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 5. 28. 10:57ㆍ시민, 그리고 마을/시민사회운동과 사회혁신
소외된 90%를 위한 기술, ‘적정기술’을 아시나요?전략디자인
2010/11/28 19:02
http://ngoguide.blog.me/40118570585
소외된 90%를 위한 기술, ‘적정기술’을 아시나요?
“전세계 설계자는 그들의 시간 대부분을 구매력 있는 10% 미만의 소수 소비자를 위해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불균형은 바로잡아야 한다.”
- 폴 폴락, ‘Out of Poverty’(2008) 가운데
정보기술(IT)이 우리네 삶을 살찌운다지만, 그 혜택을 받는 이는 10명 가운데 1명에 불과하다. 아프리카를 보자. 수백만명 사람들이 물부족에 시달린다. 아이들 5명 가운데 1명은 태어난 지 5분이 채 안 돼 죽는다. 대개는 콜레라와 이질 같은 수인성 전염병 때문이다. 마실 물은 수백km 넘게 떨어져 있다. 물을 운반하는 일은 고역이다. 이들에게 ‘Q드럼’은 혜택이다. 물을 담아 쉽게 굴릴 수 있게 원주형으로 설계됐다. 한 번에 75리터의 물을 운반할 수 있다. 케냐와 나미비아, 에티오피아와 르완다, 탄자니아 지역에 널리 보급돼 있다.
이처럼 IT 혜택에서 소외받은 이들을 위해 쓰이는 기술이 ‘적정기술’(Appropriate Technology)이다. 영국 경제학자 E.F.슈마허가 저서 ‘작은 것이 아름답다’에서 저개발국가를 위한 소규모 생산기술인 ‘중간기술’(Intermediate Technology)을 처음 언급했는데, 이것이 나중에 ‘적정기술’이란 개념으로 확대됐다.
적정기술은 한 마디로 ‘고액 투자가 필요하지 않고, 에너지 사용이 적으며, 누구나 쉽게 배워 쓸 수 있고, 현지 원재료를 쓰며, 소규모 사람들이 모여 생산 가능한 기술’이다. 전문화와 대량생산으로 치닫는 자본주의 시장 흐름을 거부하고 소규모 현지 생산을 추구하는 대안기술이자, 대안 문화인 셈이다.
미국에선 1970년대 들어 적정기술에 대한 관심과 연구가 본격화됐지만, 한국에선 아직 낯설다. 2008년께 들어 적정기술에 대한 관심이 조금씩 생겨나고, 연구자도 하나둘 늘었다. 홍성욱(46) 한밭대학교 화학공학과 교수도 그 가운데 하나다. 적정기술을 국내에 알린 개척자 가운데 한 명이라 하겠다.
“2007년 5월이었던가요. 미국 뉴욕 쿠퍼휴잇박물관에서 ‘소외된 90%를 위한 디자인‘을 주제로 전시회가 열렸어요. 그 때 발간된 책을 2007년말께 우연히 보고, 적정기술이란 걸 처음 알게 됐습니다. 당시 크리스천 과학기술인 포럼에 참여하고 있었는데, 적정기술 관련 경진대회를 포럼에서 진행해보자고 제안을 했죠. 헌데 국내에선 아직 적정기술 관련 개념도 잘 모르는 때였어요. 경진대회를 열기엔 이를 것 같아서 아카데미부터 시작하기로 했죠.”
그렇게 2008년 8월 한동대에서 ‘소외된 90%를 위한 공학설계 아카데미’를 열었다. 지난해 7월에는 2회 아카데미도 진행했다. 국내 대학생들의 신선한 아이디어를 모아보는 경진대회는 지난해와 올해 두 번 열었다. ‘소외된 90%를 위한 창의적 공학설계 경진대회’란 이름으로 열린 행사에선 18개팀이 참여해 다양한 아이디어를 쏟아냈다. 태국 고산지역 주민들을 위한 황토온수 난방 시스템이나 화덕, 반자동 모종기와 불소제거장치 등이 주목을 끌었다. 올해 3월에 열린 2회 대회엔 22개팀이 참여하는 등 관심도 넓어지는 추세다. 지난해 6월에는 아예 한밭대학교 안에 ‘적정기술연구소’를 열었다.
