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도가 ‘삼락농정, 사람찾는 농촌’ 구현을 위해 실시하는 생생마을만들기 사업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29일 도에 따르면 지난 10년간 보조금이 지원된 324개 마을의 현황 전수 조사를 실시, 단계별 지원 체계 구축을 위한 시범 사업이 완료됨에 따라 내년 예산작업이 마무리 되는대로 본격적인 추진에 나설 예정이라고 밝혔다.
도는 신규 사업 발굴의 최소화와 현재까지 추진된 사업에 대한 현황을 파악하고 성공요인과 실패요인을 분석한 후, 사업방식을 종합적으로 정비해 사업의 효과를 극대화할 방침이다.
앞서 도는 지난 4월부터 6개월간 보조금이 투입된 향토산업마을조성마을, 녹색농촌체험마을 등 10개 사업(324개 마을)의 공동체 사업 현황, 시설 운영 상황, 추가 활성화 방안, 주민 요구 사항 등을 조사했다.
조사결과, 상시운영 마을 103개, 부분·한시 가동 124개, 운영미진 마을 83개, 기타 14개로 나타남에 따라 다양한 지원방향을 제시했다.
상시운영마을의 경우 농촌활력 대표거점으로 육성하기 위해 6차산업, 사회적 경제 영역 사업과 연계해 발전시켜 나갈 계획이다.
한시운영마을은 무리한 성과요구보다 사업조직의 안정적 유지를 위해 조직진단과 전문컨설팅을 실시해 장기적인 운영 전략을 마련할 방침이다.
또 운영 미진마을은 실패 경험을 인정하고, 회생 가능한 기반 마련과 갈등 극복 등에 집중하는 단계별 맞춤형 지원방안을 제시했다.
도 관계자는 “이번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사업의 기준점을 정립하고 실과를 중심으로 통합관리 체계와 단계별 지원 방안을 정착시켜 사업에 대한 부정적 이미지를 일축시키겠다”라며 “생생마을만들기 정책이 삼락농정 정책의 마중물이 될 수 있도록 더욱 노력하겠다”고 말했다./김대연기자·r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