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혁신 성공사례 내용
- 지자체 부문 - |
1. 기초 지자체 우수사례
(나주시)
□ 주요내용 ⇒ 三位一體 농업혁신(농가연합회+농협+행정)
○ 농가연합회 : 고품질 친환경농산물 생산 전념
․ 소비자 맞춤형 멜론 생산을 위해 작기별 토양검정 실시, 친환경농산물 품질인증 취득
․ 연작장해 위기시 농업기술센터의 지도를 받아 녹비작물 재배, 객토․환토, 미생물 자가배양기 시설 등을 추진함으로써 고품질 친환경농산물로 전국적인 명성을 얻게 되는 전화위복의 계기가 됨.
○ 市 : 기술지도 및 생산인프라 지원
․ 전담 지도사가 월1회 기술지도 및 농부병 방지교육 실시
․ ‘98년 이래 시설원예 생산유통지원사업, 1지역 1특산품 육성사업, 지역특화사업, 고품질 수출멜론 생산기반조성사업, 농산물수출전문단지조성사업 등 지원
․ 특히 ‘04년 지역특화사업 20㏊(하우스 이설사업 10, 에너지 절감형 보온커텐 10)를 지원, 연작장해 해소 및 친환경 농산물 생산기반 조성 기여
○ 농 협 : 유통체계 개선 및 마케팅 전담
․ 집하 및 선별, 저장, 운반 등의 계열화로 선별능력 향상 및 인건비 절감
- 선과장 150평, 집하장 100평, 저온창고 100평, 탑차1대, 지게차 2대, 선별기 2조
․ 파종~출하까지 시기조절을 통한 연중생산으로 수취가격 제고 (20% 증)
- 농가별 파종계획 취합후 회의를 통해 파종일자 확정, 농가별 확행
․ 공동선별로 철저한 품질관리
▶ 선별․포장은 전문 선별작업반(10명)이 독립된 권한을 가지고 철저히 실시
▶ 포장재 색깔에 따라 특․상․중품으로 구분, 도매인과 소비자들에게 널리 인식돼 색깔로 주문을 받을 정도로 품질을 인정받고 있음.
▶ 철저한 리콜제 실시로 소비자 신뢰도 제고
․ 공동생산, 공동판매, 공동계산(3일 정산)제 실시
- 회원농가 전원의 합의로 공동판매를 하고 있으며, 특히 전국에서 유일하게 ‘3일 정산제’를 실시하는 독특한 공동배분방식으로 협동정신 제고
․ 단지명 : 세지멜론연합회 (대표 염만준 ☎011-643-5407)
․ 조직연도 : 1996년(2004년 도지정 수출단지 지정)
․ 재배면적 : 50㏊(118농가, 호당재배면적 1,250평)
․ 연간 생산량 : 1,200 M/T
□ 사 업 성 과
○ 1년 3기작 재배로 타작목 대비 20% 이상 고소득
- ‘04년 總소득액 : 115억원(호당소득 97백만원)/‘03년 농가당 평균소득 27백만원
○ ‘02년 일본에 처녀수출, 현지농가․단체로부터 견제를 받았으나 친환경․고품질 생산으로 대처, 2004년 6월 일본 후생성의 병해충 및 잔류농약 정밀검사를 통과, 지속적인 수출신장 추세
※ 수출 추이 : 294천$(‘02) → 1,450천$(’03) → 1,950천$(‘04) → 2,550천$(’05년계획)
→ 전국 멜론시장의 20% 점유, 2003년 100만불 수출탑 수상
□ 향 후 계 획
○ 고품질 농산물 생산 전념
- ‘05년 계획 : 미생물 자가배양기 설치 3대, 하우스이설 18,000평 등
○ 수출증대 계획 : ‘04년 대비 30%
※ 담당부서 : 나주시 배원예과 시설원예팀 윤방현
TEL : 061-330-8349 FAX : 061-330-7825
녹색농촌체험마을 우수사례 (의성군 교촌마을)
- 1차(농업), 3차(관광) 산업을 융합한 지역발전 사례 -
(의성군)
□ 주요내용
< 마을현황 >
◦ 소재지 : 경상북도 의성군 안계면 교촌리(‘02 녹색농촌체험마을)
◦ 가구수 : 65가구 (농가 51가구)
◦ 인 구 : 170명
◦ 주요 농특산물 : 쌀, 고추, 양파, 마늘
◦ 녹색농촌체험마을 사업내용 : 마을공동숙박시설(지붕 및 전기공사, 화장실 신축공사, 내외부 도장․포장, 숙박시설공사 등)
< 사업발굴 >
◦ 폐교를 개조하여 체험학교 조성(‘02년)
- 용도 : 1층 강의실 및 식당, 2층 강의실 및 숙소
- 체험학교 부지를 주민이 출자하여 구입(1억8천만원 2,400평)
◦ 마을공동시설 운영 : 방앗간(떡, 참기름, 엿기름, 손두부, 메밀묵, 엑기스 등)
◦ 팜스테이 민박 운영 : 11농가 16실(최대 63명 수용)
◦ 전임 사무국장 고용
◦ 마을 부녀회의 적극적인 참여
□ 사업성과
◦ 전임사무장을 고용하여 체험학교를 중심으로 농촌체험관광사업을 활발히 추진하고 있음(체험학교 부지를 주민이 출자하여 구입함)
* 주민출자 : 56명 1억 8천만원
◦ 마을부녀회가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팜스테이사업 활성화(11가구 운영), 여성 일감 갖기 사업장 ‘떡방앗간’은 모범적인 운영 모델임
* 부녀회는 교촌마을의 핵심적인 축으로 공동체 유지 및 공동사업 추진에 일조
◦ 타 농촌마을에 비해 젊은인력(60대 이하 44%)이 많은 편으로 농촌체험관광사업에 적극 동참
◦ ‘04년 마을소득이 ’03년에 비해 2배 수준으로 증가했으며, 방문객수 또한 2배 수준으로 증가함
