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전라북도 동부권 발전계획:2012~2016 동부권 未來創造 플랜

본문

전라북도 동부권 발전계획:2012~2016 동부권 未來創造 플랜

  • 발행일2012
  • 팀명문화관광연구부
  • 연구책임김형오
  • 팀원이민수 장남정 임승현 이중섭 황영모 김수은 양지인 김경민

 

계획 수립의 배경


❚  「전라북도 동부권 발전 지원에 관한 조례」에 근거,“동부권 발전계획”수립
○ 「전라북도 동부권 발전 지원에 관한 조례」 제3조“동부권 발전계획의 수립”에 근거하여 전라북도지사(이하“도지사”라 한다)는“동부권 발전계획”을 5개년 단위로 수립하고 이를 시행해야 함

 

  동부권 개발계획의 중장기 목표
  동부권의 지리적 특성과 산업·경제적 자원 등을 고려한 식품·관광 등 개발계획
  그 밖에 동부권 발전을 위해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사항


❚ 저출산‧고령화 등 다양한 사회‧경제적 환경 변화에 부합하는 동부권 미래창조 전략 필요
○ 인구 감소 및 고령화 시대의 도래와 이에 따른 사회‧경제적 변화에 대응한 동부권 미래창조 패러다임 제시 필요


○ 동부권 상생 발전이라는 큰 틀에서 동부권 지역 특성 및 여건 등을 고려한 체계적이고 실현가능한 계획 수립 필요

 

❚ 동부권의 비교우위자원을 활용한 미래발전계획 수립
○ 제1차 전라북도 동부권 개발계획(2007~2011) 수립 이후 진행되고 있는 국내외 여건 변화와 새로운 정부 정책기조 대두에 능동적인 대응


○ 동부권 6개 시‧군의 농식품, 관광, 농촌, 지역경제, 교통, 복지, 환경생태 등 부문별 계획의 정합성을 확보하여 동부권의 경쟁력 제고


○ 낙후된 동부권을 대한민국의 으뜸 살기 좋은 지역으로 재창조할 수 있는 마스터플랜 수립을 통해 지역주민의 삶의 질 향상과 소득 증대에 기여

 

계획의 범위

 

❚ 공간적 범위
○ 동부권 6개 시·군 (3,800㎢, 도내 면적의 47.1% 차지)
    – 남원시, 진안군, 무주군, 장수군, 임실군, 순창군

[동부권 공간적 범위]

❚ 시간적 범위
○ 기준년도 : 2012년    
○ 목표년도 : 2016년 

 

❚ 내용적 범위
○ 전라북도 동부권의 현황 및 여건분석
○ 전라북도 동부권 미래창조 플랜 구상
○ 전라북도 동부권 미래창조 부문별 플랜
○ 전라북도 동부권 식품‧관광 특화발전 추진사업
○ 전라북도 동부권 특화발전 집행․관리


12PR05_12JU24_전라북도 동부권 발전계획_김형오.pdf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