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한국 NGO의 발전 방안

시민, 그리고 마을/지역자치분권운동

by 소나무맨 2017. 2. 7. 16:26

본문

 



한국 NGO의 발전 방안  


                                                                                                                                           

2017.02.06. 10:55 수정 삭제

복사 http://blog.naver.com/tc2848/220928264043

통계보기 전용뷰어 보기

출처 이영일의 NGO 에세이 | 이영일
원문 http://blog.naver.com/ngo201/60008069311

지난 10년간 한국 NGO는 눈부신 도약에도 불구하고 이를 질적 발전으로 승화시킬 수 있는 시민사회의 기반이 갖추어져 있지 않다. 또한 NGO 자체도 내부의 민주화를 이루고 시민의 지지와 참여를 이끌어 낼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는 등 많은 과제를 안고 있다. 여기서는 이상 5가지 측면에서 NGO의 발전 방안을 살펴보기로 하자.


시민사회의 능력증진

시민사회는 국가와 시장에 상대되는 영역으로 정부와 기업으로부터 자율성을 확보하고 동시에 공공성을 증대시켜야 한다. 이를 위해 시민사회가 먼저 민주적이고 투명한 제도를 만들고, 민주시민을 양성하는 교육을 강화하여야 한다. 그리고 시민사회에서 각종 자발적 결사체들이 공공선의 증대를 위하여 활발하게 상호 협력하고 연대하는 문화가 형성되어야 한다.


대중에 기반한 활동


그동안 중앙 NGO의 정책 위주 활동과 전시 중심의 활동이 언론에 부각되면서 시민들에게 NGO에 대한 편향된 이해를 안겨주기도 하였으나 NGO가 시민사회의 주체로서 정당한 힘을 발휘하자면 대중성을 확보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시민들이 NGO에 대해 바른 이해를 갖도록 홍보하고, 시민들의 눈높이에 맞는 구체적인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시민들이 참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민들이 NGO의 주인이 되고 NGO를 홍보하는 전도사가 되어야 한다.


정부의 노력


정부는 공공서비스를 생산하고, 궁극적으로는 시민의 삶의 질을 향상하기 위하여 세금으로 재정을 운영한다. NPO나 NGO에 대한 지원을 통하여 시민사회의 자율성을 높이고 시민참여를 강화하는 것도 재정운영에 매우 유용한 방법 중의 하나이다. 따라서 정부는 각종 NGO들이 활발하게 활동할 수 있는 정보인프라 구축, 상근자 재교육, 행정적 지원과 재정지원을 강화하고, 기부금과 자원봉사활동을 활성화할 수 있는 법적 장치, 정보공개와 정책과정에 대한 참여 장치 등을 마련하여야 한다.


NGO 자체의 개혁


NGO는 먼저 내부에 민주화를 이루는 것이 중요하다. 시민사회 내의 권위주의와 부정부패를 일소하기 위하여 의사결정을 민주화하고 내부비판이 활성화되도록 하여야 하며 시민참여 확대를 위한 프로그램 개발과 장기적인 안목으로 시민운동을 전개해야 한다.


지역 NGO의 활성화


NGO 운동은 현재의 중앙집중화된 활동 방식으로부터 지역 풀뿌리조직에 기반을 두는 지역 NGO 활동을 활성화하는 방식으로 확산되어야 한다. 지방화시대에 발맞추어 NGO들도 지방정부와 파트너쉽을 갖고, 다른 한편으로는 지방정부를 견제함으로써 지역의 균형이는 발전을 도모하는 지역운동을 전개해야 한다.


 


'시민, 그리고 마을 > 지역자치분권운동' 카테고리의 다른 글

NGO와 사회발전  (0) 2017.02.07
NGO의 정의   (0) 2017.02.07
한국 NGO의 문제와 방향성  (0) 2017.02.07
한국 NGO 등장의 배경   (0) 2017.02.07
한국 NGO의 역사  (0) 2017.02.07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