- 159백만원, 1,700여명(‘03) → 270백만원, 방문객수 3,400여명(‘04)
□ 향후 계획
◦ 인근 단밀면 위중리에 녹색농촌체험마을로 조성중인 용암마을과 연계한 체험프로그램 운영
◦ 농촌관광사업을 통해 소득향상 기대보다 도시민을 유도하여 과거농가 소득 유지(현실적 목표)
◦ 환경농업에 의해 생산한 농산물을 도시민과 직거래로 소득 보전
◦ 팜스테이사업을 통해 도시민과 신뢰구축으로 고정고객 확보
◦ 숙원사업으로 벼농사 문화체험관 조성 희망 : 전시관, 체험관
담당부서 : 의성군 산업과 농정관리
TEL : 054-830-6264 FAX : 054-830-6239
녹색농촌체험마을 우수사례 (횡성군 산채마을)
- 1차(농업), 3차(관광) 산업을 융합한 지역발전 사례 -
(횡성군)
□ 주요내용
< 마을현황 >
◦ 소재지 : 강원도 횡성군 둔내면 삽교1리 산채마을(‘04 녹색농촌체험마을)
◦ 가구수 : 37가구 (농가 22가구)
◦ 인 구 : 110명
◦ 주요 농특산물 : 고랭지감자, 산더덕, 산채(더덕, 취나물, 고사리, 둥굴레 등), 약초(당귀, 오미자), 오가명가(가시오가피) 등
◦ 녹색농촌체험마을 사업내용 : 민박시설, 전통초가․정자각 설치, 산채공원, 체험장 정비 등
< 추진경과 >
◦ ‘99년~2004년까지 강원도 역점시책인 새농어촌건설운동 추진
- 2004년 도우수마을 수상 : 상사업비 5억원
◦ 2000년부터 산채단지 조성 운영
◦ 2004년도 녹색농촌체험마을조성사업 추진
◦ 2004년 : 태기산채관광농원 지정 운영
- 태기산채영농조합법인 (대표 김학석, 마을주민 18명 출자운영)
□ 사업성과
◦ 산채마을은 젊고 역량이 우수한 마을 지도자를 중심으로 99년부터 마을공동사업(공동작목반)을 추진해 오면서 누적된 경험과 마을주민간의 확고한 결속력으로 농촌체험관광사업을 선도적으로 추진 중에 있음
◦ ‘산채’를 테마로 체험프로그램을 특화하여 타 체험마을과 차별화함
- 현재 마을에서 생산되는 산채와 약초는 그 생산량이 주문량을 소화할 수 없을 정도이며, 가구당 소득이 노동이 힘든 초고령 가구를 제외하고 평균 4천~5천만원에 달할 정도로 마을공동사업의 성과가 큰 마을임
◦ ‘04년 사업추진으로 농촌관광소득이 51백만원, 방문객수가 2,800명으로 증가함
□ 향후 계획
◦ 전국최고의 산채체험마을로 특화 운영
- 1사1촌의 내실화, 방문객의 DB화를 통한 지속 관리, 산채채취와 다양한 체험프로그램 연계 운용
◦ 사계절 체험객 유치방안 강구
- 사계절 체험이 가능하도록 성우리조트등 인근 연계관광자원을 활용 전천후 프로그램 운영
◦ 가족단위 체험객을 위한 숙박시설확충 및 전통체험시설 확대
- 펜션(민박) 확충 및 직거래등을 통한 산채판매 확대, 전통체험 프로그램 개발 운영
담당부서 : 횡성군 농업정책과 농촌개발담당
TEL : 033 - 340 - 2382 FAX : 033 - 340 - 2598
제목: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관광자원 개발
(완도군)
□ 주요내용
○ 추진배경
- 청해진을 설치한 장보고 대사의 일대기를 담은 특별기획드라마 『해신』 세트장을 완도군에 설치하여 장보고 대사의 정신과 얼을 고 취시키는 국민 교육장 및 해양 관광자원 개발로 지역경제 활성화 도모
○ 사업개요
- 위 치: 전라남도 완도군 완도읍 대신리(소세포)외 1
- 규 모: 30,000평(소세포20,000평, 훈련원 10,000평)
- 총사업비: 150억원(KBS 100, 도비25, 군비25), 민자유치 30억원
- 사업내용
. 청해포구마을(소세포) 58동(장보고본영, 객사, 저자거리등)
. 당나라신라방(청소년훈련원) 42동(시전거리, 수로시설등)
- 드라마촬영기간: 2004. 11 ~ 2005. 5 (51부작)
□ 추진상 애로점 및 극복방안
○ 재정적 부담
○ 지역주민과의 갈등과 민원해소
○ 세트장 건립을 위한 관련법규 적용의 비효율성
○ 드라마 제작의 전문영역에 대한 상식과 이해 부족
○ 행정조직내의 경직성과 부서이기주의
□ 사업성과
○ 하루평균 2만여명의 관광객 급증으로 지역경제 활성화
○ 50억원 투자로 600억 경제적 효과 및 지역이미지 상승효과 거양
○ 영구 건축 시설로 전국 최고의 관광명소 자리매김
○ 민자 30억을 유치하여 열악한 지방재정의 한계를 극복
□ 향후계획
○ 전라남도 관광지 지정 고시(문화관광부 협의)
○ 관광 특구 지정 신청
유용곤충자원 R&D 및 산업화 혁신사례 |
(경상북도 예천군)
□ 추진배경 및 주요내용
○ 추진배경
․ 경북 최북단 소백산 끝자락으로서 기온, 강수량, 일조량 등 자연조건이
곤충연구와 육성의 최적지인 점을 감안, 지역발전역량을 강화하고
친환경농특산물 생산으로 농가 소득증대를 위해 ‘97년부터 전국최초
지자체 직영연구소인 ‘예천군산업곤충연구소’를 설립하고 산학연관민의
혁신네트워크를 구축해 머리뿔가위벌과 호박벌 등 화분수분매개곤충을
집중연구 증식 방사하는 곤충 연구사업을 추진.
