 한국은행 경제통계국장은 22일 지난해 4분기 및 연간 실질 국내총생산(GDP) 발표 후 설명회에서 “속보치 기준 실질 경제성장률과 환율을 감안하면 지난해 1인당 GNI가 3만1000달러를 상회한 것으로 계산된다”고 말했다.
2006년(2만795달러) 2만 달러 시대에 진입한 이후 3만 달러를 돌파하는데 12년이 걸린 것이다.
특히 그동안 글로벌 금융위기를 거치느라 시간이 더 걸렸다. 우리나라는 1만 달러에서 2만 달러로 넘어가는 데도 12년(1994년~2006년) 걸렸다.
1인당 국민소득 3만 달러 진입은 선진국 대열에 들어섰음을 보여주는 주요 지표로 여겨지지만 우리나라 경제전망은 마냥 밝지만은 않다.
우선 경제성장률이 2%대에 머무르면서 경기활력이 개선되지 않고 있다.
대외여건도 좋지 않다. 미중 무역분쟁과 브렉시트, 중국 성장세 둔화 우려 등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어서다. 국제통화기금(IMF)은 전날 세계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3.5%로 0.2%포인트 하향조정하기도 했다.
스페인과 이탈리아 등 경제 성장세가 오히려 후퇴한 국가들도 있다. 스페인은 3만 달러를 넘었다가 재정위기를 겪으며 한국 다음 순위로 내려갔다. 한국 바로 앞의 이탈리아도 국민소득이 계속 하락세다.
세계은행에 따르면 한국의 국민소득은 2017년 기준 31위다. 인구 2000만명이 넘는 국가 중에서는 미국, 일본, 영국, 프랑스, 독일, 캐나다, 호주, 이탈리아에 이어 9위다.
한편 아직 명목 GDP가 발표되지 않았고 현재 국민계정 기준 년 개편작업을 하고 있어서 변동이 있을 수 있다고 박 국장은 덧붙였다. 2017년 1인당 GNI가 2만9745달러로 기준치가 높아 정확한 3만 달러 돌파 시점은 기준 년 개편 작업 이후 바뀔 수도 있다.
홍보영 기자 by.hong2@viva100.com
1인당 국민소득 3만불 넘었다…둔화된 성장률에는 우려(종합)
하지만 우리 성장률이 둔화되고 있다는 점에서 우려가 나온다. 지난 2017년 3%가 넘었던 실질 경제성장률은 지난해 2.7%로 떨어졌다. 물가 상승률을 반영한 명목 성장률은 20년 만에 최저로 떨어졌다.
자료 : 한국은행 |
한국은행이 5일 발표한 '2018년 4분기 및 연간 국민소득(잠정)'을 보면 지난해 1인당 GNI는 3만1349달러로 전년(2만9745달러)보다 5.4% 늘었다. 원화를 기준으로 보면 3449만4000원으로으로 전년대비 2.5% 올랐다.
1인당 GNI는 국민이 국내외에서 벌어들인 총소득을 인구로 나눈 통계다. 보통 한 나라의 국민 생활 수준을 보여주는 지표로 통한다.
우리나라 1인당 GNI가 3만달러를 넘은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전 세계적으로 인구 5000만명이 넘는 국가 가운데 국민소득이 3만달러를 넘어선 국가는 미국, 일본, 독일, 프랑스, 영국, 이탈리아까지 6개 뿐이었고, 우리나라가 7번째 국가다.
이들 국가들이 2만달러에서 3만달러를 달성하는데 걸린 기간은 평균 9.7년으로 나타났다. 이와 비교하면 우리나라의 3만달러 달성시기 12년으로 길었다. 지난 2006년(2만795달러) 2만달러를 처음 돌파하고 12년 만이다. 글로벌 금융위기의 영향으로 3만달러 달성의 기간이 길어졌다는 것이 한은 설명이다.
인구 2000만명이 넘는 국가만을 기준으로 할 때도 우리나라의 순위(유엔 통계 기준)는 미국, 일본, 영국, 프랑스, 독일, 캐나다, 호주, 이탈리아 등에 이어 9번째다.
과제는 4만달러 달성으로 넘어가게 됐다. 현대경제연구원은 한국이 연간 평균 경제 성장률이 2.5%라면 2024년, 2%라면 2027년 무렵에서 1인당 소득 4만 달러를 달성할 것으로 전망했다. 프랑스와 영국, 일본의 경우 4만달러 달성이 2~3년의 짧은 기간에 달성했지만 이는 환율요인으로 미국과 독일의 경우 9.5년이 걸렸다.
한은도 "2만달러에서 3만달러까지 올라가는 기간에 비해 3만달러에서 4만달러까지 도달하는 기간은 산술적으로 짧을 것으로 보인다. 10년 미만의 기간이 걸릴 것"이라며 "(관건은) 꾸준하고 지속가능한 성장을 유지하는 것이 기본이고 이 과정에서 여러 가지 저출산·고령화나 가계부채 등 구조적 문제를 해소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사진=연합뉴스 |
■둔화되는 성장세는 우려
소득은 지속 증가하고 있지만 성장이 둔화되고 있다는 점은 우려된다.
지난해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은 2.7%로 속보치와 같았다.
지난 2017년 3.1% 경제성장을 달성했던 점을 고려하면 성장세가 둔화된 것이다.
민간소비는 2.8%로 2011년(2.9%) 이후 가장 높았고 정부 소비는 5.6%로 11년 만에 최고였다. 반대로 건설투자는 -4.0%로 1998년(-13.3%) 이후 가장 낮았다.
설비투자도 -1.6%로 글로벌 금융위기였던 2009년(-7.7%) 이후 최저였다. 다만 작년 12월 설비투자가 예상보다 개선되며 1월 속보치(-1.7%)보다 소폭 상승했다.
수출도 4.2%로 속보치(4.0%)보다 상승했다. 지난해 12월 서비스 수출 개선이 반영된 여파다.
실질 GNI는 1.0% 늘었다. 교역조건 악화 때문에 실질 GNI는 2011년 이후 처음으로 실질 GDP 증가율을 밑돌았다. 지난해 국제 유가의 경우 연간 기준 30% 이상 상승해 수입 물가는 크게 올랐으나 반도체 가격 상승률 전년 대비 둔화되면서 수출 물가가 크지 않은 영향이다.
물가 상승률을 반영한 명목 GDP는 지난해 1782조3000억원으로 1년 전보다 3.0% 늘었다. 이는 지난 1998년 -1.1.% 이후 20년 만에 최저치다.
실질 GDP 성장률이 같아도 명목 GDP 성장률이 낮으면 경제주체의 체감경기는 하락한 것으로 평가된다. 물가 상승으로 가계가 늘어난 소득을 체감하기는 어렵기 때문이다. 기업도 영업이익이 덜 늘어난 것으로 느끼게 된다.
실제로 우리나라 포괄적인 물가수준을 나타내는 GDP 디플레이터는 0.3%였다.
한편 총저축률은 34.8%로 1년 전보다 1.4%포인트 하락했다. 2014년(34.5%) 이후 가장 낮았다.
coddy@fnnews.com 예병정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