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녹색도시지수 유럽 최고의 녹색도시는~? [파퓰러사이언스 공동] 스칸디나비아 반도 1·2·3위 휩쓸어 최근 세계적인 전기·전자기업 지멘스와 국제 경제분석 기관 EIU(Economist Intelligence Unit)가 공동으로 유럽 30개 도시의 환경보호 성과와 목표를 측정한 ‘유럽녹색도시지수’를 발표했다. 과연 1위는 어떤 도시가 차지했으며 그 비결은 무엇일까.
도시화가 빠르게 진행된 유럽은 전체 인구의 72%가 도시에 거주하고 있다. 이는 당연히 도시 면적의 확대와 그에 따른 자연의 파괴로 이어져 환경에 좋지 않은 영향을 준다. 그렇다면 도시들은 현재의 기후변화를 막기 위해 어떤 노력을 기울이고 있을까. 지멘스가 발표한 유럽녹색도시지수는 이 같은 의문을 일정부분 해소시켜 준다.
이 지수는 유럽 30개 국가의 수도를 대상으로 이산화탄소 배출·에너지·건물·교통·물·대기 오염·쓰레기 및 토지 활용·환경관리 등 8개 항목, 30개 지표를 평가해 각 도시의 환경성과와 목표를 측정한 것이다.
이를 보면 우리가 지구환경의 지속가능성 확보와 기후변화 방지를 위해 어떤 노력을 기울여야 하는지 알 수 있다. 또한 자원을 효과적으로 보존하고 환경 파괴를 막을 수 있는 방법, 이산화탄소 배출을 저감하는 노하우 등을 벤치마킹하는 것도 가능하다.
▲ 덴마크 코펜하겐.
금·은·동 휩쓴 스칸디나비아 이번 평가에서 유럽 최고의 녹색도시로 선정된 곳은 덴마크의 수도 코펜하겐. 코펜하겐은 8개 항목에서 모두 우수한 성적을 올렸다. 이어 스웨덴의 스톡홀름이 2위를 차지했고 노르웨이의 오슬로, 오스트리아의 빈, 네덜란드의 암스테르담이 그 뒤를 이었다.
상위권을 점한 도시들의 면면을 보면 1~3위가 모두 스칸디나비아 반도에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이 지역의 도시들이 지난 수년간 강력한 환경 보호 정책을 펴왔다는 점에서 당연한 결과이기도 하다. 이들은 정부의 지원뿐만 아니라 환경보호촉진에 필요한 재정적 역량을 확보하고 있으며 에너지 절약형 건물, 광범위한 대중교통 네트워크, 신재생에너지의 이용을 전국적으로 시행하고 있다.
먼저 스톡홀름은 건물, 교통 등에서 1위를 차지해 에너지 효율 가이드라인 측면에서 여타 도시에 모범이 됐다. 이곳 주택들의 에너지 사용량은 놀라운 수준으로 난방에너지 수요가 많은 겨울철조차 총 에너지소비량이 시간당 2천㎾미만이다.
특히 완벽에 가까운 자전거 도로를 정비, 스톡홀름 시민의 무려 68%가 자전거나 도보로 출근을 한다. 이는 유럽 전체 평균보다 3배나 높은 수치다. 나머지 32% 중 25%도 대중교통 이용자로서 자가용 이용자는 7%에 불과하다.
자연과 문화의 수도를 표방하고 있는 오슬로는 전체 도시면적의 3분의 2 가 녹지일 정도로 환경을 중시하는 도시다. 이번 평가에서는 이산화탄소 배출과 에너지 항목에서 1위를 차지했다.
오슬로는 수력 발전을 통해 많은 에너지를 생산하고 있는데 재생에너지원에 의한 전력공급비중이 이미 65%에 이르고 있다. 또한 지역난방시스템, 하이브리드카 및 전기자동차의 활용 확대를 추진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오는 2030년까지 이산화탄소 배출을 절반 정도로 줄이겠다는 야심찬 목표를 갖고 있다.
▲ 스웨덴 스톡홀름.
대중교통에 강한 동유럽 동유럽 국가 중에는 암스테르담이 4위로 수위를 점했다. 암스테르담은 물, 쓰레기와 토지 활용 항목에서 두각을 나타냈다. 조사대상 30개 도시의 평균 물소비량이 1인당 연간 100㎥이상이었던데 반해 암스테르담은 53㎥에 지나지 않았던 것.
