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만금 수질관리 문제가 다시 도마 위에 올랐다. 이달 26일께로 예정된 새만금위원회의 새만금 수질 중간평가를 앞두고 새만금호 해수유통 논의가 재점화되고 있다.
전북지역 시민사회단체는 “
수질개선사업을 지난 15년간 실시했지만 수질은 더욱 악화되고 있다”며 새만금호 해수유통을 강력 주장하고 있다. 이에 환경부와 전북도 등은 아직은 시기상조라며 여전히 반대 입장을 밝히고 있어 해수유통을 둘러싼 논란은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전북지역 27개 시민사회단체는 “악화되고 있는 새만금호의 수질변화 추세를 들며 담수화를 통한 목표수질 달성은 불가능하다”며 해수유통의 불가피성을 강조하고 있다. 올 새만금호의 평균 수질은 COD(화학적산소요구량) 기준 8.83㎎/ℓ로 5등급 수준인데 현재 부분적으로 해수유통을 하고 있는 점을 고려할 때 완전 담수화할 경우 수질악화는 불 보듯 뻔하다는 것이다.
정부와 전북도는 이제라도 새만금호 담수화를 위한 수질개선 사업의 근본적 한계를 인정하고, 해수유통으로 수질관리계획을 변경하지 않으면 안된다. 이는 과거 새만금을
농업용지로 개발하려던 애초의 취지가 이제는 새만금이
중국진출의 교두보는 물론 한강 이남의 산업과 관광의
메카로 개발해야 한다는 시대적 요청에 따른 것이다.
2단계 수질개선대책이 끝나는 2020년까지 목표수질을 달성하지 못하고 뒤늦게 해수유통을 결정한다면
새만금개발계획은 심각한 타격을 받게 되므로 해수유통 시기를 앞당겨 새만금 내부개발 속도를 높여야 한다.
따라서 해수유통은 사업중단이나 축소가 아닌, 또 다른 개발방식의 하나이며 정부와 전북도는 이에 대한 타당성과 불가피성을 인정하고 이를 정책에 적극 반영해야 할 것이다. 덧붙여서 지난 24년간 새만금사업을 추진하면서 개발 방향이 초기에는
농지확보였으나 지금에는 관광과 산업용지 확보로 바꿔짐에 따라 그에 걸맞는 정책 전환이 시급하다. 특히 애초 기대했던 만큼 수질이 개선되지 않았기 때문에 더 이상 담수화를 고집하는 건 앞으로 새만금개발을 하지 말라는 것이나 다름 없다. 죽어갔던
시화호도 조력발전을 통해 해수유통으로 살려낸 만큼 이를 경험삼아 해수유통으로 방향을 전환해야 할 것이다.
새만금에 해수유통이 이뤄지면 관광개발이 지금 예상했던 것 보다 더 빠른 속도로 이뤄질 전망이다. 아시아의 진주라 불리는 홍콩과 베니스를 능가하는
명품관광도시로 발전해 나갈 것이기 때문이다. 지금 농지개념에 집착해 담수화를 고집하는 것은 조선조 말에 쇄국정책의 우(愚)를 범하는 것이나 다름 없다. 새만금을 백년 먹거리 터로 만들려면 해수유통은 불가피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