○ 주요내용
․ 화분매개곤충 연구 증식사업 및 상업화 노력
- 호박벌 증식기술개발 연구 등 7건의 자체 연구기술개발과 5건의
상업화기술 확보
- 머리뿔가위벌 및 호박벌 등 화분매개곤충류 70여만수 증식 판매
- 꽃가루 압착기 등 5건의 상업화기술 개발 확보
․ 머리뿔가위벌의 농가무상공급(1,224농가) 및 호박벌 염가공급(480농가)
을 통한 친환경농업의 저변확대와 기반 구축
․ 친환경 재배 농업인에 대한 지속적 교육(100여회)과 국내 유통네트워크
구축을 통한 BT시장의 잠재가치 도출
․ 지속적인 기술개발 투자 및 교류 홍보활동
- 신기술 확보를 위한 네델란드 등 국제 전문가와의 20여회의 기술교류
- 산업곤충연구소를 교육홍보의 장으로 개방해 1만여명 내방 관람
□ 추진상 애로점 및 극복방안
○ 애 로 점
․ 재정자립도 13%대의 어려운 여건에서 군비만으로 연구소를 직영
․ 곤충바이오산업에 대한 농가와 관계인들의 인식부족으로 사업확대 난관
- 농가의 적용 기피와 생산물의 시장성 불투명
․ 국내 연구선례 부재와 2-3명의 연구인력 등 연구개발 역량의 한계로
많은 시행착오
○ 극복노력
․ 지속적 예산투자 : 매년 군비예산을 3-5억원 지속적으로 투자 육성
․ 농업인에 대한 지속적 교육과 홍보, 무상보급으로 친환경 참여기반
확보
․ 지속적 R&D투자 및 네트워크화 추진으로 국내외 신규시장 확보 노력
□ 사업성과
○ 예천군산업곤충연구소가 국내외 생태관광 R&D중심지로서 급부상
․ 화분매개곤충 분야의 블루오션 전략 성공
- 다년간 연구역량 축적으로 국내 독보적 입지기반 확보
(시설원예수분용 호박벌 증식기술개발연구 등 7건의 연구성과 발표)
(대량증식 핵심기술개발 등 5건의 상업화기술역량 확보)
․ ‘98년 개관이래 국내외 곤충전문가, 학계, 관련단체, 학생 등 전문인
1만여명이 내방 견학 및 관람
․ 일선농가의 친환경 교육장으로서 친환경 생태농업 선도
- 농가의 이용만족도 조사결과 87.5%가 만족으로 응답
(나머지 12.5%는 보통)
2. 광역 지자체 우수사례
전라북도-occupy전북
13년만의 LS전선(주) 전북 이전 유치 성공
(수도권 대기업의 지방이전 성공사례)
(전라북도)
□ 주요내용
○ LS전선(주) 현황
- 사업장 : 전국 5개소(군포, 안양, 구미, 안동, 정읍)
- 매출액 및 총자산 : 연매출 1조9천억원, 자산 1조7천억원
- 종업원 : 3천5백 여명
- 군포공장 현황
․규모 : 부지면적 7만9천평, 건물면적 33천평
․자본금 및 매출 : 자본 6백91억원, 연매출 3천5백억원, 수출 1억5천만불
․사업부: 트랙터, 사출, 공조, 특수 등 4개 사업부
○ 추진경위
- 90년대초 LS전선(주) 트랙터수요증가 대비 호남권 이전 구상 정보 입수
- 전북도 유치활동 결과 전주3공단 입주확정 및 계약체결 : ‘92. 2월
- 96년부터 공장건설중(98%진척) IMF 금융위기로 공사 및 이전중단
- LS전선 트랙터 보조금중단 및 내수부진 적자로 군포공장 매각추진
- 99년8월 수도권지방이전촉진대책 발표(세제, 금융, 부지매입, 배후도시개발 등 포괄적인 지원대책)
- 전북도에서 군포공장(79천평) 매각하고 트랙터 사업뿐만 아니라 사출기 등 기타 3개 사업부도 동시에 이전토록 요구
- 당초 LS전선(주)은 난색을 표했으나 전북도의 끈질긴 설득으로 트랙터 포함 3개 사업부까지 이전 확정 : ‘04. 12월
□ 추진상 애로점 및 극복방안
○ LS전선측 현군포공장 부지를 공업지역에서 주거지역으로 도시계획상 용도변경 또는 한국토지공사의 부지 매입 요구(2천5백억원)
- 매각대금의 이전비용 충당계획에 따라 요구사항이 관철되지 않으면 이전 불가
- 경기도 및 군포시는 경제단체 및 시의회 등 반대로 용도지역 변경 불가
- 토공은 부지매입을 위한 채권 발행시 부채증가로 부실공기업 평가 우려 불가
○ 지속적이고 끈기있는 전북도 유치노력 및 파격적 인센티브 제공
- ‘01년까지 대통령 건의 등 15회 이상 관련기관 방문 협조 요청
- 민선3기 취임과 동시 도지사 중심 적극 이전 추진
- ‘02년4월 추병직 건교부차관(현 장관) 방문 지원 협조 요청
- 건교부의 적극적 지원노력 : 관련기관 대책회의 5회 등
- 강현욱 지사는 손학규 경기지사, 김진호 토공사장, 청와대 등 관련기관장 대상 15회 이상 건의 및 설득
