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살기 좋은 도시 세계 1위는 빈…서울은 72위"

본문

 

 

 

"살기 좋은 도시 세계 1위는 빈…서울은 72위" 

 

 

살기 좋은 도시 세계 1위 오스트리아 빈 (AP=연합뉴스 자료사진)
컨설팅업체 '머서' 주재원 삶의질 평가…부산 90위, 천안 98위 '눈길'

(서울=연합뉴스) 이윤영 기자 = 외국 주재원들이 살기 좋은 세계 도시 순위에서 서울이 72위에 머물렀다.  

세계적 경영 컨설팅 업체인 머서가 4일 발표한 '2015 세계 주요도시 주재원 삶의 질' 조사 결과에 따르면 서울은 삶의 질 순위에서 지난해보다 2계단 오른 72위로 조사됐다.

우리나라 도시 가운데서는 서울 외에 부산이 90위, 특히 천안이 98위에 올라 눈길을 끌었다.  

머서는 예년과 마찬가지로 올해 조사에서도 이른바 '신흥 도시'(emerging cities)들이 순위에 등장했다면서 기술과 대학의 중심지인 천안을 예로 소개했다.

남아프리카 더반(85위), 대만 타이중(99위), 폴란드 브로츠와프(100위), 중국 충칭(142위), 시안(142위) 등도 떠오르는 신흥 도시들로 꼽혔다.

올해 1위를 차지한 도시는 지난해와 마찬가지로 오스트리아 빈이었다. 이어 스위스 취리히, 뉴질랜드 오클랜드, 독일 뮌헨, 캐나다 밴쿠버가 2~5위를 차지했다.

또 독일 뒤셀도르프와 프랑크푸르트, 스위스 제네바, 덴마크 코펜하겐, 호주 시드니가 차례로 10위 안에 들었다.  

아시아에서는 싱가포르가 26위로 순위가 가장 높았으며 이어 도쿄(44위), 고베(47위), 요코하마(48위), 오사카(58위) 등 일본 도시들이 아시아 상위 5위권을 차지했다.

미국에서는 샌프란시스코(27위)의 순위가 가장 높았고 이어 보스턴 34위, 호놀룰루 36위, 시카고 43위, 뉴욕 44위 등이었다.  

이번 조사는 다국적 기업들이 직원들을 외국에 파견할 때 해당 지역의 생활수준이나 삶의 질을 고려해 급여, 수당 등을 산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라고 머서 측이 밝혔다.

도시와 도시 간 객관적인 비교를 위해 뉴욕을 기준도시로 세계 440여개 도시의 정치적 안정성, 범죄율, 환전·은행 서비스 등 경제 여건, 의료 수준, 대기 오염 정도, 교육 및 교통 시스템, 주택 수준 등 총 39개 항목을 비교·평가, 삶의 질 순위를 매기고 있다.

yy@yna.co.kr 

 

 

서울, 살기좋은 도시 72위

주재원 대상 세계 440곳 평가
1위 빈… 부산 90위·천안 98위

서울 등 국내 도시의 거주 경쟁력은 어느 정도일까. 외국인 주재원들의 평가로는 서울은 세계 주요도시 440곳 중 72위였다.


세계적 경영 컨설팅 업체인 머서가 4일 발표한 ‘2015 세계 주요도시 주재원 삶의 질’ 조사 결과에서 한국 도시 3곳이 평가받았다. 서울은 72위, 부산은 90위를 기록했다. 대도시가 아닌 충남 천안은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98위로 평가받아 눈길을 끌었다. 머서는 지난해에 이어 천안을 거론하며 올해도 예년처럼 ‘신흥 도시’(emerging cities)들이 순위에 포함됐다고 밝혔다. 천안은 기술과 대학의 중심지라고 설명했다. 천안과 함께 신흥 도시로 평가받은 도시들은 남아프리카공화국 더반(85위), 대만 타이중(99위), 폴란드 브로츠와프(100위), 중국 충칭(142위)·시안(142위) 등이다.

