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해외에서 인정받은 공유도시 서울! 서울시민은 잘 모르는 공유도시 서울? (Feat. 공유허브)

경제/공유경제

by 소나무맨 2015. 12. 24. 09:59

본문

 

 

 

해외에서 인정받은 공유도시 서울! 서울시민은 잘 모르는 공유도시 서울? (Feat. 공유허브)

 

정보 / 공유하다

2015.12.23. 11:50

복사 http://snpo2013.blog.me/220576449997

전용뷰어 보기

서울시NPO지원센터. SHAREABLE. 서울시. 공유도시. 공유허브. 공유서울. CCKOREA. 미트쉐어, 공유경제

서울시민 공익활동의 베이스캠프를 꿈꾸는 중간지원조직, 서울시NPO지원센터 블로그입니다.


'SHAREABLE' 말 그대로 공유가능한 이라는 뜻인데요. 이 이름을 지닌 사이트가 있습니다. 이 사이트는 공유와 관련된 정보를 소개하고,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고 있는 사람들을 연결하고 있는 사이트로 공유에 관한 세계의 자료와 세계의 도시를 포스팅해 놓았는데요.

(SHAREABLE 에서 소개한 SHARING-CITIES-NETWORK 의 소개입니다)


The Sharing Cities Network connects local sharing activists in cities around the world for fun, mutual support, and movement building.

(공유도시 네트워크는 세계의 지역 공유 활동가들 재미와 상호 협력 그리고 공유의 움직임을 만들기 위해 연결한다)

출처: SHAREABLE CC-BY


우리의 도심 '서울' 이 공유도시로서 소개되어있습니다.

서울시가 공유도시 서울을 발표한지도 이제 4년이 되어갑니다. (2012년 발표) 외국에서도 서울은 공유도시로 알려져있지만 실상 서울에 거주하고 계신 여러분은 그 사실을 많이 모르시는 것 같으신데요. 오늘 한번 공유 서울과 공유의 가치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line_characters_in_love-10


일단 공유 도시 서울이라는 것이 무엇인지 부터 알아보아야겠죠?


공유도시 서울

시간, 공간, 재능, 물건, 정보 등 누구나 소유하고 있는 것을 함께 나누어 활용함으로써 쓰지 않고 놀리는 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고, 지역경제를 활성화하며, 이웃과 공동체 의식도 형성하고, 환경에도 이로운 활동인 '공유'가 활성화된 도시라고 합니다.

출처: 공유허브 CC-BY


무슨 소리냐구요?

센터 사업 중에 미트쉐어라는 사업이 있지요? 미트쉐어는 자기가 소유하고 있는 관심사와 정보, 재능등을 활용하여 필요로 하는 사람들에게 도움을 주는 모임을 지원하는 사업인데요. 예를들면 모금에 관해서 잘 알고 있는 '모금가협회' 가 모금에 관한 실무에 대한 강의를 진행을 하거나, 회계에 능한 회계사들이 작은 단체들,스타트업 들을 위한 회계 강의나 모임등도 미트쉐어 모임 중 일부였죠. 또한 여러차례 마을의 모임을 형성하여 지역 경제 활성과 마을의 공동체 의식도 형성 할 수 있구요! 바로 이런 것이 공유의 가치! 이렇게 자신의 재능을 함께 나누어 활용함으로서 사람들과의 네트워크도 형성할 수 있다는 것인데요.

line_characters_in_love-22이해되셨죠?


그렇다면 서울은 왜 공유도시를 선포했을까요?

서울은 OECD 국가 중 자살율 1위, 술 소비량 1위, 노인인구 증가에 따른 불평등 증가와 복지감소, 젊은 세대의 사회문제 발생과 이에 따른 압박감, 인구밀집에 따른 자원 부족과 공기오염 등 여러한 문제를 안고 있습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서울시는 '공유도시 서울' 을 2012년에 선포하였는데요.

공유허브에서는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습니다.



복지, 환경, 일자리 등에서 사회적 수요는 급증하고 있으나 한정된 예산과 자원으로 이를 해결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습니다. 또한 급격한 도시화로 공동체 의식이 실종되었고, 과잉소비에 따른 자원고갈과 환경오염문제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해결이 어려운 도시의 경제적, 사회적, 환경적 문제들을 '공유'라는 새로운 방법을 통해 완화시켜 나가고자 합니다.                                                                출처: 공유허브 CC-BY


출처: 공유허브 CC-BY

출처: 공유허브 CC-BY

출처: 공유허브 CC-BY 


그러나 SHAREABLE 에서 공유경제와 공유도시에 관한 서울시민들의 인지도를 엿볼 수 있었어요. 약 12%정도만 공유경제에 대해 알고 있었고, 55.6%는 거의 모르거나 아예모른다는 답변을 했다고 합니다. 또한 59%의 사람들이 여전히 공유의 가치에 대해 잘 모르고 있었다고 하네요.


 moon_and_james-29


공유경제를 알아보기 위해 공유허브를 알아보고 공유의 가치를 함께 알아보죠!


공유경제, 공유도시 서울의 핵심은 공유허브라는 온라인 플랫폼인데요. 다들 한번쯤은 들어보셨는지요?

공유 허브는 공유라이선스로 유명한 CCKOREA 의 사업 중 하나로 유무형의 자산가치를 공유하는 이점을 알리기 위해 시작하였다고 합니다.


