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GO 등장의 국제적 배경
낙서장
2017.02.06. 10:49 수정 삭제
http://blog.naver.com/tc2848/220928258399
최근에 NGO가 크게 발달하였는데 그 배경에 대해 셀러먼(Lester Salamon)은 1970년대 이후 전지구적으로 NGO 또는 NPO가 발달하게된 배경에 대하여 네가지 위기와 두 가지 혁명으로 설명하고 있다.
네 가지 위기
■ 복지국가의 위기 : 1970년대 두 차례의 오일쇼크를 겪으면서 서구 유럽사회에서는 기존의 복지국가가 위기에 봉착하게 됨에 따라, 시민사회의 NGO도 각종 복지문제를 해결하고 개인의 인간적 욕구를 충족할 수 있는 중요한 사회적 장치가 되었다.
■ 제3세계의 발전위기 : 경제불황으로 야기된 후진국의 빈곤문제를 말하는데 1970년대의 오일쇼크와 1980년대의 경제불황은 제 3 세계의 커다란 경제적 타격을 주었다. 따라서 후진국은 더욱 빈곤해지고 빈곤문제가 커다란 국가적 문제로 부상하여 이러한 공공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시민 사회의 다양한 결사체인 NPO나 NGO가 참여하는 시민사회 모델을 채택하게 됨에따라 각종 NGO가 융성하게 되었다.
■ 환경위기 : 개발도상국가의 환경훼손과 선진국의 소비형태로 인하여 대기 중에 이산화탄소와 질소가 증가됨에 따라 시민들이 스스로 환경 NGO를 조직하여 대기, 토양, 수질 오염을 방지하고 오존층 파괴와 지구온난화를 방지하기 위한 시민 운동을 전개하게 되었다.
■ 사회주의 위기 : 1980년대 후반부터 시작된 사회주의 체제의 붕괴로 인한 국가주의의 한계를 말하며 사회주의가 붕괴되자, 국가의 계획경제 대신에 민간부문이라는 새로운 대안을 선택하였다. 이는 곧 시민사회의 성장과 NGO의 발달을 초래하였다.
두 가지 혁명
■ 경제성장 : 1960년대 이후 경제적으로 볼 때 선진국뿐만 아니라 아시아, 라틴아메리카의 개발도상국가, 아프리카의 후진국까지도 괄목할 만한 경제성장을 이룩하였다. 이는 NGO의 발달에 중요한 중산층이 경제성장을 통하여 크게 늘어 선진국뿐만 아니라, 제 3 세계에서 각종 NGO가 발달할 수 있는 물적 토대가 되었다.
■ 커뮤니케이션 기술의 발달 : 컴퓨터의 발명과 보급, 텔레비젼의 보급, 인공위성의 등장은 세계 구석구석에 같은 이념을 가진 사람들이 서로 의견을 전달하고 교환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였다. 이것은 각종 NGO들이 전세계적으로 이슈를 국제화시키고 서로 연대하여 행동하는 것을 가능케 하였다. 따라서 커뮤니케이션의 발달은 최근 전세계적으로 NGO가 발달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