1위는 지난해와 마찬가지로 오스트리아 빈이 차지했다. 이어 스위스 취리히, 뉴질랜드 오클랜드, 독일 뮌헨, 캐나다 밴쿠버가 2∼5위를 기록했다. 10위권에는 독일 뒤셀도르프·프랑크푸르트, 스위스 제네바, 덴마크 코펜하겐, 호주 시드니가 차례로 이름을 올렸다.

아시아에서는 싱가포르(26위)가 가장 살기 좋은 도시로 평가받았다. 싱가포르를 제외하고는 일본 도시들인 도쿄(44위), 고베(47위), 요코하마(48위), 오사카(58위)가 아시아 5위권을 차지했다. 미국에서는 샌프란시스코(27위), 보스턴(34위), 호놀룰루(36위), 시카고(43위), 뉴욕(44위) 등이 높은 순위에 들었다.

머서는 미국 뉴욕을 기준도시로 삼아 해마다 세계 440여개 도시의 정치적 안정성, 범죄율, 환전·은행 서비스, 의료 수준, 대기 오염 정도, 교육·교통 시스템, 주택 수준 등 39개 항목을 비교해 평가한다.

박종현 기자 bali@segye.com

 

 

‘살기좋은 세계도시 순위’ 서울 72위…1위는 ‘빈’, 부산 ·천안도 순위에
Main page > 사회 > 생활·환경
승인 2015.03.04    저작권자 © 경기일보

살기좋은 세계도시 순위 서울 72위

  ▲ 살기좋은 세계도시 순위 서울 72위, 경기일보DB  
  ▲ 살기좋은 세계도시 순위 서울 72위, 경기일보DB  

살기좋은 세계도시 순위 서울 72위…1위는 빈

외국 주재원들이 살기 좋은 세계 도시 순위에서 서울이 72위에 이름을 올렸다. 

세계적 경영 컨설팅 업체인 머서가 4일 발표한 ‘2015 세계 주요도시 주재원 삶의 질’ 조사 결과에 따르면 서울은 삶의 질 순위에서 지난해보다 2계단 오른 72위로 조사됐다. 
    
우리나라 도시 가운데서는 서울 이외에 부산과 천안이 각각 90위, 98위에 올라 눈길을 끌었다. 

특히, 머서는 지난해와 마찬가지로 올해 조사에서도 이른바 ‘신흥 도시’(emerging cities)들이 순위에 등장했다면서 기술과 대학의 중심지인 천안을 예로 소개했다. 

또 남아프리카 더반(85위), 대만 타이중(99위), 폴란드 브로츠와프(100위), 중국 충칭(142위), 시안(142위) 등이 떠오르는 신흥 도시로 꼽혔다.

살기 좋은 세계 도시 1위는 지난해와 마찬가지로 오스트리아 빈이 선정됐다. 이어 스위스 취리히, 뉴질랜드 오클랜드, 독일 뮌헨, 캐나다 밴쿠버가 2~5위에 올랐다. 

또 독일 뒤셀도르프와 프랑크푸르트, 스위스 제네바, 덴마크 코펜하겐, 호주 시드니가 차례로 10위권 안에 들었다.  

아시아에서는 싱가포르가 26위에 올라 가장 순위가 높았다. 이어 도쿄(44위), 고베(47위), 요코하마(48위), 오사카(58위) 등 일본 도시들이 아시아 상위권에 올랐다. 

미국은 샌프란시스코(27위)의 순위가 가장 높았고 보스턴 34위, 호놀룰루 36위, 시카고 43위, 뉴욕 44위 등의 순이었다. 

이번 조사는 다국적 기업들이 직원들을 외국에 파견할 때 해당 지역의 생활수준이나 삶의 질을 고려해 급여, 수당 등을 산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라고 머서 측은 말했다. 
    
