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2020 한국에서 추락하는 7가지

정치, 정책/미래정책과 정치 전략

by 소나무맨 2014. 6. 23. 11:03

본문

 

 

2020 한국에서 추락하는 7가지   

유엔미래보고서 2040

박경식 2013.12.26 21:56(우수자료로 추천됨)

2020 한국에서 추락하는 7가지

1. 인구감소로 국가가 추락한다.

2020년에 우리나라의 노동생산인구(만 15세~64세)가 처음으로 감소하게 되면서, 국내 실업률 상승과 이동성 강화등으로 청년실업인구가 해외로 나가면서 실질인구가 감소하는 해가 된다.

일본의 "잃어버린 10년"은 2005년에 실질적 인구가 감소가 나타나기 10년전부터 시작되었듯이, 한국의 인구감소가 예상되는 2020년의 10년전인 2010년부터 한국경제는 일본의 잃어버린 10년을 닮아가고 있다.

2. 자동차의 추락과 그 대안

2008년 서브프라임 모기지로 시작된 미국발 금융위기로 인해 많은 자동차기업이 파산했으며, 현재 미국은 포드등 3개 기업으로 통합되었으며, 향후 석유를 원료로 하는 자동차는 세계에서 10개 정도로 들어 들게 되고, 2026년에는 전기자동차가 대세를 이루게 될것이다.

또한 구글등이 추진하는 무인자동차 개발에 속도를 내고 있으며, 무인자동차가 보편화되는 5~10년후에는 도로의 자동차가 50%정도 줄어들수 있다.

3. 전력공급기업의 추락과 대체에너지 부상

다빈치 연구소의 미래학자 토마스 프레이는 한전같은 대규모 전력공급기업들이 2020년경에 소멸하게 될것이라고 예측. 미국등 여러나라에서는 이미 소규모 지역기반 민간 발전사업기업들이 등장, 지역의 전력을 공급하고 있다. 값도 저렴하고 원거리 전력송신이 필요없어 에너지 낭비를 줄여주는 시스템이다.

4. 철강의 추락과 신소재의 부상

강철보다 단단하고 실리콘처럼 유연하며, 열과 충격에 강한 첨단소재인 탄소나노튜브,그래핀,카르빈등이

완전하게 결합되면 철강산업을 일시에 추락시킬 힘을 갖게 될것이다.

5. 제조업,유통산업의 추락과 3D프린터

미국정부는 3D프린터가 가져올 제3차 산업혁명을 대비하고 있다. 3D프린터는 현재 치기공 및 단순한 제조업부터 피부,장기,음식물,지구밖의 물질까지도 프린트하려고 한다.

3D프린터는 21세기를 변화시키는 4대 기술가운데 하나로, 아웃 소싱을 인소싱으로 바꾸는 사회를 가져올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미국에서는 이미 3D프린터에 이어 3D스캐너까지 등장하였다.

6. 대학교의 추락과 교육의 대변혁

미국의 하바드,MIT,예일,프린스턴등 아이비리그 대학들과 스탠포드,버클리등의 세계적인 대학들이 경쟁적으로 무료 온라인 교육 서비스를 시작하였다. 이것이 우리의 대학교육제도를 급격하게 무너뜨릴수 있다.

이것이 바로 무크(MOOC)운동인데 현존하는 교육기관이나 대학들이 급격하게 변하는 미래변화에 따라가지 못하기 때문이다. 2020년의 미래교육시스템에서는 지금보다 훨씬 빠른 속도로 학습할수 있는 방법이 보편화될 것이다.

7. 스마트폰의 추락과 사물인터넷의 부상

스마트 폰의 주 소비층인 20~30대의 자동차 구매비율이 갈수록 감소하고 있다. 이는 차보다는 IT에서 재미를 찾는 소비패턴변화가 주요인이다.

이처럼 현재 최고의 주가를 올리고 있는 스마트폰도 결국 다른 산업에 밀리게 될것이다.

그 다음에 오는것이 웨어러블 컴퓨터와 사물인터넷인데, 사물인터넷은 빅데이터 기술과 융합하여 엄청난 혁신을 가져오게 될 것이다.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