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에 대해 가르치려면, 돈의 가치를 가르쳐라!
돈에 대한 가치를 잡아주고 아이의 경제관념을 길러주는 경제교육 지침서 『돈에 밝은 아이』. 올바른 경제교육을 통해 아이들에게 행복하게 사는 방법을 가르칠 수 있도록 안내하는 경제교육서이다. 저자인 제윤경은 SBS <잘살아보세>를 통해 우리집 재무 주치의로 고정출연해 각 가정의 경제 문제를 짚어주고 대안을 제시해왔다. 재정 컨설턴트 및 칼럼니스트로 활동 중인 제윤경은 자신의 경험을 바탕으로 경제교육이 필요한 환경을 분석하고, 경제교육을 제대로 시키기 위해서 바뀌어야 할 부모들의 경제관에 대해 먼저 풀어본다. 그 후 아이를 위해 알아둬야 할 경제교육 십계명과 용돈으로 시작하는 아이의 경제교육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 북소믈리에 한마디!
저자는 아이들에게 경제교육을 하는 것은 돈 벌기를 가르치기 위해서가 아니라고 말한다. 경제교육의 가장 큰 힘은 자신이 소유한 것에 대해 다시 한 번 생각하는 것이고, 소유의 본질적인 가치를 생각해 아이 스스로가 소유의 진정한 가치를 자연스럽게 깨닫도록 안내하는데 있다고 한다. 이 책은 막연하게 유행을 쫓고, 남들보다 앞서야 한다는 강박에 자신에게 필요한 물건인지 고민도 하지 않고 무작정 무엇인가를 사고, 소유하는 시대에, 아이가 제대로 자신에게 필요한 것을 확인하고 올바른 경제활동을 할 수 있도록 안내한다
출판사 서평
한국의 대표적인 가정경제 전문가, 제윤경
대안적인 자녀 경제교육을 제시하다
경제교육은 어린 아이들이 나중에 부자가 되기 위해 금융 마인드를 일찍부터 깨우치고, 돈 불리는 방법을 배워야 한다고 가르치는 교육이 아니다. 삶의 필요나 욕구를 충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의 돈에 대한 용도를 가르치는 교육이다. 한국의 대표적인 가정 재무설계 전문가 제윤경은 이미 오래전부터 재테크 열풍을 비판하며, 가정 경제의 기본을 가계부 기록에 두고 합리적이고, 상식적인 재무설계의 필요성을 주장해왔다. 단독 저작으로는 3년 만에 출간되는 이번 책은 부모와 아이가 함께 실천하는 ‘자녀 경제교육서’이다.
돈에 대한 관념은 인생에서 너무나 중요하다. 부모들이 ‘올인’하고 있는 시험성적이나 영어 능력보다 훨씬 더 중요하다. 경제교육은 ‘능력’이 아니라 삶에 대한 태도와 성찰과 관련되어 있기 때문이다. 그동안 서점에서 우리가 볼 수 있던 자녀 경제교육서는 돈을 더 많이 벌기 위한 경제마인드를 키우라는 등 어른들의 재테크 열풍이 그대로 반영된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하지만 이 책 <돈에 밝은 아이>는 ‘돈 밝히는 아이’ 혹은 ‘돈맹’이 아니라 ‘돈의 가치’를 제대로 이해하고, 생활 속의 실천을 통해 몸에 익히는 ‘돈에 밝은 아이’로 자라게 하자는 메시지를 담고 있다.
돈이 아니라 돈의 가치를 가르쳐라!
저자는 자녀 경제교육이 자신이 원하는 것을 다 가질 수 없다는 사실을 깨닫는 데에서부터 시작된다고 한다. 자신이 가장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 왜 꼭 필요한 것인지에 대한 성찰이 그 다음이며, 그것을 소유하기 위해 필요한 수단으로서의 돈의 가치를 깨닫고, 스스로의 계획을 통해 돈을 모아 원하는 바를 실현하면서 성취감을 얻게 되는 것이 경제교육의 과정이라고 말한다. 돈이 얼마나 있어야 행복해질 수 있을까라고 욕망을 불러일으키는 것이 아니라 한정된 돈을 어떻게 쓰느냐가 훨씬 더 중요하다는 사실을 가르쳐주는 것이 경제교육이다.