공유라이선스에 대해서 잘 모르시면 전의 포스팅을 한번 참고해보시면 좋겠습니다.

공유라이선스로 다같이 이용하는 저작물 http://snpo2013.blog.me/220541018459


공유허브에는 공유에 관한 모든 것을 공유한다고 하는데요. 이루어지고 있는 공유문화라던지, 공유 경제, 공유 기업, 공유에 관한 정부의 정책, 정부와 기업, 단체, 기관 등을 연결하여 궁극적으로는 공유문화를 한국사회에 정착시키기 위한 온라인 플랫폼이라고 합니다.


그렇다면 여러분이 제일 알게 되면 도움이 되고 활성화가 될 것 같은 공유 경제에 대해서 먼저 알아보죠!


서울시는 63개의 단체와 기업을 선정하였는데요. 2018년에는 300개까지 늘어날 것으로 추측한다네요. 이렇게 선정된 단체들에게 재정적 도움과, 컨설팅 그리고 행정 도움까지 주고 이ㅆ다고 합니다. 그러면 어떠한 기업들이 길래 서울시에서 이렇게 '공유'를 강요하고 육성하고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원더랜드

원더렌드  

집에 남는 물품을 이웃에게 대여하고 대여받을 수 있는 소셜 대여 서비스로 개인간 대여에 최적화된 시스템

빌리

빌리  

개인간 물건 공유 플랫폼

티클

티클(tikle)  

동일하거나 비슷한 거리의 목적지를 둔 사용자들이 함께 자동차를 타는 카풀 서비스

코자자

코자자  

서울 북촌한옥마을에서 전주 한옥마을에 이르는 전국의 모든 한옥을 여행자에게 공유하는 여행, 숙박 플랫폼

한인텔

한인텔  

해외에서 거주하는 한인들의 남는 빈 방을 여행 게스트들과 함께 공유하는 숙박 서비스

1920588_602354149847283_1243289188_n

스페이스쉐어  

스터디룸, 회의실, 대관정보 등 각종 공간정보를 제공합니다.
# 할인가격검색, 예약, 결재

Screen Shot 2015-06-29 at 12.13.41 PM

링고플라이  

링고플라이는 전 세계 70억 명의 모국어 재능을 공유하게 합니다. 누구나 자신이 배우고자 하는 언어, 가르치고자 하는 언어를 선택하면 됩니다.

키플

키플  

아이들 의류 교환 및 공유 플랫폼 서비스

Print

모두의 주차장  

주차장의 정보(이용요금, 이용시간, 카드결제 가능) 의 정보를 알 수 있습니다.

그린카

그린카  

그린카는 전국 27개 도시 450여개 그린존에서 서비스하고 있으며, 간단한 회원가입 절차를 거쳐 24시간 무인시스템으로 이용 가능한 편리한 서비스입니다. 스마트폰을 이용한 간단한 예약 및 차량위치 검색이 가능하여 빠르고 편리한 이용이 장점입니다.

WooZoo

WOOZOO  

주거 문제로 어려움을 겪는 이들을 위해 입주신청을 받아 공동주택을 제공

마이리얼트립

마이리얼트립  

현지인과 여행자의 교류를 도와주는 여행 플랫폼

집밥

소셜다이닝 집밥  

소셜다이닝 플랫폼으로 다양한 사람들의 즉석 밥 모임을 도와주는 사이트

출처: 공유허브 cc-by


대표적으로 유명한 플랫폼들과 몰랐는데 도움이 되실 것 같은 플랫폼들을 들고 왔습니다. 여행, 숙박, 밥, 물건, 공간, 언어, 주차, 자동차대여 등 다양한 물건, 재능, 장소 등을 공유하여 사람들간의 네트워크도 형성하고 물건을 재활용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하고  일석이조 공유경제!


이렇게 공유를 통해 서울시민들을 매년 1200만원의 돈을 절약할 수 있고, 서울시는 1조 1800만원의 예산 또한 아낄 수 있다고 합니다. 또한 공유 경제를 통해 1280개의 새로운 직업을 창출해냈고, 29,800 톤에 달하는 CO2 배출을 줄인 성과가 있다고 하는데요.

공유의 가치

이제 모두 다 아시겠나요?

moon_and_james-2


서울시NPO지원센터도 이런 공유경제에 발을 맞춰 사회적 기업과 손을 잡고 지원을 하고 사업을 같이 하고, 또한 미트쉐어를 통해서 이러한 공유 모임을 만들어나가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공유도시 서울, 공유경제에 발맞춰 노력하는 서울시NPO지원센터 가 되겠습니다.


오늘도 즐점하시고 행복하세요~


마지막으로 이 포스트를 쓰게 만들었던 원 자료들 링크 걸어드리겠습니다.

SHAREABLE/sharing cities network. http://www.shareable.net/sharing-cities

SHAREABLE/sharehub. http://www.shareable.net/blog/sharehub-at-the-heart-of-seouls-sharing-movement

SHAREABLE/despite slow adoption, seoul doubles down on sharing city project. http://www.shareable.net/blog/despite-slow-adoption-seoul-doubles-down-on-sharing-city-project

공유허브 http://sharehub.kr/

공유서울 블로그 http://blog.naver.com/cc_korea/130180109138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