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전 토론회가 진행되면서 이념에 따른 진영을 중심으로 정책활동을 전개해온 싱크탱크와 시민단체들이 협소한 정책공간 안에서 안주했다는 반성이 여러 차례 나오기 시작했다. 시민들과 동떨어진 정책, 다른 입장에서 제기하는 합리적 비판에 귀를 닫은 나머지 실현 가능성이 낮은 정책들이 검증도 없이 양산되었다는 것이다. 보수성향의 이재교 공정언론시민연대 대표는 “진보와 보수의 사전적 의미에만 얽매인 나머지 현실에서는 큰 차이를 발견하지 못하는데도 서로를 외면하는 분위기가 이어져 왔다”면서 생산성 있는 정책경쟁을 위해선 반대진영과도 소통할 수 있어야 한다는 의견을 밝혔다. 진보성향의 손혁재 경기시민사회포럼 대표도 “최근 보수정권을 거치며 진보성향의 단체들도 상대 진영에 대한 비판에만 몰두한 측면이 있는데 시민들에게 희망을 보여줄 수 있는 정책을 제시하는 것이 진보진영의 미래를 위해서도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이 집행위원장은 “모든 진영을 아우르는 정책박람회를 준비하면서 가장 어려웠던 점은 각 진영의 단체와 연구원·활동가들이 다른 진영과 함께 토론하기를 꺼리는 태도였다. 그러나 사전 준비과정에서 여러 번의 토론회를 거치며 시민들이 진정 원하는 생활정책의 차원에서는 보수와 진보 사이의 구분이 크게 드러나지 않는다는 점에 대부분 동의했다. 보수와 진보 간의 차이는 분명히 인정하면서 서로 정책경쟁을 통해 취약점을 보완하고 장점을 발전시키는 것이 척박한 한국의 정책환경을 발전시킬 수 있는 방향”이라고 말했다.
<김태훈 기자 anarq@kyunghya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