또한 경제교육의 덕목은 무엇보다 부모와 아이 사이의 대화를 만들어주는 중요한 매개가 될 수 있다는 데 있다. 돈을 주지만 돈을 가르치지 않는 부모, 아이가 필요하다는 것을 그때그때 채워주는 등 소통의 수단으로 물질과 돈만을 사용하게 되면, 아이는 무엇을, 왜 원하는지 진정한 자신의 욕구와 대면하지 못하게 된다. 부모와 아이 사이뿐만 아니라, 가정 내 경제 문제에 대한 소통 여부는 가족의 행복과 미래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수많은 상담 경험을 통해 부부 사이의 경제적 의사불통이 가정 불화의 최대 원인이라고 말하는 저자는, 가족 전체의 경제 운용과 아이의 경제교육이 항상 맞물려 있는 것임을 강조한다.
부모와 아이가 함께 실천하는 자녀 경제교육
경제교육은 부모가 아이에게 시키는 것이 아니다. 부모와 아이가 함께 실천하면서, 서로가 배우고 서로를 이해하는 것이다. 그래서 저자는 아이의 경제교육을 위해 무엇보다 부모의 건강한 경제관이 중요하다고 강조한다. 문제를 겪고 있는 아이 뒤엔 거의 대부분 문제를 겪고 있는 부모가 있다는 것. 그리하여 막연히 돈이 많으면 좋다, 나 또한 재테크와 투자로 부자가 될 수 있다는 우리 세대 부모의 ‘환상’을 조목조목 짚어주며, 상대적 박탈감과 콤플렉스에서 벗어나, 손에 쥐고 있는 한정된 돈을 어떻게 관리하고 운용해야 할 것인지에 대한 현실적인 대안을 제시한다. 그러한 부모의 마인드 변화를 필요성을 강조하고, 오랜 상담 경험을 통한 적절한 실제 사례가 풍부히 담겨 있다는 것이 이 책의 장점이다.
* 부모들이 흔히 가지고 있는 경제교육에 대한 오해와 진실
- 경제교육은 전문가가 하는 것이다?
가장 기본적인 경제교육은 부모가 최적임자이다. 전문가나 학교교육에서 얻을 수 있는 것은 경제지식이지 경제교육이 아니다. 일상적인 생활 속에서의 절약 실천 약속, 용돈교육 등 돈에 대한 태도를 가르치는 경제교육은 가능한 부모와 함께 실천하는 것이 가장 좋다.
- 경제교육은 아이가 초등학교에 들어갈 때쯤 하면 된다?
아이는 보통 세 살쯤이면 소유욕이 생긴다고 한다. 본격적인 용돈교육은 초등학교 3학년 정도가 적당하지만, 그 이전부터 아이가 ‘자신이 가진 것’에 대해 생각해보고, ‘자신이 가지고 싶은 것을 다 가질 수 없다’는 사실을 깨닫게 하는 것은 중요한 경제교육의 내용이 된다.
가령 대형마트 장난감 코너에서 장난감을 사달라고 떼를 쓰는 네 살짜리 아이에게, “오늘 마트에 온 것은 네 장난감을 사러 온 게 아니잖아”라고 단호하게 거절하는 것이 필요하다.
- 아이가 필요한 것은 알아서 해주고 있기 때문에 용돈은 필요가 없다?
많은 부모들은 용돈을 아이들의 간식비로 생각한다. 학용품과 준비물, 교제비를 다 부모 돈으로 해결해주고, 간식거리를 사먹으라고 아주 적은 용돈을 주고는 한다. 이제는 용돈에 대한 개념 자체를 달리 생각해야 한다. 아이에게 필요한 지출 목록을 생각해보자. 그 가운데 부모의 돈으로 해결할 것, 아이 용돈으로 해결할 것, 아이와 부모 돈으로 해결할 것을 나누자. 아이 용돈으로 해결할 지출에는 당연히 소액의 학용품과 준비물, 교제비 일부가 포함되어야 한다. 용돈은 절대 간식비가 아니다.
- 용돈의 크기는 부모가 정해주면 된다?
용돈의 크기는 부모와 아이가 함께 정하는 것이 좋다. 아이의 용돈으로 지출할 것을 합의한 후 그에 따른 용돈의 크기를 정하고, 이를 잘 실천할 경우 적정 기간마다 용돈으로 지출할 내역을 넓혀서, 용돈을 올려주는 것이 좋다.
- 아이에게 돈을 아껴 쓸 것을 가르치고, 저축의 필요성을 가르치는 것이 경제교육이다?
