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뉴욕과 뉴저지의 주민 250만명은 침수지역에 산다. 2m 넘게 물이 차오르는 대홍수는 1800년대엔 500년에 한번 생기는 일이었지만 이제는 25년 주기로 짧아지면서 도심이 물에 잠기는 일이 잦아졌다. 2030년이면 5년마다 찾아오는 일상이 될 수도 있다.
지난 23일(현지시간) 미 국립과학원회보에 실린 이 같은 경고는 얼마든지 현실이 될 수 있다. 연구팀은 그 가능성이 뉴욕에서 1만2800㎞ 떨어진 남극 빙하의 상태에 달려있다고 봤다. 빙하의 연속적인 붕괴로 2300년까지 해수면이 계속 올라면 2280년 뉴욕 도심의 수위는 2.25m까지 올라간다. 사실상 거의 모든 지역이 영구적으로 잠기는 셈이다. 2012년 허리케인 ‘샌디’가 부른 물폭탄이 뉴욕을 강타했을 때 도심의 수위는 2.8m 높아져 182명이 홍수로 목숨을 잃었다.
뉴욕 비영리 도시정책단체 RPA와 록펠러재단이 앞으로 50년간 해수면이 1.8m 상승한다는 가정 하에 브루클린·퀸즈·롱아일랜드·뉴저지의 주택단지를 고지대로 옮긴 주거 밀집지를 제안한 것도 이런 고민에서 나온다. 주거지를 지대가 높은 도로축을 따라 이동시키고, 도로는 고지대 안쪽으로 집중시켜 홍수에 대비하자는 것이다.
지난달 미국 남부를 초토화시킨 허리케인 ‘어마’ 같은 강력 폭풍이 ‘뉴노멀’인 시대. 여기에 해수면 상승이 맞물리면서 대홍수는 전 세계 대도시가 느끼는 공포가 됐다. 특히 20세기 자동차와 함께 등장한 포장도로는 빗물이 흘러갈 수 있는 길을 모두 막았다. 내린 비는 모두 하수도로 수렴한다. 하지만 수십년 빈도의 폭우 수준에 맞춰 대심도 터널을 뚫는다고 해도 온난화에 따른 날씨의 변화 속도에 맞춰 처리하는데는 한계가 있다. 영국 환경단체 CDP는 103개 도시가 기후변화, 도시화에 따른 심각한 홍수 위험에 놓여있다고 발표한 바 있다.
뉴욕의 고지대 구상과 같이 ‘방수 도시’를 만들려는 실험 곳곳에서 진행 중이다.
독일 함부르크의 하펜시티는 ‘수문’으로 물을 차단하고 있다. 해수면보다 불과 4.5~5m 위에 떠 있는 섬과 같은 이 지역은 매년 홍수가 났다. 땅을 버리는 대신 상업공간이 있는 건물은 1층은 창문과 출입구를 강화문으로 설치해 물이 불어나면 문을 닫아 차단하면서 주민 2000명의 거주하고 기업·국제기구의 본부들이 들어온 도심지가 됐다. 수변 산책로에 위치한 유통·전시시설 역시 홍수가 나도 문만 닫으면 안에선 생활이 가능하다. 제방을 쌓는 것보다 비용이 저렴하다는 장점도 있다.
영국 런던 템즈강에도 북해에서 들어오는 폭풍우, 해일을 막는 수문이 곳곳에 있는데 최근 기상변화에 따라 방비 시설을 계속 늘리다보니 지금은 강가에서 17㎞ 이상 떨어진 곳까지 설치됐다. 볼티모어에서 건물들의 지반을 인위적으로 높이고, 로스앤젤레스는 해수욕장과 모래사장을 넓혀 물이 들어올 수 있는 구간을 확대하는 한편 부둣가 산책로 둔턱을 15㎝ 이상 높인 것도 적응의 한 방식이다.
