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거버넌스형 지방정부 구성의 원리와 운영

본문





거버넌스형 지방정부 구성의 원리와 운영

                                                                

 


0. 주제와 관련하여 새김질하는 거버넌스 일반의 요체들

- 거번너스는 패러다임이다

- 거버넌스는 파트너십과 성찰이다

- 거버넌스는 민주주의 진화이다

- 거버넌스는 인간의 성숙, 향상과 진화(, 문명의 진화)이다

- 거버넌스는 과정이다

 

 

1. 걸리는 차원들과 쟁점, 요점들

 

1-1. 거버넌스형 중앙정부론 모색 시와 차이 지점

- 본령, 정체성, 성격

- 본질적 권능과 임무

- 관장(소관) 업무 범위

- 이해관계자 범위

- 관계자의 인식

 

1-2. 지방 정부에서 걸리는 거버넌스의 층위와 차원들

 

거버넌스형 지방 정부 조직과 운영 시스템을 모색할 때는 대체로 다음과 같은 층위와 차원들의 거버넌스를 고려해야 할 것이다 

첫째, 민과 관 사이의 거버넌스

둘째, 관과 관 사이의 거버넌스

셋째, 정부와 의회 사이의 거버넌스

넷째, 중앙정부와 지방정부, 지방정부와 하위 지방정부, (& 동위 지방정부) 사이의 거버넌스

다섯째, 로컬 거버넌스 촉진 지원 조직(기구)

여섯째, 지역의 총괄적인 거버넌스 기구

일곱째, 거버넌스 점검 체계

    

1-3. 각 층위와 차원에서 걸리는 쟁점들, 과제들 ( 1-2의 일곱 가지에 대응)

일부는 정부 조직 일반의 쟁점과 겹치는 부분도 있고 일부는 지방 정부에 주로 연관되는 쟁점 차원도 있음. 여기서는 두루 점검함_거버넌스센터

. (의 특성, 현실).. (의 특성, 현실)... 파트너십에서 걸림돌(지점),, 리스크(요소)...

. 행정의 조건, 규정, 현실은.. 공무원의 (한국) 현실적 특징, 특색은...

. (지방 정부와) 지방 의회의 구성, 권한과 책무, 관계, 현실적 (인적) 상황은..

. 중앙 정부와 지방 정부 및 정부 층위에 대한 인식(의 현실), 규정, 현실적 조건은..

. 촉진 조직의 현실.. 성공의 요건, 바람직한 방향

. 철학적 원론적 핵심 지점과 요체의 파악과 해석, 설계, 접근 경로와 전략

. 원리의 키포인트와 설계, 성공적인 운영의 요체와 방향

  


    

2. 거버넌스형 지방정부 구성의 준거 원리 탐색

주권 재민의 원리

- 근대, 현대 민주주의의 핵심 원리

- 현대 민주주의(대의민주주의)가 현실에서 이 원리에 충실한가? 충실할 수 있는가?

- 현대 민주주의 충실화의 극까지 가는 길로서 거버넌스, 그 중에서도 로컬 거버넌스


향상의 원리

- 민주주의 진화의 근거이자 동시에 지향(목표)이 되는, 거버넌스 민주주의 핵심 원리

- 현실, 현상 (이해, 전제)에 머물지 않고 (=갇히지 않고) 변화와 성숙에 대한 신뢰, 지향


생산성의 원리

- 새로운 시대 = 멀티 다원화 시대에 전통 관료제의 황금칙을 넘어서는 새로운 효율성 방정식[최대 투입에 극대 산출]과 새로운 차원 = 복합 차원의 효율성  

다원성의 원리

- 객관적 사실(존재)일 뿐만 아니라 지향할 (, 목적이면서 동시에 수단적인) 가치로서의 다원성

균형과 전이와 확장의 원리[책임과 권한]

- 책임과 권한을 동전의 앞뒤로 인식

- 한 개인, 한 부문, 한 영역의 권환과 책임을 주위로 주변으로 전파, 전이

- 권한을 주면 책임은 자란다. 책임을 강조하려면 권한도 키운다


수평적 네트워크와 시너지의 원리

- 거버넌스는 곧 네트워크

- 네트워크의 확산은 원리상으로는 무한히 가능, 무한 승수효과적. 새로운 공간, 영역, 차원의 창출에 이른다.

