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공간의 재해석, 승강기 안에서도 일어날 수 있다!

정치, 정책/미래정책과 정치 전략

by 소나무맨 2014. 8. 4. 14:37

본문

[트렌드인사이트] 공간의 재해석, 승강기 안에서도 일어날 수 있다!

Link to Trend Insight :: 마이크로트렌드부터 얻는 마케팅, 비즈니스(사업) 아이디어 영감

 


 

공간의 재해석, 승강기 안에서도 일어날 수 있다!

Posted: 31 Jul 2014 07:00 PM PDT

요즘 같이 무더운 날씨에 가장 시원한 곳은 아마 백화점이나 마트일 것이다. 많은 볼거리, 쇼핑 등을 더해 피서까지 겸할 수 있는 곳이기 때문이다. 단순하더라도 이러한 고객들을 매장 내에 오랫동안 머물도록 하기 위해, 대형백화점이나 각 쇼핑몰은 다양한 방법을 이용한다. 매장 내 진열은 물론 실내의 온도, 향기, 조명 등 최대한 고객이 편안하게 느낄 수 있도록 고려한다. 이처럼 단순하지만 고객을 위한 최적의 레이아웃을 구상하듯이, 쇼핑몰과 백화점 곳곳에는 마케팅 기법이 숨어있다. 그 고도의 마케팅 기법이 또한 승강기에도 이용되는 사실을 알고 있는가?

대형 쇼핑몰이나 고층 백화점에서 승강기는 고객의 이동을 연결하며 판매 가능성을 이어가는 매개다. 승강기는 아마 단순하게 생각되면, 편리함을 위해 존재하는 것 같지만 그 안에 다양한 마케팅 기법이 존재한다.

첫째, 승강기 주변의 매장은 다른 곳보다 매출이 높은 편이다. 그래서 대형매장의 경우 엘리베이터 중심으로 매장 입구가 결정되며 한 눈에 보일 수 있도록 판매대를 낮게 설치한다. 둘째, 백화점이나 대형쇼핑몰에서는 엘레베이터를 찾기 쉽지 않다. 들어오기는 쉽지만 나가기는 어렵게 만들며, 고객들이 오래 머무르고 에스컬레이터를 이용하도록 하려는 의도가 숨어있다. 셋째, 에스컬레이터의 속도를 조절한다. 매장의 상품을 둘러보게 하며 소비자의 구매를 유도하기 위한 설계 구성이다. 이 밖에도 승강기에 녹아든 마케팅방법은 다양하다. 하지만 직접적으로 티내지 않으며, 간접적으로 승강기의 위치, 속도 등을 이용해 소비를 유도하고 있다. 즉, 승강기라는 매체를 직접 활용하지 않고 부가적인 기능을 이용하는 것이다. 그렇다면, 승강기라는 공간 자체를 특별하게 재해석하여 소비를 유도할 수 있는 공간으로 새롭게 제시될 순 없을까? 오늘은 승강기라는 공간을 활용한 특별한 마케팅 사례를 살펴보고자 한다.

 

다양한 비즈니스와 승강기의 접점을 연결하다

  • 엘레베이터에 패션쇼라니? Floating Boutique

170836_2_600 170836_3_600

Floating Boutique는 엘리베이터를 이용한 패션쇼 프로모션을 진행했다. 기존의 패션쇼처럼 런웨이 위의 모델 워킹을 보는 것에서 벗어나, 패션쇼라는 특별한 부분에 엘레베이터를 도입하였다. 이곳의 엘리베이터는, 당연하게 관람자들을 위 아래로 수송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승강기를 이용하여 각 층마다 다른 테마의 작품들을 전시하여 엘리베이터로 편하게 이동하며 얼굴만 돌려서 모든 작품을 감상할 수 있다. 물론 자신이 마음에 드는 층에 내려 더 구경할 수 있다. 단순히 앉아서 감상하는 것이 아닌, 차별화된 프로모션으로 색다르고 기억에 남을 경험을 선사한 것은 물론 관람객들의 흥미를 더욱 이끌어내어 성공적인 패션쇼로써 마감하였다. 물론 이러한 점은 관람객들뿐만 아니라 패션쇼에 참여한 모델, 의상 담당자도 훨씬 수월하게 쇼를 진행할 수 있다. 급박하게 무대 뒤에서 옷을 갈아입을 필요도 없고, 긴 런웨이를 걷지 않아도 된다. 패션쇼에 승강기라는 공간을 재해석하여, 패션쇼에 승강기 공간 안에서 소비자에게 차별적이고 독특한 경험을 창출한 사례이다. 패션쇼와 승강기를 접목한다는 발상은 새롭다. 하지만, 직접적으로 승강기라는 공간을 소비를 유도하는 공간으로 재해석한 사례를 추가적으로 보고자 한다.