- ‘03년8월 LS전선 이전 보조금 지원 조례 개정 및 50억원 지원
□ 사업성과
○ LS전선(주)이전시 기대효과
- 투자규모 : 1,400억원
- 고용창출 : 신규고용 230여명, 이전고용 600여명
- 인구유입 : 1,800여명, 아파트 분양 500세대
- 소득증대 : 노임소득 406억원/년, 수출증대 1.5억불/년
- 생산증대 : 3,500억원/년
- 지방세수 : 년간 28억원
- 산업단지분양 : 15,000평
- 협력업체 추가 동반 이전 : 30개 업체
□ 향후 계획 : LS전선(주) 이전성과 극대화 노력
○ 전주과학산업단지 개발계획 변경으로 입주업체 배려
○ 추가 이전 협력사 유치 활동 지속 추진
○ 이전 완료 기업에 대한 보조금 지급 및 자금 알선 신속 처리
○ 이전 협력업체 입주 예정부지 소필지화로 입주편의 제공
○ LS전선(주) 도민 환영대회 개최
담당부서 : 전라북도 경제통상실 기업지원과 기업유치담당
TEL : 063) 280 - 3237 FAX : 063) 280 - 0000
캐나다 리나마사 전북 유치
(해외 기업유치 성공사례)
(전라북도)
□ 주요내용
○ 전라북도 지역혁신발전 5개년 계획중 4대 전략산업인 자동차 부품 및 기계산업 육성을 위해 해외기업유치
○ 캐나다 굴지의 자동차 부품 생산업체인 리나마사의 동북아 진출계획을 사전에 입수하여, 도지사 등 관계공무원의 캐나다 현지방문 세일즈 활동을 전개 유치에 성공함.
※리나마사(Linamar Corp.) 현황
- 본 사 : 캐나다 온타리오주 Guelph시
- 연매출액 : 18억불
- 생 산 품 : 자동차 부품(엔진, 트랜스미션, 샤시부품 등)
- 종업원수 : 1만여명
- 제조공장 : 37개소(캐나다25, 미국4, 헝가리5, 멕시코3)
□ 추진상 애로점 및 극복방안
○ 애로사항
- 국가간(한국 대 중국) 경쟁, 국내(전북, 대구, 충북, 경기) 경쟁 과열
- 타 유치지역과 비교 세제혜택등 다양한 인센티브 지원요구
○ 극복방안
- 도지사 및 행정부지사 등 관계 공무원의 캐나다 본사 홍보 방문 등 적극적 유치 활동으로 상호 신뢰감 구축
- High-Tech에 필요한 한국의 우수한 인적자원 홍보
- 파격적 투자 인센티브 제공으로 투자동기 부여
- 대중국 전진기지로서 타지역 대비 입지의 우수성 적극홍보
- 군산 GM대우, 전주 현대상용차 등 자동차산업 클러스터 구축 홍보
□ 사업성과
○ 군산 자유무역지역 표준공장내 4천여평에 공장설립 및 투자 확정
- 고용창출 : 직접 고용 300 ~ 600여명, 간접고용 3,000여명
- 투자규모 : 1차 35백만불, 2010년까지 총 7천만불
- 도입기술 : 6단기어 트랜스미션 핵심부품 가공기술
○ 멕시코 3개사, 헝가리 5개사 등 한 지역내 집중투자에 따른 클러스터 형성으로 군산 제1공장이 아시아 핵심 사업본부로 육성 기대
□ 향후계획
○ MOU체결(2005. 4. 15)에 따른 후속 조치 조기이행 유도
○ 2단계 추가 증설 및 투자 유도
○ 도내인력 고용창출 및 고용규모 확대 유도로 지역경제 활성화
○ 기술이전 및 파급효과 확대를 위한 행정적 지원 강화
○ 리나마사와 공동으로 자동차 관련업종 도내 유치활동 추진
담당부서 : 전라북도 경제통상실 국제통상과 외자유치담당
TEL) 063-280-4593 FAX) 063-280-3868
지역항공사 설립 운영
???????????????????????????????????????
(제주도)
? 주요내용
○ 사업추진 배경 및 목적
- 국내 항공수요는 고속철도 개통 등으로 지속적인 감소 추세에 있음에도 불구하고, 국내 항공운송사업은 대형항공기를 이용한 국제선 위주의 고비용 구조로 인한 국내선 적자를 계속적인 요금 인상과 비수익 노선에 대한 감축운항으로 해소
- 제주도는 지역 여건상 전체 내왕객의 92% 이상인 연간 1천만명 이상이 항공교통을 이용하고 있어 도민 및 관광객 등 이용객의 편익을 증진하고,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하여 국내노선 여건에 적합한 중소형 항공기를 이용한 저비용․저렴한 요금 구조의 지역항공사 설립이 필요
- 정부시책인 지방공항 활성화 및 항공산업 발전 등을 통한 국가균형 발전에도 기여하게 됨.
