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아시아 각국의 민주주의 현황

정치, 정책/미래정책과 정치 전략

by 소나무맨 2013. 12. 7. 22:35

본문

 

키르기스스탄의 국토면적은 199,951㎢로서 한반도보다 조금 작으며 인구 555만 명인 작은 나라이다.

경제상황도 농업이 주된 산업으로 전체 인구의 48%가 농업에 종사하고 있다.

국민총생산(GDP)는 135억 달러, 1인당 GDP는 2,400달러로서 이웃나라인 카자흐스탄의 6분의 1에 불과하다.

 

키르기스스탄은 산악국가이기도 하다.

천산산맥의 줄기에 위치하고 있어서 전국토의 93%가 해발 1,500m이상의 고지에 있으며

전국토의 41%가 해발 3,000m 이상의 고지에 위치하고 있으며 국토의 평균 해발고도 2,750m이다.

키르기스스탄은 해발 2,774m인 백두산 정상 높이에 얹혀 있는 나라라고 할 수 있는 것이다.

=================================================================================================

 

아시아 각국의 민주주의 현황

2013/11/24 12:08 수정 삭제

 

복사 http://blog.naver.com/tc2848/100200417350

전용뷰어 보기

 

출처 해방을 위한, 내일을 위한, 자유를 위한 블로그 | Kimnia
원문 http://blog.naver.com/liberation7/110170106721

아시아 47 개국 중에 절반은 지금도 민주주의 국가가 아니다 그 당시 아시아 국가의 민주주의상태가 어떠했는지 자료를 만들어 본다 대한민국은 그 당시 아시아에서 가장 앞 선 민주주의 국가라는 것을 알 것이다 일단 러시아는 아시아 국가에서 제외시켰다

 

 

키르기스스탄 / 1991년 러시아에서 독립

 

카자흐스탄 / 1991년 러시아에서 독립

 

카타르 / 1971년 영국에서 독립 국왕제, 1995년 쿠데타로 국왕교체, 2003년 국왕의 4남인 하마드 알사니가 왕세자로 책봉

 

캄보디아 / 1953년 일본에서 독립 아직도 입헌 군주국 1975년 폴포트 크메르루즈 정권의 킬링필드로 유명

 

쿠웨이트 / 1961년 영국에서 독립 입헌군주국 초대 사바왕 2대는 아들인 알 사바하가 지금까지 통치 여성참정권 없음 일부다처제 (참정권은 1등 국민에게만 있음)

 

 

 

오만 / 1951년 영국에서 독립 이슬람세습군주국 초대국왕 술탄사이드, 쿠데타로 아들 카부스 국왕이 현재 집권중

 

아프가니스탄 / 1919년 영국에서 독립, 2001년 911 테러로 탈레반 정권 축출 이슬람 회교국가로 2004년 하이드 카르자이 대통령 선출, 이전에는 국왕세습제 였다 3번의 쿠데타를 거쳐 1978년 공산화 1979년 소련 침공

 

예맨 / 1991년 헌법제정 민주주의 대통령제 채택 이전에는 공산국가인 남아멘과 왕정공화국 북예맨였다 1990년 통일, 통일 전후 사회주의 세력과 내전이 끊이지 않고 대통령보다 부족장 권력이 높은 부족국가 형태로 군사력까지 부족장이 다수를 보유, 외국원조로 경제 유지

 

요르단 / 1946년 영국에서 독립 국왕세습 입헌군주제 내전국가로 1991년까지 34년간 정당활동 금지됬으며 20년의 계엄령 기간을 가졌던 국가

 

우즈베키스탄 / 1991년 러시아에서 독립 대통령 중심 민주국가이나 아직 공산당이 가장 큰 정치세력인 실질적 사회국가

 

 

 

 

이란 / 1979년 건국 종교지도자가 최고지도자로 종신직 절대권력 종교재판 기본 인권조차 없는 국가 특히 여성인권문제 심각

 

이라크 / 1932년 영국에서 독립 왕정국가에서 이라크 혁명인 카셈의 군사혁명으로 군사독재 정권 수립 2003년 사담후세인까지 유지 되었음 2005년 헌법 비준 의회 민주국가 설립되었으나 사실상 이슬람 종교국가인 구조

 

이스라엘 / 세계 유일의 유대인 공화국이란 특수 종교국가로 성문헌법이 없다 비교적 민주적 인권이 보장되고 있음

 

인도 / 1947년 건국 연방공화제이나 세습과 암살 쿠데타로 정치권력이 바뀌어 왔음 정치불완전 내부 종교분쟁으로 학살이 자행 아직 카스트 계급제도가 남았으며 여성인권은 최악 남편이 죽으면 순장으로 같이 묻기도 한다

 

인도네시아 / 1956년 독립 공화제 교도 민주주의라는 인도네시아 만의 민주주의 체제를 가지고 있으나 사실은 후진적 인권탄압 권위주의 정치 1963년 수카르노 군부 종신 대통령이였다 다시 군부쿠데타로 실각

 

일본과 중국 / 거의 다 알고 있는 국가이니 생략

 

 

라오스 / 1949년 건국 공산주의 국가

 