암스테르담은 가정의 수량계를 늘 보이는 곳에 배치, 주민들이 물을 절약하도록 압박(?)하고 있다. 쓰레기 재활용의 경우 전체 배출 쓰레기의 43%가 분리, 재생산되고 있다. 이는 유럽 평균의 2배 수준으로 나머지 쓰레기도 대부분 전력생산에 투입돼 암스테르담 가정에 필요한 전력의 75%를 생산한다. 매립되는 쓰레기는 전체의 1% 미만이다.
베를린은 스톡홀름과 함께 건물 항목 공동 1위를 차지했다. 독일 통일 후 엄격한 에너지 효율 가이드라인을 만들어 건물의 현대화 작업을 대대적으로 추진한 결과다. 이렇게 베를린은 현대화된 건물 한 곳에서만 연간 1~1.5 톤의 이산화탄소 저감효과를 누리고 있다.
이들을 제외하면 동유럽 도시들은 대체로 유럽 평균보다 낮은 점수를 받았다. 이 지역 국가들의 경제력이 상대적으로 열악하고 환경정책 개발도 오래 되지 않았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하지만 동유럽 도시들은 대중교통 항목에서만큼은 평균 이상의 성적을 거뒀다. 특히 우크라이나 키예프는 전체 순위에서는 30위로 꼴찌에 머물렀지만 대중교통으로 출근하는 인구 비율은 가장 높았다.
환경보호 인식의 확산 이렇듯 오늘날 유럽의 주요 도시들은 환경보호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조사대상 30개 도시의 총 인구는 7천500만 명이며 1인당 이산화탄소 배출량은 5.2톤으로 EU국가 평균치인 8.5톤보다 3톤 이상 낮았다.
환경보호에 대한 인식도 증가돼 30개 도시 중 86.6%인 26개 도시에서 자체적 환경보호 계획을 수립한 것으로 조사됐다. 또한 이들 중 절반은 분명하고 현실성 높은 이산화탄소 절감 목표를 갖고 있었는데 코펜하겐과 스톡홀름은 각각 2025년, 2050년까지 이산화탄소 배출제로를 달성한다는 계획이다.
한편 이번 평가를 통해 환경보호 성과와 경제적 풍요도가 꽤 밀접한 관련성이 있다는 새로운 사실도 확인됐다. 상위 10개 도시 중 9개 도시의 국내 총생산(GDP)이 유럽 평균 이상이었던 것. 이는 경제적으로 풍요로워야만 환경에 대한 투자도 더 많이 할 수 있음을 말해준다.
물론 이것이 절대명제는 아니다. 베를린, 빌뉴스 등 경제적 풍요성이 상대적으로 낮은 도시에서도 환경보호에 주목할 만한 성과를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베를린은 환경보호 성과에서 파리, 런던, 마드리드보다 앞선 8위에 마크됐다. GDP가 30개 도시 중 최하위인 빌뉴스 역시 대기오염 평가에서 당당히 1위에 올랐다.
즉 환경보호 노력은 정부나 지자체들의 의지와 투자에 더해 시민들의 의식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 더 많은 사람들이 참여할수록 성공가능성도 배가된다. 대중교통 이용, 물절약 등 시민 한 사람 한 사람의 노력이 모아지면 국가도 하기 어려운 엄청난 효과가 발현된다는 얘기다. 전문가들은 바로 이것이 전 세계가 추구해야 할 환경보호의 궁극적 모습이라 강조한다. 자료출처- ScienceTimes/ 파퓰러사이언스/ 박소란 기자 |
분야별 세계 10대 도시 (0) | 2015.01.25 |
---|---|
전세계에서 가장 살기 좋은 도시 - - 1위 오스트리아 빈 (0) | 2015.01.25 |
일본의 청년창업 정책 (0) | 2014.02.01 |
영국의 지역브랜드 활성화 사례 (0) | 2014.02.01 |
자연적인 악조건을 지역발전으로 승화시킨 일본 3대 와인산지 ‘이케다정(池田町)’ (0) | 2014.02.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