○ 사업개요
- 사업형태 : 중소형항공기를 이용한 저비용구조의 항공사
- 상 호 : (주)제주에어 (‘05. 1. 25 설립 등기)
- 자 본 금 : 400억원(도 50억원, 민간자본 350억원)
- 항공기 대수 : 74인승 터보프롭 항공기 5대
- 초기노선 : 4개노선 (제주↔김포/부산, 김포↔부산, 김포↔양양)
- 항공요금 : 기존 양 항공사의 70%수준
○ 주요 추진상황
- ’01. 2 ∼ 3월 : 항공요금 인상반대 도민의 총체적 저항
∙ 3만여명 궐기대회, 168천여명 서명, 국회․정부 건의 등 다각적 노력
- ’01.3∼’02.6월 : 지역항공사설립연구단 구성 운영(12명)
- ’01.8∼’02.3월 : 제주도를 거점으로 하는 국내항공운송사업 타당성에 관한 연구(교통개발연구원)
- ’02. 8. 24일 : 지역항공사설립추진행정지원단 발족(6명)
- ’02. 11. 8일 : 지역항공사설립추진자문위원회 구성(12명)
- ’02.11∼’03.7월 : 외국지역항공사 운영실태 벤치마킹(미국, 유럽, 일본)
- ’03.3∼12월 : 지역항공사 설립을 위한 경영컨설팅(한국능률협회)
- ’04. 9. ~ 12. : 사업파트너(민간유치) 공개모집 및 심사 결정
※ 애경그룹 ARD홀딩스(주)외 5개업체 (컨소시엄)를 사업파트너로 선정
- ’04. 12. 16일 : 지역항공사 설립 협약체결(애경 ARD홀딩스(주)외 5개사)
- ’05. 1. 25일 : (주)제주에어 법인설립(대표이사 : 주상길 )
- ’05. 5. 24일 : 기종 선정 (캐나다 봄바디어사 Dash8-Q400(74인승))
- ‘05. 7. 1일 : 정기항공운송사업 면허신청(건설교통부)
? 추진상 애로점 및 극복방안
○ 추진상 애로점
- 지역사회 일부에서 지역항공사 설립에 대한 안전성․경제성 등에 대한 우려 제기로 사업추진 지연
○ 극복방안
- 관련전문가 등으로 자문위원회를 구성 사업추진의 전문성 등 제고
- 언론홍보, 팜플렛 제작․배포, 교육 등 지속적 홍보
- 도의회 수시보고(설명), 지역 및 관련 국회의원 방문 브리핑, 건교부 등 관련기관 방문 협의 등을 통한 지역항공사 설립 기반조성
- 시민단체 및 학계 주관 토론회 및 세미나 개최, 방송 토론회 등을 통한 투명성 확보
? 기대효과
○ 도민․관광객 등 이용객의 경제적 부담경감, 좌석난 해소 및 항공이용선택의 폭 확대 등 항공서비스 향상
○ 관광수요 창출 및 고용증대로 지역경제 활성화 기여
∙ 매출증대 2,387억원, 부가가치 1,388억원, 연간 16,491명 고용효과
○ 국제자유도시 및 남북교류협력시대 대비 연륙항공교통망 확충
○ 지방공항 활성화 및 국내 항공 산업발전 등 국가 균형발전에 기여
? 향후 계획
○ ’05년 : 정기항공운송사업면허 및 운항증명취득, 인력채용․시설확보 등 사업(운항)개시 준비
○ ’06년 : 항공기 도입, 시범운항 후 정식 취항
담당부서 : 제주도 지역항공사설립행정지원단
TEL : (064) 710-3060~4 FAX : (064) 710-3069
3. 신활력사업 우수사례
생약초 특화지역 조성사업
????????????????????????????????????????????????????????????????
(정선군)
□ 추진경과
○ 사업선정
- 2004.10.18 : 사업계획 공모(11개 기관단체 및 실과소, 읍면)
- 2004.12.10 : 신활력사업 T/F팀 구성(9회)
○ 계획수립
- 2004.11. 5~2004.12.20 : 지역내 혁신인사 등 의견수렴(3회)
- 2004.12. 6~2004.12.28 : 대학, 연구소 등 협의(3회)
- 2004.12.10~2005. 5.30 : T/F팀 회의 개최(9회)
- 2004.12.22~2005. 3.21 : 지역혁신협의회 자문 등(5회)
- 2005. 1.21~2005. 3.30 : 전문가 컨설팅(5회)
- 2005. 1.29~2005. 2. 4 : 정선군의회 의견조회 및 설명(2회)
- 2005. 1.29 : 최초 계획서 제출
- 2005. 4.15 : 계획서 수정·보완 제출
- 2005. 5.30 : 총괄 시행계획 수립 완료
○ 신활력사업 관련 부서 설치
- 2005. 1.15 : 혁신분권담당관 신설(신활력사업 계획 수립)
- 2005. 5.13 : 신활력사업팀 신설(3명, 신활력사업 추진)
□ 사업내용
○ 비전 : 백두대간 약초나라 조성
- 생약초 산업클러스터의 구축으로 생약초 연관산업을 정선군의 대표적인 특화산업으로 육성
- 생약초 재배의 복합산업화로 농촌 소득기반 고도화
- 안정적인 지역소득 기반 조성으로 농촌 정주기반 조성
- 관광자원과 연계로 경제 활성화 효과 파급을 통한 지역활성화
○ 세부 사업내용
- 생약초 클러스터 형성 : 혁신적 마인드를 가진 정선인 육성
- 생약초 재배지 확충 : 생약초 안정적 공급을 위한 생산량 확보
- 생약초 식품 개발․생산 : 생약초 가공으로 부가가치 향상
- 생약초 브랜드화․마케팅: 가공 생약초 판로확보, 부가가치 창출
- 생약초 체험마을 육성 : 생약초 재배·가공·판매와 관광산업 융합
○ 기대효과
- 시장 활성화에 다른 고용창출 효과 : 연인원 1,000명 이상 고용
- 고랭지 채소 재배 농가의 생약초 재배 전환을 통한 소득안정 : 2003년 고랭지 채소재배 2,400ha ⇒ 약초재배 1,000ha
- 생약초 축제를 통한 관광객 증가 : 연간 6,000명 이상
□ 향후계획
○ 각 부문별 사업 본격 시행
- 세부 사업별 추진부서 기 지정
- 각종 사업 조기 발주(총괄 : 신활력사업팀)
- 사업 추진위원회 등 구성, 협조체계 구축
○ 신활력사업 홍보 실시
- 언론매체, 군보, 홍보물을 통해 참여 분위기 조성
- 읍면 및 마을별 설명회 개최
담당부서 : 정선군 혁신분권담당관 혁신분권담당
전화 : 033-560-2153 팩스 : 033-560-2903
진도홍주 명품화 사업
?????????????????????????????????????????????????
