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은 돌고 돌지 않는다’ 2050년 인류 절반 물부족45억명 물 찾아 대이동 시작
2013. 5. 28. 07:47ㆍ강과 하천/강, 하천, 도랑살리기
물은 돌고 돌지 않는다’ 2050년 인류 절반 물부족45억명 물 찾아 대이동 시작 서울신문 입력 2013.05.28 03:41
[서울신문]"쌀이 부족하면 밀이 대신할 수 있습니다. 화력이 부족하다면 풍력이 대신할 수 있습니다. 차에 기름이 부족하다면 전기가 대신할 수 있습니다. 물이 부족하다면? 물을 대신할 수 있는 건 물밖에 없습니다."
굳이 2009년 한국 사회를 떠들썩하게 했던 공익광고를 떠올리지 않더라도 물 부족이 인류에 큰 위협이 될 것이라는 경고는 어제오늘의 일이 아니다. 지난 24일(현지시간) 독일 본에서 열린 '세계 물 시스템 프로젝트' 회담에 모인 500명의 수자원 전문가들은 "2050년이면 전 세계 인구는 90억명에 이르고, 이 중 절반은 물 부족에 직면할 것"이라는 예측을 발표했다. 이들은 "아프리카 등 제3세계뿐 아니라 미국이나 유럽 등 선진국도 예외가 아니다"라고 각국에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지난 수십년간 인류는 "물은 끊이지 않는 재생 가능한 자원"이라는 오래된 고정관념이 잘못됐다는 증거들을 계속해서 찾아내고 있다. 과학자들은 물 부족의 가장 큰 원인을 사람들이 물을 구하는 방식에서 찾고 있다. 대부분의 국가에서 펌프를 사용해 깨끗한 지하수를 끌어올리고 있으며, 지하수는 쉽게 복원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일정하게 흐르는 지하의 수원에서 담수를 너무 많이 뽑아내거나 저수지에 가둬 놓을 경우 바닷물이 유입되거나 농도가 달라져 인근 지하수 전체가 먹을 수 없는 물로 변해버리기 때문이다. 특히 아프리카 등에서는 수자원의 오염이나 복원을 고려하기보다는 당장 먹을 물을 구하기 위해 수원 자체를 파괴하는 일도 흔하다.
지구온난화와 기후변화는 가뭄, 홍수, 폭염과 태풍 등의 원인이 되면서 물의 이동 자체를 바꾸고 있고 공업화·농업화로 인한 오염 등은 수자원 고갈을 가속화시킨다. 질소가 주로 사용되는 농업용 비료는 물을 타고 흘러 전 세계 강이나 바다에 200개 이상의 거대한 '데드 존'을 만들었다. 데드 존에서는 미생물조차 살 수 없고, 점차 넓어지고 있다.
독일 본 대학의 야노스 보가르디 교수는 회담에서 "전 세계 인구 중 45억명은 어떤 형태로든 손상된 수자원에서 50㎞ 안에 살고 있다"면서 "앞으로 두 세대 내에 세계적으로 물을 구하기 위한 인류의 대이동이 시작돼, 정치적 혼란으로 이어질 수도 있다"고 발표했다. 이어 "미국의 경우에도 210만명이 오염된 수자원의 16㎞ 내에 살고 있고 유럽에서도 수자원 고갈이 가시화되는 등 선진국도 같은 위협의 대상"이라고 덧붙였다. 농업 종사자는 물론 도시인들 역시 물이 없으면 살 수 없는 만큼 새로운 물을 찾아 떠날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과학자들은 현재와 같은 상태가 계속되면 물 부족이 인류의 성장이나 생존 자체를 위협하는, 지속 불가능한 정점(티핑 포인트)에 곧 도달할 것으로 보고 있다. 다만 이같은 전 지구적인 상황이 언제 일어날지에 대해서는 명확한 예측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 주요 내용을 사전에 보고받은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은 회담에서 "우리는 수요가 공급을 능가해서 물을 보장받을 수 없는 시대에 살고 있으며 물의 미래가 없을지도 모른다"는 메시지를 전했다.
굳이 2009년 한국 사회를 떠들썩하게 했던 공익광고를 떠올리지 않더라도 물 부족이 인류에 큰 위협이 될 것이라는 경고는 어제오늘의 일이 아니다. 지난 24일(현지시간) 독일 본에서 열린 '세계 물 시스템 프로젝트' 회담에 모인 500명의 수자원 전문가들은 "2050년이면 전 세계 인구는 90억명에 이르고, 이 중 절반은 물 부족에 직면할 것"이라는 예측을 발표했다. 이들은 "아프리카 등 제3세계뿐 아니라 미국이나 유럽 등 선진국도 예외가 아니다"라고 각국에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지구온난화와 기후변화는 가뭄, 홍수, 폭염과 태풍 등의 원인이 되면서 물의 이동 자체를 바꾸고 있고 공업화·농업화로 인한 오염 등은 수자원 고갈을 가속화시킨다. 질소가 주로 사용되는 농업용 비료는 물을 타고 흘러 전 세계 강이나 바다에 200개 이상의 거대한 '데드 존'을 만들었다. 데드 존에서는 미생물조차 살 수 없고, 점차 넓어지고 있다.
독일 본 대학의 야노스 보가르디 교수는 회담에서 "전 세계 인구 중 45억명은 어떤 형태로든 손상된 수자원에서 50㎞ 안에 살고 있다"면서 "앞으로 두 세대 내에 세계적으로 물을 구하기 위한 인류의 대이동이 시작돼, 정치적 혼란으로 이어질 수도 있다"고 발표했다. 이어 "미국의 경우에도 210만명이 오염된 수자원의 16㎞ 내에 살고 있고 유럽에서도 수자원 고갈이 가시화되는 등 선진국도 같은 위협의 대상"이라고 덧붙였다. 농업 종사자는 물론 도시인들 역시 물이 없으면 살 수 없는 만큼 새로운 물을 찾아 떠날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과학자들은 현재와 같은 상태가 계속되면 물 부족이 인류의 성장이나 생존 자체를 위협하는, 지속 불가능한 정점(티핑 포인트)에 곧 도달할 것으로 보고 있다. 다만 이같은 전 지구적인 상황이 언제 일어날지에 대해서는 명확한 예측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 주요 내용을 사전에 보고받은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은 회담에서 "우리는 수요가 공급을 능가해서 물을 보장받을 수 없는 시대에 살고 있으며 물의 미래가 없을지도 모른다"는 메시지를 전했다.
'강과 하천 > 강, 하천, 도랑살리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계화와 물' (0) | 2013.06.02 |
---|---|
도랑살리기운동’ 발대식대전 자치구 소식│서구 (0) | 2013.05.29 |
물발자국(Water Footprint)’과 농업 (0) | 2013.05.20 |
여러분의 물발자국의 크기는 과연 얼마일까요? (내셔널 지오그래픽) (0) | 2013.05.20 |
도시하천 살리기 거버넌스의 특성비교(온천천과 양재천의 사례*) (0) | 2013.05.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