시카고에선 도로를 드러내 물길을 파고 있다. 지난 7월 나흘간 200㎜의 비가 내린 시카고는 21세기 말이면 강수량이 이보다 40%가 늘어날 수 있다는 연구도 있다. 2006년부터 100개의 ‘녹색골목(Green Alleys)’을 만든 것은 빗물이 땅속으로 스며들도록 투과성을 높이기 위해서였다. 로워웨스트사이드에 3㎞가 넘는 길가에 조성된 ‘지속가능한 가로’는 아스팔트를 뜯어내고 대기 오염물질을 분해는 광촉매 시멘트로 길을 냈다. 옆에는 생태 수로도 팠다. 1500만 달러를 투입한 이런 작업으로 강우량의 80%가 하수도를 거치지 않고 땅 속이나 미시간호로 흘러들어가고 있다는 것이 시카고시의 설명이다.
이 지역에서 조경업체를 운영하는 조경사 제이 워맥은 가디언에 “물을 순환시키는 투과성과 침투성을 만드는 방식은 간단하지만 어렵다”며 “한 세기동안 이런 설계를 하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물부족과 홍수를 동시에 겪고 있는 중국은 ‘스펀지 도시’를 실험 중이다. 비만 오면 바다가 된다는 의미인 ‘칸하이(看海) 현상’은 중국의 고질적 문제다. 후난(湖南)성 창더(常德)의 저지대 마을인 양밍에선 주기적으로 범람하는 강물이 지역을 아예 물길로 바꾸는 도시설계를 준비 중이다. 물이 지나는 길을 피해 공간을 내다보니 주택지와 상업지구가 호수 위 섬처럼 배치되기도 한다. 물에 둘러싸인 8개 구역은 생태도로로 연결한다. 배수, 빗물의 저장과 처리. 도시의 구조 자체가 스펀지처럼 이런 기능을 수행하면 땅이 빗물의 60%를 빨아들일 수 있다는 판단이다.
물 위에 떠 있다면 잠길 위험은 없다. 네덜란드의 유명 수상가옥 건축가 쿤 올트후이스는 수 천개의 페트병으로 기초를 다지고 그 위에 컨테이너를 얹었다. 공간확보가 쉽지 않은 수중·수변 빈민가에서 아이들을 위한 교실이나 화장실, 발전소로 쓸 수 있게 고안한 건축물이다. 방글라데시의 다카 수변마을 카레일에선 이 구조물 5개를 띄워 교실과 주방, 태양광 발전소, 화장실이 연결된 단지를 만들었다. 떠다니기 때문에 불법 정착촌 개발이 금지된 경우에도 일시적으로 정부의 허가를 받을 수 있고, 집이 떠내려가는 것을 우려해 투자하지 않는 이들도 설득해 공간을 지을 수 있다.
올트후이스는 “자연과 협력해 물이 원하는 곳으로 흘러가게 하면 홍수에 유연한 도시가 될 수 있다”며 “수륙양용 건축으로 도시의 밀집도를 완화하고 공연장이나 경기장, 보호소 등을 물에 띄워 도시를 보강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김보미 기자 bomi83@kyunghyang.com>
미국 뉴욕과 뉴저지의 주민 250만명은 침수지역에 산다. 2m 넘게 물이 차오르는 대홍수는 1800년대엔 500년에 한번 생기는 일이었지만 이제는 25년 주기로 짧아지면서 도심이 물에 잠기는 일이 잦아졌다. 20..
2017.10.26시속 252㎞ 이상으로 몰려온 초강력 허리케인 ‘어마’가 지난 10일(현지시간) 쿠바를 덮쳤다. 수도 아바나를 물에 잠기게 한 어마는 북부 해안 480㎞를 타고 올라가 바닷가에 줄지어 선 리조트들도 초토화시켰다. ..
2017.09.18시속 252㎞ 이상으로 몰려온 초강력 허리케인 ‘어마’가 지난 10일(현지시간) 쿠바를 덮쳤다. 수도 아바나를 물에 잠기게 한 어마는 북부 해안 480㎞를 타고 올라가 바닷가에 줄지어 선 리조트들도 초토화시켰다. ..