(전남 진도군)
추진경과
신활력사업 발굴을 위한 군민 등 의견수렴 및 선정 회의개최
- 의견수렴(‘04. 10.27-11.13),실무운영위원회(’04.11.26),지역혁신협의회(‘04.12.6)
- 선정결과 : 『진도홍주 명품화 사업』
- 선정배경
․진도만이 가질수 있는 타지역과의 차별성과 수익성, 파급효과 높음
․홍주 명품화 사업은 1차․2차․3차산업의 융화로 경쟁력 높음
신활력사업 계획수립을 위한 T/F 구성운영 : 2개팀/37명
신활력사업계획 수립을 위한 벤치마킹 : 지초재배지, 술박물관 등
신활력사업에 대한 군민, 공무원,의회 전문가 의견수렴 :4회/400여명
- 공무원(‘05.1.4),의회(’05.1.17),군민(‘05.1.18),지역혁신협의회(’05.1.27)
사업내용
RIS 구축 등 4개분야 8개사업
- 4개분야 : RIS 구축, 홍주 원재료 산업화, 홍주제조 유통 판매,
홍주체험관광
- 8개사업 : 지역혁신프로그램 운영, 지초재배 연구 및 농가재배지원, 지초산업화 연구, 홍주부산물 이용 홍우/홍돈 축산사업, 홍주 표준화 연구개발, 홍주 브랜드개발 및 마케팅, 홍주 연구센터 및 숙성고구축,
홍주 궁합음식 개발
진도홍주 명품화 신활력사업으로 인한 1차2차3차산업 전반에
걸쳐 6년간(‘05~’10) 총 3,381억원의 수익증대가 예상됨
- 1차산업 : 1,545억원(지초 97,쌀보리 111,축산업 1,337)
- 2차산업 : 1,351억원(제조증가 1,035, 부산물절감액 20, 지초가공식품 296)
- 3차산업 : 485억원(문화체험 251, 관람료 20, 음식업 102, 숙박업 61,특산품 51)
제조/유통/관광분야 생산유발 효과로 인한 고용창출 기대
향후계획
지역혁신체계(RIS) 구축 마련
- 전통주 관련사업 벤치 마킹
- 홍주 명품화 사업 자문
- 혁신역량 교육 실시
홍주 원재료 산업화 추진
- 지초 효능 및 산업화 연구
- 홍주 부산물 이용 축산사업
홍주 제조․판매․유통 활성화
- 홍주 표준화 연구
- 홍주 CI 및 디자인 개발
- 연구 센터 및 숙성고 구축
홍주 체험관광
- 홍주 궁합음식 개발 및 전문가 양성
- 홍주 궁합음식 품평회 및 경진대회
담당부서 : 진도군 기획예산실 혁신분권담당
전화 : 061) 540 - 3106 팩스 :061) 540 - 3574
괴산Bio씨감자특성화사업
????????????????????????????????????????????????????????????????
(괴산군)
□추진경과
○균형위 및 행정자치부 신활력지역 선정 ‘04. 8. 23.
○신활력사업 선정(괴산군지역혁신협의회) ‘04. 12. 30.
○지역혁신발전토론회 개최 ‘05. 4. 14.
(“Bio씨감자를 세계로” 주재 - 충북도지사)
○신활력사업 최종계획서 제출(균형발전위원회) ‘05. 4. 15.
○신활력사업계획 심의․의결(인센티브) ‘05. 4. 30.
○Bio씨감자기획팀 구성 운영(8명, 단장 부군수) ‘05. 5. 2.
□사업내용
○개요
․사업목적
-지역혁신체계를 구축 및 혁신형 발전 모색
-괴산Bio씨감자 특성화로 소득향상과 지역발전 기여
-괴산감자를 1,2,3차산업분야에서 융합․발전시켜 지역소득 창출
․사업기간 : 2005 ~ 2007(3년)
․사 업 비 : 10,050백만원(국비8,050 군비2,000)
․사업내용
-RIS구축 및 혁신역량강화
-괴산Bio씨감자 신활력사업 기반구축
-괴산Bio씨감자 홍보 및 마케팅사업 & 투어리즘
○기대효과
․신활력사업에 의한 자립형 지방화의 선도지역으로 성장
․다양한 혁신주체의 활동으로 괴산Bio씨감자 산업클러스터 구축
․괴산Bio씨감자 경쟁력 제고로 “미래의 땅, 살기좋은 괴산” 웅비
□향후계획
◦괴산Bio씨감자 혁신클러스터 추진체계 구축
․괴산아카데미운영, 괴산BSPIA설립추진
◦괴산Bio씨감자 생산기반 구축
․Bio씨감자 생산 교육 사업
․Bio씨감자 생산기술 연구사업
․Bio씨감자 생산 사업
◦괴산Bio씨감자 유통체계 기반구축
◦괴산Bio씨감자 브랜드화 및 규격화 사업 추진
담당부서 : 괴산군 혁신경제기획단 Bio씨감자기획팀
전 화 : (043) 830 - 3795~8 팩스 : (043) 830 - 3799
생태건강산촌 만들기 지역마케팅전략 ??????????????????????????????????????????????????????????????????????????