레바논 / 1943년 건국 무정부 상태의 내란국가 1975~1990 년까지 내전 헤즈볼라 테러단체로 유명 공화국 체제

말레이시아 / 1957년 독립 입헌군주국 각주의 9명의 술탄이 교대로 국왕에 즉위 마히트르 총리가 22년 장기집권 후 2003년 권력이양

 

몰디브 / 1965년 독립 1968년까지 술탄 체제 그 후 압둘 기윰의 30년 독재후 2008년 최초 정권교체 과거 인구의 반 이상이 말라리아로 사망한 미개한 국가로 공화국 체제

 

몽골 / 1921 독립 공화제 러시아 이어 세계 2번째로 공산화 2000 년도까지 공산주의 국가였던 나라

 

미얀마 / 1948 건국 공산주의 국가였다 현재 과도 군사정부 체계로 무정부 상태

 

 

바레인 / 1971 건국 세습군주제 할리파 국왕이 38년 통치, 1999년 사망 아들 왕세자가 국왕 승계

방글라데시 / 1971년 건국 인민공화국이나 이슬람 문화가 강하고 최근 비교적 자유가 보장되어 개방화 되고 있다. 세계최고 극빈국 경제의 50% 가 외국의 원조, 쿠데타와 암살로 정권교체 정치불안

 

베트남 / 1945 독립 공산주의 국가 일당 독재 체제

 

부탄 / 1949 건국 입헌군주제 탄트라 국가 모계사회 여자에게 재산권이 있으나 남자가 노동과 살림을 한다

 

북한 / 북한은 헌법적으로 또는 국제법적인 선언적 효과에 의해 국가가 아니며 지옥과 다를것 없는 김씨 왕조국가

 

브루나이 / 1984년 독립 군주제 절대적 왕권 풍부한 지하자원과 석유로 세계최부국의 하나 볼키아 국왕은 세계 10대 부호 왕에 대한 어떤 비난도 허용되지 않지만 워낙 부자 나라라서 불만이 없음 무상의료 무상교육

 

 

사우디아라비아 / 1932년 건국 절대군주제 왕이 종교와 정치의 수장으로 종교방송 외에는 우상숭배라 하여 방송조차 못하고 시청이 금지되어 있으나 위성 안테나로 서방 방송을 보는 사람들이 있음 법이 따로 없고 이슬람 율법과 국왕의 칙령에 의해 통치

 

스리랑카 / 1948 건국 공산국가로 폭동과 암살로 정권이 교체 2009년 26년의 내전이 종식되어 현재 민주사회주의 공화국 체제 출범

 

시리아 / 1946 독립 공산국가에서 1973년 헌법제정 민주공화국을 지향했으나 사실상 사회주의 국가 언론검열

 

싱가포르 / 공화제 리콴유 32년 독재 후 아들에게 총리직 대물림 인구비례 사형최다 집행 국가

 

 

 

아랍에미리트 / 1971 건국 연방공화국 토후 군주제에서 1971 자이드 국왕이 연방국왕 됨 정당 없음 인구 75% 가 외국인

 

아르메니아 / 1991 소련에서 독립 공화제 1999 년 의회에서 총기난사로 총리와 국회의장 등 8명 사망

 

아제르바이잔 / 1991 소련에서 독립 공화국이나 사회주의 국가 성격이 강함 여성 교육권 없음

 

 

동티모르 / 2002 인도네시아에서 독립 내전국가

 

네팔 / 1951 건국 군주국가에서 1996년 공산혁명 2001년 왕과 왕비 및 왕족 10명 살해후 내전 2007년 왕정종식 공화제이나 아직 공산당이 주요 정당

 

그루지야 / 1991 소련에서 독립 조지야라고 불림 정치불안정

 

 

타이 / 입헌군주제 군부쿠데타가 가장 빈번한 국가 1992년 군은 정치 중립 선언했으나 2006년 탁신 총리의 부정과 부패로 다시 군부쿠데타 발생 군주제 이지만 군의 권력이 막강 사실상 군부독재 국가 태국으로 불림

 

타이완 / 대만 1912 건국 장개석 장경국 권력세습 이후에도 이동휘 등 부정 부패의한 정치 불안정 1941~1987 까지 계엄령 기간 공산주의자 무자비한 학살 폭압정치

 

타지키스탄 / 1991 소련에서 독립 내전국가 2003년 헌법제정 공화제 선택했으나 주요 정당은 공산당

 

터키 / 1923 건국 1960 군사쿠데타로 군사정권 반대파 처단 이후 연 이은 쿠데타로 정치 불안 내전으로 쿠르드족 1000 명 이상 살상

 

투르크메니스탄 / 1991 소련에서 독립 대통령 독재 국가 인민위원회가 모든 권력 장악 대통령이 위원장으로 있고 헌법으로 니야조프 대통령 종신 임기 보장

 

파키스탄 / 1947 건국 연방공화국이나 군부 쿠데타와 군사독재의 정치역사 2001년 무샤라프 대통령 취임으로 대통령제로 바뀌었으나 강력한 독재로 2007년 부토 총리 암살 및 붉은사원 사건으로 이슬람 교도 수백 명 학살

 

필리핀 / 1945 독립 마르코스 21년 독재, 1983년 정적 아키노 암살로 군부쿠데타로 망명 1987 헌법으로 대통령제 채택 정치의 부정 부패로 민주주의 질서 불안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