도시와 도시 간 객관적인 비교를 위해 뉴욕을 기준도시로 세계 440여개 도시의 정치적 안정성, 범죄율, 환전·은행 서비스 등 경제 여건, 의료 수준, 대기 오염 정도, 교육 및 교통 시스템, 주택 수준 등 총 39개 항목을 비교·평가, 삶의 질  순위를 매긴다. 

사진=살기좋은 세계도시 순위 서울 72위, 경기일보DB

 

 

 

'세계에서 가장 살기 좋은 도시' 1위는 오스트리아 빈

한국은 서울 72위·부산 90위·천안 98위 올라
머서, '2015 세계 주요 도시 주재원 삶의 질/생활환경' 조사 결과 발표

2015. 03.04(수) 13:54 확대축소

[2015 세계 주요 도시 주재원 삶의 질/생활환경 조사 상위 10위 도시. 사진:머서코리아]

[한국타임즈 김현숙 기자] 세계적인 컨설팅 그룹 머서(MERCER)가 4일 발표한 '2015 세계 주요 도시 주재원 삶의 질/생활환경(Quality of Living)' 조사 결과에 따르면, 서울은 세계에서 가장 살기 좋은 도시 72위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 조사에서 1위는 오스트리아 빈이 선정됐다.


2, 3, 4위는 각각 취리히, 오클랜드, 뮌헨이 차지하면서 전체적으로 호주와 뉴질랜드의 주요 도시들과 더불어 유럽 도시들이 상위권을 차지했다. 5위는 밴쿠버로 북아메리카에서는 유일하게 상위 10위 안에 들었다.


싱가포르는 26위로 아시아에서 순위가 가장 높았으며, 도쿄(44위), 고베(47위), 요코하마(48위), 오사카(58위) 등 일본 4개 도시가 아시아 지역의 상위 5개 도시에 포함됐다. 한국은 서울 72위를 비롯해 부산이 90위, 천안이 98위에 올랐다.


머서는 매년 전 세계 주요 도시의 주재원 삶의 질/생활환경 조사를 실시해 다국적기업을 비롯한 여러 기업들이 직원을 해외로 파견할 때 적절한 보상을 할 수 있도록 돕고 있다.


이 조사를 참고해 기업들은 해외 파견 직원에게 '삶의 질/생활환경 수당(본국보다 생활환경 및 삶의 질이 낮은 지역으로 파견될 때 보상되는 수당)'을 제공할 수 있다.


머서의 삶의 질/생활환경 보고서는 전 세계 440개 이상의 도시를 조사해 그 중 230개 도시의 순위를 발표하면서 참고할 만한 정보와 수당 권장사항을 제공하고 있다. 이번 조사는 2014년 9월에 수집된 데이터를 토대로 작성됐다.


머서 차금선 부사장은 "해외로의 단기 또는 장기 파견은 직원 및 가족에게 새롭지만 힘든 경험이다. 상이한 문화, 사회, 기후를 비롯해서 정치적 불안정, 높은 범죄율, 열악한 인프라 시설은 해외파견자와 가족들이 파견지에 정착하는데 어려움이 될 수 있다. 기업들은 직원과 그 가족이 해외로 파견될 때 한국과 파견지간의 삶의 질/생활환경 차이를 정확히 평가해 공정하게 보상을 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차 부사장은 "작년 조사결과와 마찬가지로, 계속해서 새로운 도시들이 순위에 등장하면서 기존에 있던 비지니스 및 금융센터 지역들의 경쟁자로 떠오르고 있다. 이른바 '신흥도시'들은 삶의 질/생활환경을 향상시키고 궁극적으로는 더 많은 외국 기업을 유치하기 위해 특히 인프라시설에 투자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유럽에서는 폴란드 브로츠와프(100위), 미주지역에서는 브라질 마나우스(127위)가 신흥도시로 떠오르고 있다. 아시아태평양 지역에서 주목할만한 신흥도시는 한국의 천안(98위)과 대만의 타이중(99위)이다. 공동 142위에 오른 중국 시안과 충칭 역시 수질 및 대기오염이라는 과제를 안고 있지만 정보통신과 소비재의 발달 덕분에 비즈니스에 적합한 도시로 떠오르고 있다.