2017.09.18시민 50만명이 모여 연쇄 차량테러로 희생된 이들을 추모하는 행진이 지난달 스페인 바르셀로나 도심에서 열렸다. ‘우리는 두렵지 않다’ ‘이슬람 포비아(혐오)를 거부한다’고 쓴 팻말을 든 행렬 사이로 많은 깃발이 나..
2017.09.05지난달 스페인 바르셀로나 도심에 시민 50만명이 모여 연쇄 차량테러로 희생된 이들을 추모하는 행진을 했다. ‘우리는 두렵지 않다’, ‘이슬람포비아(혐오)를 거부한다’고 쓴 푯말을 든 행렬 사이로 많은 깃발이 나부꼈..
2017.09.05도심 거리에서 차량이 시민을 향해 돌진한다. 무방비 상태인 대상을 무차별하고 잔인하게 공격하는 이 방식은 일상의 공간을 두려움의 장소로 바꾸는 파급력을 가진다. 미국 버지니아주 샬러츠빌에서 지난 12일(현지시간)..
2017.08.16ㆍ프랑스 제3의 항구 도시 하얀 백사장에 불안한 표정의 군인들과 이들을 구하기 위해 요트 등 소형 선박을 몰고 간 시민들. 프랑스의 작은 해안도시 ‘덩케르크(Dunkerque)’를 주목하게 한 장면이다. 1940년..
2017.07.31하얀 백사장에 불안한 표정의 군인들과 이들을 구하기 위해 요트 등 소형 선박을 몰고 간 시민들. 프랑스의 작은 해안도시 ‘덩케르크(Dunkerque)’를 주목하게 한 장면이다. 1940년 5월 영국군의 열흘간 철..
2017.07.31ㆍ아프리카 에리트레아 전기회로 모양 외관의 영화관, 비행기 날개를 얹은 주유소, 입체주의를 구현한 주택. 홍해 연안 동아프리카 작은 나라, 에리트레아의 수도 아스마라는 1930년대 건축가들이 머릿속으로만 그렸던 설..
2017.07.23‘지옥에 온 것을 환영한다.’ 지난 7~8일 독일 함부르크에서 열린 주요20개국(G20) 정상들을 맞이했던 거리 시위대의 깃발 문구만큼이나 이번 회의를 반대하는 시위는 격렬했다. 적게는 5만명, 많게는 10만명이..
2017.07.09그리스 아테네 도심에 6년간 방치됐던 시티플라자 호텔에서 다시 사람들의 목소리가 들린 것은 지난해 봄이었다. 텅빈 7층 건물에 100가구, 400여명이 들어와 터를 잡았다. 절반은 아이들이다. 시리아와 이라크, ..
2017.06.26ㆍ80년대 기간산업 쇠락 후 의학·신기술·에너지 투자ㆍIT기업·대학 등 들어와 녹색혁신도시로 탈바꿈 대낮에도 밤처럼 짙은 어둠이 깔렸다. 거리의 가로등은 24시간 켜둬야 했다. ‘연기의 도시(smoky city)’..
2017.06.05대낮에도 밤처럼 짙은 어둠이 깔렸다. 거리의 가로등은 24시간 켜둬야 했다. ‘연기의 도시(smoky city)’. 뿌연 스모그는 피츠버그에선 번영의 상징이었다. 철강이 가장 유명했지만 알루미늄, 유리 등 산업에..
2017.06.05완주 고산면, 저소득어르신 밑반찬지원사업-- 완주군커뮤니티비지니스쎈터 (0) | 2017.11.29 |
---|---|
바레인, ‘외국인이 살기 좋은 나라’ 1위…한국은 31위 (0) | 2017.11.01 |
전국 438곳.. '죽어가던 도심 살리기' 시작됐다 (0) | 2017.08.21 |
[기후변화를 읽다]"투발루만으로는 극복 불가능"--투발루 국무총리 대행 겸 재무장관 인터뷰 (0) | 2017.08.07 |
간디의 '스와라지'는 주민자치의 또 다른 이름-- 동네 공화국 (0) | 2017.08.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