- 논리적으로 레드 오션 시대에 새 블루 오션 무한 창출 가능

다층위, 다면 방사와 일관성의 원리

- 사회 파트너십은 좌우만이 아니라 상하, 전후 등 다방면 전방위로

- 다층위 다방면 파트너십이 온전히 작동하려면 파트너십 원리의 일관성이 견지되어야(성찰, 내적인 수평적 협력)

창의혁신성과 부단한 경계 진화의 원리

- 원래 그렇다, 규정이 그렇다, 사람이 그렇다, 재정이 그렇다, 하는 식의 관점을 톡- 넘어야.

틀과 경계를 깨고 벗어나는 전환적 상상력과 창조적 협력으로 새로운 길을 내는

- 관점의 변화로부터 (일하는) 방식의 변화로, 방식의 변화로(부터) 경계를 흔들고 밀어내는..

- 기존의 경계를 더 멀리 더 넓게 확장하고, 그 반복을 통해 마침내 새로운 경계를 짓는.



   

3. 거버넌스형 지방정부 운영의 모색

3-1. 운영의 요체

주체의 향상

공직, 공무원의 향상과 조건 강화

- 감사의 개념의 재구성

- 인사 제도의 개선 - 혁신 - 재구조화

- 공직의 직무 (중심)의 재 설계

시민사회의 향상과 조건 강화

- 전통적 관성, 관점의 극복 = 사림 전통의 극복, 利害에 대한 재이해

- 제도로서의 시민사회의 설계_거버넌스센터

- 공적 사회 자본의 투자, 지원

기업 부문 향상과 조건 강화

- 기업에 대한 아타의 인식의 전환 = 기업 시민

- 기업의 사회 정치적 위상 제고와 권리 인정, 인식

- 기업의 진화 지지, 촉진, 확산 그리고 제도화, 구조화

행정 운영의 향상

- 자율과 책임의 확대

- (정책) 기획, (사업)집행자에서 코디네이터, 퍼실리테이터로,

- 그리고 집단적 비전의 담지자로

의회의 혁신과 향상

- 대표자가 아니라 대의자, 사회자

- 새로운 패러다임의 수용자

정부간 파트너십

- 상하급, 감독-피감 관계에서 서로 다른 범위, 업무 역할, 운영원리의 차이를 갖는 파트너

- 소통과 수평적 연대와 협력

책임질 권한의 진전 - 보완, 정치력, 진화

준칙: “제도 정치의 축소와 공동체 정치의 확대의 적용, 응용


cf) 우리의 맥락에서 더 근원이 되는 문제는 권한의 배분, 공유가 아니라 책임의 배분, 공유 문제임. 왜냐, 행정의 권한은 행정이 민간에 분배하면 된다. , 위임하면 된다. 그런데, 과연 책임의 배분도 원천적으로 가능한가? 책임 배분의 정당성 근거는? 행정의 책임은 주권자에게 지는 것이다. 그런데 행정이 사업하고 집행할 권한을 민간에 배분한다 해도, 주권자에 대한 책임까지 배분할 수 있는가? 권한을 분배 받은 자가, 권한을 배분한 이에 대해서가 아니라, 그 권한을 최초에 위탁한 주권자에 대해서 감히 책임질 수 있는가? 언제 주권자가 그에게 책임질 권한을 줬는가? 이렇게 보면, 현재의 정치 철학과 행정의 원리에서 정부 파트너십에 참여하는 민간이 행정에 대해 과연 권한의 배분을 요구할 수 있는가? 그 요구는 과연 철학적이고 원리적인 정당성이 있는 것인가? _거버넌스센터

    

3-2. 운영의 방향

자율과 책임

참여와 합의

실천과 협력

조정과 통합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