능구렁이가 황소개구리 잡아먹듯 |
---|
![]() ![]() ![]() ![]() |
중국서 토종 능구렁이가 황소개구리 천적으로 드러나 외래종 문제 정치적 이용…해법은 내 자연 속에 있다 ▲토종 붕어를 물고 있는 외래종 배스(큰입우럭). 사진=김종수 기자. 아이들과 개울... |
4대강 반대 활동가 사진을 해명자료에… 국토부 또 무단도용 드러나 |
---|
![]() ![]() ![]() ![]() |
국토부, 한 달 전 반대 활동가가 찍은 녹조류 사진 참고자료에 써 2010년에도 같은 활동가 사진 '도용' 드러나기도…국토부, "블로그 사진 퍼가는 건 괜찮아" ▲국토해양부 4대강사업추진본부가 ... |
연해주에 ‘표범 나라’ 생겼다 |
---|
![]() ![]() ![]() ![]() |
러시아, 연해주 남부에 최초 표범 국립공원 지정 북한산 33배 넓이에 아무르호랑이 10마리도 서식…한국표범의 마지막 보루 ▲수컷 아무르표범. 세계에서 가장 희귀한 대형 고양잇과 동물의 하... |
마다가스카르 동물들의 표류기 |
---|
![]() ![]() ![]() ![]() |
400㎞ 떨어진 아프리카서 `뗏목' 타고 표류…포유류·식물 90%가 고유종 원주민도 인도네시아서 표류해 도착, 서해 섬 구렁이 많은 것도 홍수 때문? ▲마다가스카르의 여우원숭이. 약 5000만... |
“비굴하게 살지 않겠다”는 이름 가진 물고기 |
---|
![]() ![]() ![]() ![]() |
황선도 박사의 물고기 이야기 ③ 조기 서해 대표 생선, '으뜸 물고기'에서 이름 유래 조기떼 우는 소리로 밤잠 설치던 칠산 바다…자원회복과 생태관광으로 되살려야 ▲조기를 말리기 위해 ... |
길이 9m, 무게 1.4t의 거대한 ‘깃털 티라노’ 공룡 있었다 |
---|
![]() ![]() ![]() ![]() |
중국 랴오닝 성서 거의 완벽한 화석 발견, 소형 공룡만 깃털 통설 뒤집어 길이 15~30㎝ 깃털 온몸에 빽빽…보온용 추정, 수컷 장식깃 가능성도 ▲거대 깃털 공룡 유티라누스 상상도. 그림=브라... |
스치는 우연, 절묘한 인연 |
---|
![]() ![]() ![]() ![]() |
채색과 유하의 한반도 도보 여행기 ⑤ 원주 한알 학교 장일순 선생이 맺어준 고리, ‘유하’와 ‘한알’ 그 대안학교에는 ‘삽질’이라는 과목도 있다 부론성당 교육관은 따뜻했다. 그런 방을 ... |
북한, `생태 재앙' 치유 나선다 |
---|
![]() ![]() ![]() ![]() |
김정은 체제 이후 첫 국제 회의 '산림 및 경관 회복 토론회' 열어…8개국 14명 북한 둘러봐 한반도 긴장 속 과학 통한 협력 돌파구 기대, "북한 전문가 초청하고 싶다" ▲산림 회복에 관한 국... |
거미는 왜 제 거미줄에 안 걸리나, 파브르도 몰랐다 |
---|
![]() ![]() ![]() ![]() |
파브르의 '기름 분비' 설명 100년 유지…'설마 대가가 틀렸을까' 스미스소니언 열대연구소, 가늘고 억센 털과 조심스런 발놀림 때문 밝혀 ▲호랑거미의 일종이 오른쪽 뒷다리를 끈적끈적한 거... |
조홍섭기자의 물바람숲 기사중에서 (0) | 2013.07.04 |
---|---|
조홍섭기자의 물바람숲 기사중에서 (0) | 2013.07.04 |
통영의 기후학교 (0) | 2013.07.02 |
기후변화를 준비하는 혜안 (0) | 2013.06.27 |
기후변화에 대처하는 우리의 자세 (0) | 2013.06.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