핵 버리고 태양 선택한 미국 새크라멘토를 가다 |
---|
![]() ![]() ![]() ![]() |
① 란초 세코 핵발전소 폐쇄의 숨은 주역, 동포 언론인 이경원 건설비 부풀리기 등 세금 낭비 폭로, 주민투표로 핵 포기 결정 여기는 가동 15년만인 1989년 조기 폐쇄된 ... |
판다가 지구를 구한다, 배설물로 |
---|
![]() ![]() ![]() ![]() |
대나무 먹는 판다 장내세균, 거친 섬유소 95%를 당분으로 전환시켜 미국 화학회 연차대회에서 미시시피 주립대 연구진 논문 발표 ▶미국 스미소니언 국립동물공원에 있는 자이언트 판다 타이... |
사라지는 생태계의 '소 우주' 둠벙을 가다 |
---|
![]() ![]() ![]() ![]() |
경기도 김포엔 아직도 둠벙에 기대 농사짓는 곳이 있다. 물벌레, 물고기, 새가 어울린 농촌 생태계의 작은 경이 펼쳐져 ▲경기도 김포시 대곶면 대능리 오룡동 마을... |
학을 닮은 옛 돌담 길 |
---|
![]() ![]() ![]() ![]() |
경남 고성 학동 돌담길이 들려주는 옛 이야기 400년 전통 마을 이어주는 소통의 담장 ▲시원스레 뻗은 돌담길 지난 8월4일 통영으로 가던 길목에 국가등록문화재 제258호 옛 돌담길 학동마... |
사람이 흉내 못 낼 갈대밭 동물들의 기막힌 건축술 |
---|
![]() ![]() ![]() ![]() |
붉은머리오목눈이, 멧밭쥐 등 갈대 숲에 둥지 정교한 매듭에, 거미줄 접착제, 몸 다림질로 마무리 하천의 가장자리에서 쉽게 만날 수 있는 것 중 하나는 갈대 숲입니다. 갈대숲은 먹이... |
아마존 강 밑에 '지하 아마존 강' 흐른다 |
---|
![]() ![]() ![]() ![]() |
지하 4㎞에서 아마존 강보다 수백 배 폭으로 느리게 흘러 브라질 과학자들 국제 학술대회서 발표, 지상의 강과는 성격 달라 ▶대서양으로 흘러드는 아마존 강 하구의 모습. 눈에 보이지 ... |
자연이 낳은 '천년숲'… 인간의 보살핌은 약일까 독일까 |
---|
![]() ![]() ![]() ![]() |
⑧ 제주 비자림 고려 때부터 비자 채취한 천연림 탐방객 급증과 비자나무 위주 관리로 자연성 위협 숲을 잘 보전하려면 그대로 내버려 두어야 하는가, 아니면 사람이 적극 관리해야 하는가. ... |
매미는 왜 밤에도 우는가 |
---|
![]() ![]() ![]() ![]() |
애매미, 털매미 등 인공조명 탓에 짝짓기 나서 기후변화로 말매미 소음 기승, 9월 기온 떨어지면 사라져 ▲말매미. 도시의 신개발 지역에서 소음공해의 주범이다. 지구온난화로 확산 일로에 있... |
공룡이 방금 지나갔나? |
---|
![]() ![]() ![]() ![]() |
경남 고성 덕명리 공룡을 찾아 떠난 여행, 아침 햇살에 되살아나는 1억년 세월 호숫가 거닐던 공룡 모습 해안 퇴적층에 오롯이 남아있어 지난 3일 늦은 저녁 경상남도 고성군... |
조홍섭기자의 물바람숲 기사중에서 (0) | 2013.07.04 |
---|---|
조홍섭기자의 물바람숲 기사중에서 (0) | 2013.07.04 |
조홍섭기자의 물바람숲 기사중에서 (0) | 2013.07.04 |
조홍섭기자의 물바람숲 기사중에서 (0) | 2013.07.04 |
통영의 기후학교 (0) | 2013.07.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