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인구 변화이야기

2016. 7. 21. 10:15지역 뉴스/전북 뉴스




전북인구 15년동안 지속적 유출

  • 2016-02-25 10:58

지난 15년 동안 전라북도의 인구가 서을 등 다른 지역으로 빠져 나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4일 호남지방통계청에 따르면 '2000년~2015년 전북의 인구이동'에 따르면, 2015년 총 전입자는 26만 1832명, 총 전출자는 26만 4462명으로 나타났다.

도내는 2000년 이후 총 전입자와 총 전출자는 2003년에 정점을 보이다가 점차 감소하는 추세며, 2000년 이후 도내 인구가 2011년을 제외하고, 지속적으로 다른지역으로 빠져 나가는 악순환이 되풀이 되고 있다. 

도내의 전입, 전출지는 2000년에는 '서울'이 가장 많았으나, 지난해에는 '경기지역'에서 도내에서의 전출자 1만 7553명(24.5%), 전입자 1만 8131명(26.4%)가 가장 많았다.
 


지난해 도내의 시도별 이동 추이는 서울, 세종, 충청 지역으로는 순유출 되고 있고, 경기, 인천, 대구 지역에서는 순유입 되고 있었다.

특히 순이동을 살펴보면, 완주, 임실 등 군 지역에서 순유입 되고, 전주, 익산 등 시 지역에서 순유출 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시군별 인구는 2000년에 전주와 정읍에서만 순유입이 나타났고, 지난해에는 완주와 임실 등 5개 시군에서 순유입이 나타났다. 2000년과 비교하면, 완주군이 6636명으로 순이동이 가장 높았고, 전주시가 6752명으로 가장 낮았다.

연령대는 2000년에는 전입전출이 20대 비중이 높았고, 지난해에는 30대 비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008년 이후 도내 인구의 40~50대 연령층이 꾸준히 유입되고 있는 반면, 지난해에는 10~30대에서 순유출이 됐다.



Read more: http://www.nocutnews.co.kr/news/4552740#csidx7a852d279917c9990cbd47940ee5c45
Copyright © LinkBack



50년동안 전주 인구 사라졌다
[■11일 인구의 날] 1966년 전북 인구 252만 명…2015년 현재186만 명
2015년 07월 09일 (목) 정경재 기자 yellowhof@sjbnews.com
  
 
  
 
지난 50년 동안 전주시 인구에 해당하는 66만명의 전북 인구가 감소했다. 1966년은 전북 인구가 정점을 찍은 해다. 252만3,708명으로 당시 대한민국 전체 인구 2,915만9,640명의 8.6%를 차지했다. 그로부터 50년이 흐른 지금, 처참한 수준으로 급감했다.

2015년 6월 전북 인구는 186만9,668명으로 50년만에 66만명 줄었다. 전주시 현재 인구와 비슷한 숫자가 사라진 것이다.

1970~80년대는 산아제한 정책이 나올 정도로 전국적인 인구 급증세를 겪을 당시도 전북은 후퇴했다. 현재 대한민국 전체 인구 5,132만7,916명 중 전북은 3.6%에 불과하다. 과거와 비교했을 때 무려 5%포인트 줄었다.

1966년 최고치를 달성한 전북 인구는 이후로 줄곧 감소세를 이어왔다. 매년 수 만명이 줄어든 결과, 2000년에는 마지노선인 200만명마저 붕괴됐다. 이듬해인 2001년 다시 200만명 턱걸이했지만 잠시였다. 2005년에는 190만까지 무너졌고 2009년에는 통계 역사상 최저인 185만4,508명을 기록해 지금까지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지자체별로 살펴보면 심각성은 더욱 극명하다. 한때 호남 최대 도시 중 하나였던 전주는 6월 현재, 65만4,138명으로 제자리걸음을 하고 있다. 이어 익산 30만2,913명, 군산 27만8,441명, 정읍 11만6,576명으로 뒤를 따른다. 전북지역 14개 시·군 중 이 네 곳만이 10만 인구를 넘는다.

이어 완주 9만2,155명, 김제 8만9,402명, 남원 8만5,214명, 고창 5만9,725명, 부안 5만7,370명으로 인구 5만이 넘는 시·군에 속한다. 나머지 5개 지자체는 처참하다. 임실 2만9,580명, 순창 2만9,340명, 진안 2만6,325명, 무주 2만5,181명, 장수 2만3,308명으로 3만에도 미치지 못한다. 웬만한 도시의 동(洞) 하나보다도 적은 인구를 보인다.

