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전북도‘낙후 주홍글씨’언제까지--삶의 질-지역발전지수 전국 최하위권

본문

전북도‘낙후 주홍글씨’언제까지

배기운 의원, 농식품부 보고서 분석,

윤동길기자2013년 10월 10일 22시 34분

전북도가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각종 정책을 추진 중인 가운데 전북의 ‘삶의 질 및 지역발전지수’가 전국 최하위권으로 나타났다.


10일 민주당 배기운 의원이 농림축산식품부로부터 제출받은 ‘농어촌 삶의 질 실태와 정주 만족도’ 최종보고서를 분석한 결과, 조사대상 8개 광역자치단체 중 전북(9.44)이 전남(9.38)과 경북(9.41)에 이어 가장 열악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번 조사는 특별시와 광역시, 제주도 등을 제외한 경기, 강원, 충남, 충북, 전남, 전북, 경남, 경북 등 8개 광역자치단체를 대상으로 실시됐다.


삶의 질 및 지역발전 지수는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이 도농복합도시로 분류된 53개 시와 86개 군 등 139개 농어촌 시군의 삶의 질 실태를 종합 분석한 것으로 ‘생활환경’, ‘지역경제’, ‘지역사회’, ‘교육’, ‘환경’, ‘보건·복지’, ‘문화·여가’ 등 7개 부문 26개 지표를 기준으로 조사했다.


조사결과에 따르면 전북은 7개 부문 중 ‘지역경제’, ‘지역사회’, ‘교육’ 등 3개 부문에서 낙후지역으로 선정됐다. 각 부문별로 지수값이 작은 2개 시도를 낙후지역으로 선정한 가운데 전북은 3개 부문이 지수가 낮아 전남(4개)에 이어 가장 낙후된 지역으로 손꼽혔다.


7개 부문 중 평균을 넘어선 부문은 생활환경(9.61)과 환경(9.74) 등 단 2개 부문에 그쳤다. 나머지 부문들은 전국 최하위 수준을 벗어나지 못했다. 전주시를 제외한 도내 13개 시군별로는 익산시가 9.866으로 최고지수값을 보였고, 이어 군산시(9.806)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완주군(9.406)을 비롯해, 진안(9.054), 무주(9.293), 장수(9.023), 임실(9.240), 순창(9.391), 고창(9.286) 등 7개 지역은 도내 13개 시군의 전체 평균값(9.440)도 넘지 못할 정도로 낙후도가 심했다.


배 의원은 “이번 조사를 분석한 결과 도시와 농어촌은 물론 농어촌 도시 사이에도 삶의 질과 지역발전 정도의 격차가 매우 크다는 것이 확인됐다”면서 “정부 정책으로부터 차별받는 지역에 대한 정부의 각별한 관심을 통해 지역 간 균형 발전을 이뤄야 할 것이다”고 밝혔다.
윤동길기자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