국내에서도 조금씩 성과가 나오는 모양새다. 굿네이버스는 나눔에 뜻을 둔 대전지역 과학자 모임인 ‘나눔과기술’과 함께 지난해부터 ‘G세이버’(G-SAVER)란 축열기 프로젝트를 진행했다. 한겨울 추위에 떠는 몽골 주민들을 위해 열 효율 높고 매연은 적은 새 난로를 제작해보자는 데 뜻을 모았다. 특허청도 힘을 보탰다. 이렇게 탄생한 ‘G세이버’ 100대는 올해 2월 몽골 칭길테 마을 주민들의 겨울을 데웠다.
‘대한민국 제2호 적정기술’ 탄생도 머잖았다. 홍성욱 교수가 속한 나눔과기술이 특허청, 굿네이버스와 함께 진행하는 ‘차드’ 프로젝트가 한창 가속도를 내고 있다. 땅이 사막화되면서 벌목이 금지된 아프리카 차드 지역 주민들이 요리를 할 수 있도록 사탕수수로 만든 숯을 보급하는 사업이다.
유네스코한국위원회가 진행하는 ‘브릿지사업단’에는 삼성전자와 한국국제협력단이 참여하고 있다. 한국 청년활동가들을 세계 곳곳에 파견해 풀뿌리 교육과 지역사회 발전을 지원하는 프로그램이다. 아프리카 지역에도 현재 18명 사업단 청년이 파견돼 지역 교육과 교류를 돕고 있다.
하지만 적정기술 관련 연구나 활동은 여전히 변방을 맴도는 상태다. “국제사회도 학회 수준까지는 이르지 못하고 워크숍 형태의 느슨한 조직이 운영되는 정도입니다. 관심 있는 학자들끼리 자발적으로 여는 행사죠. 국내에선 국경없는과학기술연구회나 나눔과기술, 대안기술센터 같은 곳이 관심을 기울이고 있지만 아직은 따로 활동하는 단계로 보입니다. 좀 더 전문적인 통합 재단이나 단체가 생겨나야겠죠.”
다행히 앞길은 밝다. “미국엔 MIT나 스탠포드, 미시건, 브라운대학 같은 곳에서 교육과정으로 적정기술을 가르치고 있습니다. ‘국경없는공학자’ 같은 조직도 적정기술 보급에 앞장서고 있고요. 한국에선 올해 11월, 한국공학교육학회가 제주도에서 열렸는데요. 거기에 적정기술 세션이 반나절 일정으로 포함됐습니다. 공적 영역에서 처음 마련됐다는 점에서 뜻깊은 일입니다. 이처럼 적정기술을 공적 영역으로 끌어올리고, 과학자들 참여를 늘리는 게 국내에서도 필요하겠죠.”
홍성욱 교수는 “적정기술은 책상물림 학문이 아니다”라고 강조한다. 그래서 현지를 직접 찾아보고 국제감각을 익히는 일을 무엇보다 중요시한다. 물론 그보다 급한 건, 적정기술 개념 자체를 보다 많은 사람들에게 알리는 일이다. 저개발국가라곤 한 번도 안 들러봤던 홍 교수가 2008년 태국을 시작으로 캄보디아, 에티오피아, 가나, 필리핀, 몽골 등을 수시로 드나드는 것도 이런 이유에서다. 국내에서도 관심 있는 곳이라면 시간과 장소를 마다않고 뛰어가 적정기술을 알리고 의견을 듣는다. “그래도 아직 청중의 절반 가까이는 ‘나와 관계 없는 기술’이란 인식을 갖고 있다”며 홍 교수는 한숨을 쉬었다.
“적정기술은 목적이 아니라 도구입니다. 그걸 이용해 무엇을 하느냐가 중요하죠. 빈곤 퇴치냐, 삶의 질 개선이냐. 이는 해외 원조와도 연결됩니다. 직접적인 도움을 주는 단계로 나아가야 하는데, 아직 한국은 기술개발 수준에 머물러 있는 모양새에요. 그걸 극복하는 게 우선 숙제입니다.”