고령화와 역외 유출이 가속화되는 점을 고려하면 앞으로도 인구 감소는 지속될 전망이다. 65세 이상 인구는 전체 17.6%를 차지하고 있어 2018년부터는 초고령사회에 진입하는데다 청년층(15~29세) 비중도 18.4%에서 해마다 줄어드는 상황이라 반등은 사실상 불가능하다.

그나마 전북지역 합계 출산율은 1.33명으로 전국 평균 1.21명보다 높은 것은 고무적이나 인구 증가에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수준이다. 총체적 난국 속에 전북도는 주거와 복지, 인프라 구축을 통해 인구 증가를 이끈다는 구상이지만 쉽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다. 전국적으로 가장 열악한 경제와 교육환경, 행정 등이 상존하는 상황에서 갑작스런 인구 증가는 기대하기 어렵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공통된 의견이다.

전북도 관계자는 “인구를 늘리기 위해서는 먼저 전북이 살기 좋은 고장으로 인식이 돼야만 가능하다. 이를 위해 전북은 출산 장려와 귀농귀촌, 여성 및 아동복지에 대한 세부 정책을 마련하고 추진 중이다. 앞으로 폭발적인 증가는 기대하기 어렵지만 전북에 매력을 느끼는 사람들이 늘고 있는 만큼, 찾는 사람들이 늘 것으로 본다”고 했다.

/정경재 기자 yellowhof@sjbnews.com



전북 인구정책 다시 만들어야 한다

폰트키우기폰트줄이기프린트하기메일보내기신고하기
승인 2016.07.12  
트위터페이스북카카오스토리google_plus 네이버밴드msn



 호남지방통계청이 2015년 사회지표로 본 전북지역의 변화상에 따르면 전라북도는 생산 가능 인구는 현재 67.6%에서 오는 2040년에는 51.9%로 감소할 것이란 분석을 내놓고 있다.

 이말은 청년 1명이 노인 1명을 부양해야 하는 구조로 노인층은 늘어나고 청년층은 대폭 줄어들어 사회적 문제가 심각하게 야기될 것이란 지적이다.

 우리사회가 고령사회를 넘어 초고령사회로 진입하고 있다고 수많은 경고를 받은 바 있다. 초고령사회로 진입하게 되면 청년 3명이 노인 1명을 부양하게 되어 생산력이 감소되고 경제의 지속성장을 할 수 없게 되어 국가경제가 심각한 위기에 처해진다고 밝히고 있다.

 그런데 불과 14년후엔 이보다도 더 어려운 노령사회로 진입하게 된다면 전북경제는 완전히 파경을 면치못할 것이란게 불을 보듯 뻔하다.경제발전의 기본은 노동력에 의한 생산성 향상에 있다. 이러한 노동력을 뒷받침 하지 못할 때 과연 전북의 발전을 기대할 수 있을까 우려하지 않을 수 없다.

 한때 전북인구가 2백50만을 넘어 300만을 향한적도 있었다. 그러나 지금은 179만이라고 한다면 자연증가율을 제외하고도 70여만명이 줄었다.이것은 전북의 젊은층들이 일자리를 찾아 서울을 비롯한 외지로 빠져나갔다는 것이다.

 호남지방통계청에 따르면 전북의 인구는 2020년이 되면 180만 6천명으로 불었다가 2030년 182만6천명으로 증가세를 유지하다가 2035년부터 감소세로 전환, 오는 2040년엔 181만9천명으로 다시 떨어질 것이라고 예측하고 있다.

 과연 이렇될 때 전북은 하나의 노인요양소가 될 것이며 더 이상의 경제적 발전은 기대하기 힘들 것이다.젊은 노동력이 있어야 생산력도 증가하는 것인데 이렇게 젊층이 이지역을 마다하고 떠나게 되는 것이 바로 지역의 인구정책에도 큰 책임이 있다고 본다.

 물론 그동안의 지자체들이 전북의 일자리 창출을 위해 많은 노력을 쏟고있었다는 것에 대해서는 부인하지 않는다. 그러나 이문제는 지역만으로 될 수 없는 일이다. 그래서 전북은 지역산업을 더욱 육성해서 그것을 바탕으로한 새로운 소득을 창출하도록 유도해야 한다. 공장유치도 필요하지만 농업의 선진화를 통한 일자리 창출도 필요하다는 점을 밝혀둔다.



< 저작권자 © 전북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