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행복의 조건, 복지국가를 가다

정치, 정책/복지정책, 문화 기획

by 소나무맨 2013. 6. 30. 14:14

본문

행복의 조건, 복지국가를 가다 - 제1부 노동

연속기획물 선택

연속기획물 6편
이전 현재페이지 1 다음
분절영상
0분 ~ 재생중
10분 ~ 재생중
20분 ~ 재생중
30분 ~ 재생중
40분 ~ 재생중

다큐 프라임

추천되었습니다

MY리스트에 추가되었습니다.
지금 MY 페이지로 이동하시겠습니까?

닫기

MY 목록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닫기
이 동영상의 소스 퍼가기

동영상을 각종 블로그, 카페 게시판에 간편하게 퍼갈 수 있습니다.

동영상 관련 정보를 함께 퍼 가시겠습니까?

복사하기 버튼을 클릭한 후, 원하는 게시판의 HTML 편집 화면에 붙여 넣으세요.

동영상 퍼가기가 안된다면?

기본으로 제공하고 있는 iframe 코드는 FlashHTML5 를 모두 지원하며, 이전 object 코드는 Flash만 지원 합니다. iframe 코드 사용이 제한된 게시판에서는 이전 소스코드를 사용해주세요.

닫기

영상설명

방송일 2013.01.14  |  재생 21490
시청자게시판
다큐프라임
 |  매주 월.화.수.목 오후 09시50분 ~ 오후 10시45분
프로그램정보  |  편성표보기
세계 최고의 복지국가라는 스웨덴, 핀란드와 같은 나라의 노동자들에게도 해고와 실업의 위험은 늘 존재한다. 그러나 이것을 두려워하는 노동자들은 없다. 해고와 실업을 두려워하지 않는 보편적 복지국가 노동자들의 삶을 통해서 최고의 복지는 노동복지를 통해 완성되는 것..
세계 최고의 복지국가라는 스웨덴, 핀란드와 같은 나라의 노동자들에게도 해고와 실업의 위험은 늘 존재한다. 그러나 이것을 두려워하는 노동자들은 없다. 해고와 실업을 두려워하지 않는 보편적 복지국가 노동자들의 삶을 통해서 최고의 복지는 노동복지를 통해 완성되는 것임을 확인한다.

<노동과 노동자에 대한 사회적 인식과 노동조건>

경제적 상위 1,000명의 수입과 세금을 공개하는 나라, 핀란드! 사회적 투명성과 사회정의는 노동과 복지가 하나가 되는 토대를 마련한다. 일하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기본생활을 보장받고 다양한 혜택을 누린다. 노동자가 행복한 이유이다. 가까운 나라 일본에서는 생활 속에서 누릴 수 있는 다양한 복지시스템으로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의 복지 격차를 보완하고 있다.

<해고와 실업이 두렵지 않다.>

대량 해고 사태에도 파업은 없었다. 2008년 해고 사태를 맞았던 볼보의 노동자들은 불안하지 않았다. 명확한 재교육 프로그램과 복지절차, 그곳엔 다양한 노동복지들이 있었다. 실업은 혼자서 짊어져야 할 짐이 아니다. 프랑스에선 실업자에게 취업지원과 직업훈련을 제공해 원활한 노동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파트타임이 곧 단시간 정규직인 나라 프랑스. 작은 회사에서 기획 일을 하는 페이텔은 주 24시간의 노동만으로도 생활에 전혀 어려움이 없다. 그 이유를 그들의 복지에서 확인하다.

<경제와 노동의 선순환>

주 36시간의 근무, 적은 시간의 노동으로도 경제를 성장시킬 수 있을까? 네덜란드에서는 주 36시간의 근무를 통해 노동자의 노동환경을 개선할 뿐만 아니라 더 많은 일자리를 만들어 낸다. 중요한 것은 노동의 질이다. 복지를 통해 노동의 질을 높임으로써 경제와 노동은 선순환을 시작하게 된다.
더보기펼치기 접기접기
관련키워드

감상평

43
감상평 작성
입력된 바이트 수0/200
소셜링크 설정하기
  • †조커†

    다큐에 언급되는 나라들은 월급의 5~60%가 세금이지만 우리의 두배를 더 받습니다. 우리가 시급5000원이면 저쪽은 10000원. 추가로 우리는 목돈에 쩔쩔매지만 저쪽은 목돈이 필요가 없죠. 의료나 교육[대학교까지], 노후 등 복지시설이 빵빵하거든요. 신고

    2013.05.06 10:14
  • †조커†

    자본주의에 대해서 얼마나 압니까? 우리나라 성장과정에 대해서 얼마나 압니까? 무조건 '우리나라만세' 만이 만사가 아닙니다. 언제까지 부르주아들의 톱니바퀴로 살겁니까? 신고

    2013.05.06 10:13
  • confident

    천국이 따로없군. 정말 부럽다. 다음생에 태어나면 북유럽이나 서유럽에서 태어나고 싶다. 신고

    2013.05.02 08:23
  • 부서진꿈

    그리스 몰락은 가만 있어도 먹고살만 할까말까 할 상황에 오랜만에 아테네에서 올림픽 열린다고 지나치게 돈을 쏟아부어서 그런거지. 우리나라도 지나치게 세계 대회 유치하면서 남에 나라한테 잘보이려고 마구 퍼주고있는데 그러다가 그리스 짝날지 누가알겠어. 영국처럼 돈 다 받으면서 행사를열어야지. 신고

    2013.05.02 05:31
  • 해바라기

    불가능하다고 외치기 전에 돌아보며 고칠부분은 고치고 발전시킬 부분은 발전시키자는 건설적인 논의부터 합시다. 신고

    2013.05.01 23:42
  • 눈빛공격

    ↓뭔 개소린지 모르겠네. 신고

    2013.05.01 23:32
  • 자유인

    이명박정권후부터.... 북유럽좌파 국가들을 "복지국가"로 부르게 바뀌었다. 우리나라만 북한왕조[극우정권]를 북한[빨갱이공산주의좌파?]로 북유럽 좌파 국가를 복지국가로 부른다.. 신고

    2013.05.01 23:27
  • 눈빛공격

    조센징 너넨 존나 일하면서 걍 뜯기고 살아라. 신고

    2013.05.01 23:19
  • dsgdgsa

    딱 서울 인구면 어느정도 가능할 듯... 신고

    2013.05.01 21:42
  • 느림보꽃

    아직도 그리스의 경제위기가 그게 다 복지 때문이라고 하는 삼류소설을 믿는 분들이 계시네;;;; 저기요 그리스는 돈G랄과 부정부패 하느라 최소한의 복지할 돈도 투기질로 꼬라박아서 망할뻔 한거예요 복지부담이 1이면 돈G랄과 부정부패로로 빚진게 400 수준인게 그리스였구만.. 신고

    2013.05.01 21:35
더보기펼치기

함께보는 동영상

함께보는 동영상 전체보기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