홍성욱 교수는 이번 달 ‘소외된 90%를 위한 디자인’ 한글 번역본 책을 낼 예정이다.
※ 적정기술 활용 주요 사례
■ Q드럼(Q Drum)
식수원이 멀리 떨어진 아프리카 시골지역 주민들을 위해 고안됐다. 식수에 필요한 양의 물을 보다 쉽게 운반할 수 있는 물통이다. 물동이를 지는 대신, 줄로 굴릴 수 있는 원주형으로 설계됐다. 한 번에 75리터의 물을 운반할 수 있다. 케냐, 나미비아, 에티오피아, 르완다, 탄자니아, 나이지리아 등에 보급됐다.
■ 라이프 스트로우(LifeStraw)
해마다 6천여명이 깨끗한 물을 마시지 못해 죽어간다. 대개는 어린이다. 라이프 스트로우는 휴대할 수 있는 개인용 정수기다. 땅에 고인 더러운 물도 깨끗한 물로 걸러준다. 15마이크론 이상의 입자를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필터를 내장했다. 장티푸스, 콜레라, 이질, 설사 같은 수인성 질병 예방에 도움을 준다. 가나, 나이지리아, 파키스탄, 우간다 등에 보급돼 있다.
■ 팟인팟 쿨러(Pot-in-Pot Cooler)
아프리카 저개발 지역은 물과 전기가 부족하고 운송 수단도 열악한 탓에, 수확한 농산물을 보관하는 문제가 큰 걱정거리다. 팟인팟 쿨러는 아프리카식 냉장고다. 큰 도기와 작은 도기를 겹쳐 넣고, 그 사이에 모래와 물을 채워넣었다. 물이 증발하면서 작은 도기 속 열을 빼앗아 야채나 과일을 신선하게 보관하게 해준다. 상온에 보관하면 2~3일이면 상하던 토마토가 팟인팟 쿨러를 쓰면 21일 동안 보존된다. 카메룬, 차드, 에티오피아, 나이지리아 등에 보급돼 있다.
■ 사탕수수 숯(Sugarcane Charcoal)
장작을 취사 연료로 주로 쓰는 아이티는 산림 황폐화가 심한 지역이다. 전체 산림의 90%가 이미 폐허 상태다. 취사시 나오는 실내 매연은 아이들 호흡기 질환의 주된 원인이다. 그 대안으로 개발된 게 사탕수수 숯이다. 사탕수수 주스를 뽑아내고 남은 찌꺼기(Bagasse)를 말린 뒤 화로에서 불완전 연소시킨다. 이렇게 만든 숯을 잘게 부숴 점성을 지닌 카사바 뿌리와 섞은 뒤 일정한 모양으로 찍어내면 나무 숯처럼 잘 타는 조개탄이 완성된다. 사탕수수가 아니라도 옥수수 속 같은 농업 부산물을 써도 된다. 아이티, 가나, 브라질 등에서 즐겨쓴다.
(자료 : 홍성욱 한밭대학교 적정기술연구소장)
출처 : 이희욱 asadal입니다. '우공이산'(http://asadal.bloter.net) 블로그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인터넷과 소셜 미디어, 사회적 웹서비스, 기업의 사회적 책임, 오픈소스, CCL 등을 공유합니다. asadal@bloter.net, 트위터(@asadal)[출처] 소외된 90%를 위한 기술, ‘적정기술’을 아시나요?|작성자 CONTs 원장
'시민, 그리고 마을 > 시민사회운동과 사회혁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회공익을 위한 투자 소셜펀딩(Social Funding) 다양한 분야로 확산 (0) | 2013.05.28 |
---|---|
일상의 자전거, 그 이상을 생각하다 (0) | 2013.05.28 |
국제 NGO의 원조 정책과 활동 (0) | 2013.05.28 |
시민운동을 조망한다 - 시민운동의 현황과 평가, 그리고 환경" (0) | 2013.05.27 |
사회적 혁신가들, 4P로 세상을 바꿨다” (0) | 2013.05.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