(전북 진안군)
□ 추진경과
○ 신활력 사업계획을 스스로 기획․추진할 수 있는 혁신체계 구축
∙ 신활력사업 TF팀을 구성하여 진안군 스스로 관련계획을 검토하고, 신활력 사업계획을 기획․추진․평가해 나갈 수 있는 실무적 수행체계 구축
- 지역혁신팀은 혁신업무를 담당하면서 신활력사업을 총괄하고, 총 9명으로 구성된 전임계약직의 정책개발팀은 사업계획 수립에 있어 아이디어를 제공하고 계획서 초안작성 및 최종편집을 담당
- 진안군에 혁신을 불어넣을 수 있는 실무형 인사로 전진 배치된 지역혁신협의회의 제안을 적극적으로 수렴하고 사업추진과정에도 적극적으로 참가
○ 계획수립의 추진경위
∙ 조직내․외 업무 조정과 역할분담 실시
○ 신활력 사업 내용의 확정 경위
∙ 신활력사업 계획 수립지침 시달(2004.12.2)이후 공무원 혁신 아이디어 제출, 지역주민․의회 설명회 및 간담회, 지역혁신협의회 토론회 등 단기간에 집중적으로 다양한 의견수렴을 실시
∙ 지역혁신협의회 제2차 토론회(2005.1.5) 및 확대간부회의(군수, 부군수 참석), 관련 실과소장 협의 등을 거쳐 신활력사업 기본 테마와 3대 정책과제 및 6대 핵심사업을 도출하고 지역혁신협의회 임원회의에서 일부 조정하여 최종 결정(2005.1.14)
- 기본테마 : 생태건강산촌 만들기 지역마케팅 전략
- 정책과제 1 : 진안알리기 -- 지역마케팅 전략 도입
- 정책과제 2 : 인재만들기 -- 지역혁신역량 강화와 지역혁신체계 구축
- 정책과제 3 : 경제살리기 -- 지역선도산업 육성 및 미래선도산업 기반 구축
■ 2004년 신활력 사업계획 수립 경위
추진시기 | 추진지표 | 진안군 주요 추진내용 | |
| 7월 - 8월 | 신활력지역 발전 구상 발표 | ․국정 모니터링 (신활력 사업 사전 연구, 검토) ․진안군 선정 시나리오에 의한 업무 분담 논의 |
| 9월 | 신활력지역 선정․고시 | |
| 9월 | 과제 발굴 개시 | ․지역혁신팀, 전 직원 혁신아이디어 수집 - 신활력사업 과제 및 아이디어 조기 발굴 |
| 10. 14 - 15 |
| ․신활력사업 중앙 1차 워크숍 참가 (충남 청양) - 추진과제 및 발전방안 논의 |
| 11. 3 |
| ․전라북도 신활력사업 연찬회 참가(전북도청) - 신활력사업 논리 및 계획 수립방안 제시 |
| 11월 |
| ․지역혁신협의회 구성 및 운영 준비 |
2004년 | 11월 |
| ․지역혁신팀과 전임계약직, 신활력사업 과제발굴을 위한 공동토론회 개최(3회) - 신활력 사업 핵심사업 및 대상사업 발굴 |
| 12. 2 - 3 |
| ․신활력사업 중앙 2차 워크숍 참가 (전북 남원) - 사업계획서 수립지침 시달 등 - 지역혁신팀과 전임계약직, 자체 워크숍 개최 |
| 12월 | 공무원 의견수렴(3회) | ․실과소ㆍ읍면 주무담당 설명회 및 토론회(3회) - 신활력사업 추진지침 및 현장과제 발굴 |
| 12월 | 주민 의견수렴(3회) | ․주민 대상 사업 설명회 및 의견 수렴(3회) - 신활력사업 추진지침 및 현장과제 발굴 |
| 12. 15 | 지역혁신협의회 의견수렴 | ․지역혁신협의회 창립 및 신활력사업 1차 토론회 - 신활력사업 성격 및 진안군 발전방향 토론 |
| 12. 27 | 의회 1차 간담회 | ․군 의원 설명회 및 간담회 - 신활력사업 성격 및 사업구상 설명, 토론 |
■ 2005년 신활력 사업계획 수립 경위
추진시기 | 추진지표 | 진안군 주요 추진내용 | |
| 1. 5 | 협의회, 4가지 테마(안) 토론 | ․지역혁신협의회 신활력사업 2차 토론회 - 신활력사업 4가지 주제(테마) 제시, 토론 |
| 1.6-14 | 기본 테마(주제) 확정 | ․지역혁신협의회 사업안 토론 - 2회, 메일송수신에 의한 의견 교환 ․부군수 주재 관계 실무자 회의 - 다양한 아이디어 종합, 토론 - 신활력사업테마(주제) 결정 |
| 1월 |
| ․단체장 및 관련 실과소장 협의 - 매주 간부회의 보고, 토론, 협조 요청 |
| 1. 14 | 협의회, 3대 정책과제 및 2대 핵심사업 등 확정 | ․지역혁신협의회 임원회의 - 신활력 단위사업안 설명 및 토론, 확정 |
2005년 | 1. 15 |
| ․신활력사업 추진 실무TF팀 구성 및 1차조정회의 - 신활력사업 단위사업 설명, 협조회의 |
수정 전 | 1. 18 |
| ․신활력사업 실무TF팀 2차조정회의 - 단위사업안 조정 및 협조회의 |
| 1. 21 | 단위사업안 실무조정 완료 | ․신활력사업 실무TF팀 3차조정회의 - 단위사업안 조정 및 협조회의, 결정 |
| 1. 25 | 의회 2차 간담회 | ․군 의원 대상 2차 사업설명회 및 간담회 - 신활력사업안 설명 및 토론, 협조 요청 |
| 1. 27 |