부모들은 돈을 주면 움켜쥐고 통장에 꼬박꼬박 저축하는 아이들을 자랑스러워한다. 그렇지 않은 아이에게는 “돈 쓰지 말고 저축해”라고 주문한다. 하지만 그보다는 “저축해서 네가 원하는 데 그 돈을 써”라고 하는 것이 올바른 경제교육의 태도이다. 어느 부모는 다섯 살짜리 딸아이의 통장을 만들고, 그동안의 세뱃돈과 아이에게 주어진 목돈 등을 모아두었다고 한다. 문제는 아이가 그 통장의 돈은 자기가 모은 돈이지, 자기가 쓸 돈은 아니라고 생각하고서는, 평소 필요한 돈은 또다시 부모에게 요청한다는 것이다. 돈 자체가 목적이 된 전형적인 사례이다.
- 아이는 집안의 어려운 가계 재무 상태를 알 필요가 없다?
많은 부모들이 아무리 형편이 어려워도, 자식들에게는 그 내용을 잘 알리려 하지 않고, 특히나 사교육비만은 줄일 수 없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숨기고 숨기다 끝끝내 드러나는 경제 상황이 더 극단적인 경우가 많고, 더 큰 충격을 아이에게 줄 수 있다. 부부 사이의 경제적 소통이 우선 중요하고, 그와 함께 가정의 재무 상태를 아이와 함께 공유하는 것이 좋다. 많은 경우 아이는 그러한 사정을 잘 이해하며, 오히려 가족으로서의 소속감이 더 커지게 된다.
- 자꾸 친구네와 우리집 형편을 비교하는 아이의 말을 들으면 당황스럽다.
당황스러워하지 말자. 그러한 당황스러움은 부모로서의 열등감, 박탈감 때문인 경우가 더 많다. 아이는 열등감에서가 아니라, 자기가 본 것 그대로를 이야기하는 것일 수 있다. 아이가 비교하는 것은 무엇인지, 그것 때문에 불편한 것은 무엇인지 들어보고, 우리집 형편을 아이가 이해할 수 있도록 있는 그대로 이야기하자.
- 시험을 잘 보면 특별용돈을 달라는 아이의 말에, 동기부여가 될 수 있겠다고 생각한다.
시험성적이든 집안일이든 아이들이 한 일에 대한 보상을 물질적으로 하는 습관을 들이는 것은 좋지 않다. 물질적인 보상은 부모로서 아이와의 가장 쉽고 편한 소통 방식을 취하는 것이다. 보상을 자꾸 물질적인 것으로 하게 되면 자부심을 느끼고 성취감을 느껴야 할 마음의 자리를 만들지 못한다. 최고의 보상은 첫째는 스스로가 느끼는 자부심일 것이고, 두 번째는 주위 사람들로부터 받는 신뢰와 인정이다.
- 아이에게는 거절의 상처가 결핍의 경험보다 더 크다?
많은 부모들이 아이의 요청을 거절하는 것을 가슴 아파한다. 아이가 거절당하는 것을 자기가 거절당하는 것처럼 느낀다. 갖고 싶은 것을 마음껏 갖지 못하고 자라서 혹시 비뚤어지지 않을까 하는 걱정도 한다. 그러나 자녀를 정말 잘 키우고 싶다면 부모는 단호하게 거절할 줄 알아야 한다. 아이는 귀신같이 부모의 약한 부분을 치고 들어와 자신이 원하는 것을 얻어낸다. 아이가 원하는 것을 다 들어주는 것이 바로 아이를 망치는 지름길이다. 아이에게 필요한 것은 욕구의 무조건적인 충족이 아니라 욕구의 조절이다. 부모의 거절로 아이는 자기 욕구를 현명하게 조절하는 법을 배운다.
추천글
제윤경 이사는 돈을 둘러싼 사회적 통념에 대해 지속적으로 예리한 의문 부호를 달아 왔다. 이 책은 그러한 관점에서 경제교육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개척하고 있다. 그 핵심은 삶의 가치를 올곧게 세우는 것이다. 자신의 진정한 필요와 욕망을 명료하게 알아내고, 그것을 충족시키기 위한 경제 운용 전략을 고민해야 한다. 돈은 부모와 자녀를 잇는 중요한 통로다. 하지만 많은 경우 돈은 황폐한 관계를 간신히 지탱해주는 보루다. 게다가 돈으로 인해 관계는 더욱 황폐해지기 일쑤다. 이 책에서 제시하는 경제교육은 돈의 위상을 완전히 바꿔버린다. 돈은 삶을 구상하고 꾸려가는 중요한 미디어로서, 가족끼리 그것을 매개로 다채로운 대화를 이어갈 수 있다.
- 김찬호 (성공회대 초빙교수, 『생애의 발견』 저자, <한겨레21> 연재 「돈의 인문학」 필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