한편 230위에 오른 바그다드는 중동과 아프리카 및 이번 조사 전체에서 가장 낮은 순위를 차지했다.


한국타임즈 김현숙 기자 hktimes5@hanmail.net        한국타임즈 김현숙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서울, '삶의 질' 세계 72위…가장 살기좋은 1위는?

부산 90위 천안 98위…아시아에선 싱가포르 25위로 최고

머니투데이 김종훈 기자 |입력 : 2015.03.04 14:30
-->
 
서울, '삶의 질' 세계 72위…가장 살기좋은 1위는?
경영 컨설팅 업체 머서가 세계 230개 주요 도시들의 '삶의 질 지수'를 측정해 순위를 부여했다. 서울은 73위에 올랐다./ 사진=유튜브 영상 캡처

세계에서 옷값이 가장 비싼 서울이 살기 좋은 도시 순위에서는 72위에 그쳤다.

4일(현지시간) 경영 컨설팅 업체 머서가 발표한 '2015 삶의 질 지수'에 따르면 서울은 세계 230개 주요 도시 중 삶의 질 순위에서 72위를 기록했다.

머서는 전 세계 440여개 도시의 범죄율, 정치적 안정성, 언론 자유 및 검열, 여가, 기후 등 39가지 요소를 고려해 '삶의 질 지수'를 측정한다. 이중 230개 도시에 순위를 매긴다.

서울, '삶의 질' 세계 72위…가장 살기좋은 1위는?
경영 컨설팅 업체 머서가 세계 230개 주요 도시들의 '삶의 질 지수'를 측정해 순위를 부여했다. '신흥 도시'로 분류된 천안은 98위에 올랐다./ 사진=유튜브 영상 캡처

서울 외에도 부산(90위)과 천안(98위)이 '삶의 질 지수' 순위에 이름을 올렸다. 특히 천안은 기술과 대학 교육에서 강세를 보여 '신흥 도시'로 분류됐다.

세계에서 가장 살기 좋은 도시는 오스트리아의 빈이었다. 뒤이어 △스위스 취리히 △뉴질랜드 오클랜드 △독일 뮌헨 △캐나다 밴쿠버 순으로 '삶의 질 지수'가 높았다.

아시아태평양 지역에서 생활 수준이 가장 높은 도시는 25위에 오른 싱가포르였다. △일본 도쿄 44위 △홍콩 70위 등은 서울보다 살기 좋은 도시로 조사됐다. 반면 △대만 타이베이 83위 △중국 상하이 101위 △베이징 118위 등은 서울보다 '삶의 질 지수'가 낮았다.

세계에서 가장 삶의 질이 낮은 도시는 이라크 바그다드였다.

'삶의 질' 지수는 다국적기업들이 해외 주재원을 파견할 경우 급여, 수당 등을 산출하는 데 쓰인다.

한편 서울은 싱가포르와 함께 옷값이 가장 비싼 도시로 지목된 바 있다. 영국의 경제분석 기관인 이코노미스트 인텔리전스 유닛(EIU)이 2일 발표한 '2015년 세계 생활비 보고서'에 따르면 서울과 싱가포르는 미국 뉴욕보다 옷값이 50%나 비싸 부문 1위에 올랐다.

특히 미국 CNBC방송은 아시아 도시들의 경우 의류 외에 식료품 구입에도 돈이 가장 많이 드는 곳이라며 예로 서울을 거론했다. 서울의 대형마트에서 파스타면 1kg은 4달러(약 4300원)에 판매된다. 이는 미국 월마트의 약 2배다.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