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의 삶의 질이 갈수록 떨어지고 있다는 국제사회의 평가가 나왔다. 한국은 OECD가 최근 발표한 ‘더 나은 삶 지수’에서 34개 회원국을 포함한 조사대상 38개국 가운데 하위권인 28위에 그쳤다. OECD의 ‘더 나은 삶 지수’는 주거, 소득, 직업, 공동체, 교육, 환경, 시민참여, 건강, 삶의 만족, 안전, 일과 삶의 균형 등 11개 부문을 평가해 국가별 삶의 질을 가늠하는 지표다. 삶의 질 부문에서 한국은 4년 새 4위가 떨어지며 지속적으로 순위가 낮아졌다. 환경 부문에선 꼴찌 이스라엘에 이어 37위에 머물렀고 최근 사회문제로 떠오른 대기오염은 완벽한 꼴찌를 차지했으며 수질도 중하위권인 26위로 밀려났다. 일과 삶의 균형에서도 OECD 평균보다 월등히 많은 주당 근무시간이 일과 삶의 균형을 무너뜨린 요인으로 작용했다. 더구나 비정규직에 대한 심각한 차별은 더 문제다. 언제든지 해고될 수 있다는 불안감에 시달리는 것은 물론 같은 일을 하더라고 임금에서 불이익을 받는다. 이외에도 시민들의 유대감을 나타내는 공동체 부문에서 37위, 건강에서 35위, 삶의 만족에서 31위로 줄줄이 꼴찌권을 기록했다.

박근혜 정부는 사상 처음으로 국민행복시대를 선언한 바 있다. 박 대통령은 취임식에서 “힘을 합쳐 국민 행복, 희망의 새 시대를 만들어 가자”고 외친 뒤 광화문광장으로 달려가 국민행복시대의 개막을 선언했다. 삶의 질 향상은 박근혜정부의 존립 목적이나 다름없다. 이런 마당에 국민의 삶의 질이 점차 나빠지고 행복감이 뒷걸음질하는 현상은 정부의 기능이 제대로 작동하고 있지 못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갈수록 심화되는 국론 분열과 환경정책 등에서 드러나는 난맥상이 그 방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