| ․신활력사업 지역순회 설명회 참석(담양) |
| 1. 29 |
| ․군수, 부군수 신활력사업 초안 결재 |
| 1. 31 | 1차 사업계획서 제출 | ․전북도 경유, 행자부 및 균형위 제출 |
| 2~3월 |
| ․신활력사업 실무추진 TF팀 협의 수시 개최 ․사업추진을 위한 민간 공동파트너 발굴 및 협의 |
| 3. 24 | 자문위원 심의결과 접수 | ․신활력 자문위원회 수정ㆍ보완 요구서 접수 |
수정 후 | 3. 24 ~4월 |
| ․수정지시사항 검토 및 대응방안 도출 ․균형위/행자부 워크숍 참석. 자문위원 개별 접촉 ․실무 TF팀 수정 조정회의 개최(3회) |
| 4. 7 | 지역혁신협의회, 수정보완사항 전달 | ․지역혁신협의회, 수정방향 및 내용 심의, 동의 |
| 4. 14 | 수정안 확정 | ․수정계획서 최종 확정, 결재 |
| 4. 15 | 수정계획서 제출 | ․전북도 경유, 행자부 및 균형위 제출 |
| 4. 26 | 2차 수정보완 지시 | ․대도시 복합형 안테나숍 사업계획 삭제(기획예산처) ․대체 사업계획안 제출 요구 |
2차 수정 | 4. 29 | 부군수 TF팀 회의 대체 사업 결정 | ․실무 TF팀 회의(정책개발팀,지역혁신팀) ․주민참여형 아름다운 거리 만들기 사업 확정 |
4. 29 | 대체 사업계획 작성 제출 | ․주민참여형 아름다운 거리조성 사업 계획 | |
| 4. 30 | 신활력사업비 확정 | ․신활력사업비 35억5천만원(5억 인센티브) |
5. 3 | 지역혁신협의회 사업비 확정 결과 및 최종 사업계획 협의 | ․총사업비(인센티브반영분)반영에 따른 사업계획 협의,심의 | |
| 5. 6 | 인센티브 사업 확정 제출 | ․주민참여형 아름다운거리 시범거리 조성 |
□ 사업내용
○ 진안군 신활력창출 기본목표 및 3대 핵심과제
• 기본목표 : 진안의 중장기 비전으로서 [생태건강산촌 만들기]
• 진안 알리기 : 대내외적 지역정체성 확립과 적극적인 지역마케팅 전략을 통한 진안 브랜드의 확산과 고부가가치화 실현
• 인재 만들기 : 지역사회의 혁신역량 강화와 지역혁신체계 구축을 통한 내발적인 성장동력의 확보와 신활력 창출
• 경제 살리기 : 경쟁력 있는 홍삼약초산업의 육성을 통한 지역선도산업의 활력화와 친환경농업 확대 및 도농교류 직거래 유통 등을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
○ 진안군 신활력사업의 추진을 통한 기대효과(3개년)
∙ [진안 알리기] 사업의 파급효과
- 자치단체 추진의 [생태건강산촌]이란 브랜드를 선점하고 진안군의 친환경, 청정, 건강 이미지가 강화되어 진안의 지역브랜드가치가 증대되는 효과
- 지역혁신적 모델사업이 선도적으로 추진되어 각종 시찰단 방문이 활발해지고, 언론이 주목하여 지역마케팅 전략과 맞물려 진안 알리기의 효과가 극대화
∙ [인재 만들기] 사업의 파급효과
- [생태건강산촌] 개발이란 큰 틀 속에서 기존의 각종 개발사업들과 신활력사업이 유기적으로 통합되어 시너지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계기를 제공하여 공무원의 혁신마인드와 종합적 업무 파악능력이 강화
- 주민 및 공무원의 친환경적 의식이 강화되고, 경영감각이 향상되면서 지역의 장기비젼을 공유하는 내발적인 혁신역량 구축이 가능
∙ [경제 살리기] 사업의 파급효과
- 홍삼약초 산업의 친환경성 강화 및 지역마케팅 전략 도입으로 타 경쟁지역과의 차별성을 확보하면서 브랜드가치 증대
- 인삼약초 2,533 재배농가와 45개 가공업체 등의 직접적 소득 증대가 기대되고, 새로운 고용 증대 효과도 기대
□ 향후계획
○ 신활력사업비 지역혁신팀에서 총괄 관리
- 실과별 사업추진
○ 신활력 단위사업 세부시행계획 발표회 개최
- 2005. 6. 15
○ 신활력TFT 분기회의 개최
- 신활력사업의 원활한 추진 도모
○ 신활력TFT 워크샵 및 선진지 벤치마킹
- 2005. 9 ~ 11월
담당부서 : 전북 진안군 자치행정과
전화 : 063 - 430 - 2593 팩스 : 063 - 430 - 2704
고창군, 유네스코 생물권보전지역 등재 (0) | 2013.05.29 |
---|---|
유네스코 음식창의도시 전주에 K-Food 세계화 국내거점 조성하자 (0) | 2013.05.29 |
인천시, 시민단체 재정위기 서로 다른 진단 (0) | 2013.05.28 |
농·어촌 발전 없이는 21세기 대한민국 미래도 없다’ (0) | 2013.05.27 |
박원순 후보 10대 공약 발표“서울을 바꾸는 박원순의 사칙연산” (0) | 2013.05.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