  • 레드불, 좁은 승강기 공간을 드라이빙 스루로 해석하다

Red-Bull-Drive-Thru-vending-machine

Click here to view the embedded video.

 

참으로 신선한 발상이 아닐 수 없다. 레드불은 브라질에서 에너지 음료 소비가 점점 증가하는 것으로 조사되어, 바로 이러한 독특한 프로모션을 진행하게 되었다. 즉, 레드불은 엘레베이터와 접목한 일종의 드라이빙 스루 마케팅을 실시했다. 드라이빙 스루는 바쁜 현대인들이 차로 운전하며 주차하지 않고도 간단한 주문에 의해 편리하게 음식을 받을 수 있는 서비스이다. 레드불은 승강기라는 움직이는 공간을 재해석하여, 차안에서 편리하게 음식을 받을 수 있는 드라이빙 스루를 승강기에 투입하여 프로모션으로써 접목시켰다. 에너지 음료라는 점을 내세워, 바쁜 회사원들이 나갈 필요 없이 엘레베이터를 이용하여 특정 층에 이동하면(드라이빙 쓰루처럼), 바로 자동판매기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자신이 이동하고자 하는 층에서 중간중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으며, 승강기라는 좁은 공간에서도 드라이빙 스루라는 특별한 도구를 접목시켜, 직접적으로 소비를 유도하며 특별한 경험을 심어줄 수 있는 효과적인 마케팅 도구로서의 공간을 재해석한 사례이다.

물론 승강기 속의 작은 공간은, 사람들에게 불편함을 선사할 수 있다. 좁은 공간의 답답함과 모르는 사람과의 동승은 그 자체로 불편한 감정을 만들어낸다. 그렇다면 불편함을 만들어내는 공간에서, 좀 더 특별한 공간으로 재해석하면 어떨까. 위 두 사례처럼 이미 한정된 공간에서 공간을 어떻게 활용하느냐에 따라 그 공간은 충분히 좀 더 특별해질 수 있다.

 

사용자에 따른 승강기 공간의 재해석을 주목하라.

사용자의 목적에 따른 공간의 재해석은
좀 더 특별한 공간의 시작이며 확장이다

b99b428d-de86-467f-89d7-350483cfb6d1

물론 승강기라는 공간을 이용하여 무조건적인 소비를 유도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하지만 사람들은 승강기를 때때로 이용하는 목적이 다르다. 아파트에서는 자신의 집으로 이동을 위해 이용하며, 쇼핑몰에서는 관심있는 제품을 구경하거나 구입하기 위해 이동할 수 있다. 그렇다면 사용자의 목적에 따라 소비를 유도하는 공간으로 공간을 재해석해보는 것은 어떨까? 예를 든다면 쇼핑몰에 구경을 하러 갔다고 하자. 우리는 아파트에서 이용하는 것처럼 엘레베이터에 타서, 무심코 자신이 이동할 층의 버튼을 누르고 서성일까? 그렇지 않다. 층 별로 어떠한 매장이 있는지 확인하며, 자신이 관심있는 아이템이 모인 층으로 이동하고자 할 것이다. 그렇다면, 쇼핑몰 승강기 안이라는 공간을 재해석하여 버튼은 단순히 자신의 ‘목적지’를 위해서 필요한 것만을 벗어나서 새롭게 적용하는 것이다. 내가 누른 층에 네비게이션 업체가 있다고 한다면, 승강기 안에서 버튼을 누른 당신에게 ‘당신의 목적지까지 안전하게 모시겠습니다.’라는 멘트와 함께 이동 시간 및 네비게이션에서 제공하는 기능을 접목하는 것이다. 또한 그 층에 있는 다양한 업체를 더해, 누를때마다 소비자에게 다양하게 제시해 준다면 어떨까? 이러한 측면은 소비자에게 거부감이나 직접적인 소비를 강요하는 것이 아닌, 특별한 경험을 심어주며 은밀하게 소비를 유도할 수있는 공간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물론 공간을 재해석 한다고 해서, 다양한 가치를 측정하기는 어려울 것이다. 하지만 인터렉션한 광고는 점점 증가하고 있고 고객들은 평범한 것에 반응하지 않는다. 그렇다면 평범한 승강기라는 당연한 공간의 재해석, 소비자에게 은밀한 소비를 유도하는 공간뿐만 아니라 좀 더 특별하게 다가올 수 있다고 생각되지 않는가? 많은 부분에 접목한다면, 소비를 유도하는 공간을 넘어 다양하고 특별한 차별점을 분명히 드러낼 것이며 지속적으로 힘을 발휘할 것이다.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