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개발협력 역사 - 2005년이후 UN DCF
(Ver.1.0) 낙서장
http://blog.naver.com/tc2848/220308765828
UN DCF란?
(UN Development Cooperation Forum)
2005년 UN 정상회의에서
개발원조에 대한 개발도상국의 목소리를 반영할 수 있는
지구적 포럼이 필요하다는 결의를 바탕으로 창설된 포럼
DCF는 개발도상국, 공여국, 시민사회, 국회, 지방정부, 민간 등
다양하고 포괄적인 범위의 이해관계자들이 모여
개발협력 이슈에 대해 폭 넓은 대화가 이루어지는 것을
주요 목표로 두고 있다.
공식적 창설시기는
2007년 7월 5일 입니다.
SG's Report E/2008/69
제1차 UN DCF, UN 뉴욕본부, 2008년 6월 30일 - 7월 1일
개발협력이 의미 있는 영향력을 가지기 위해서는
다양한 이슈들 간의 상호 보완적인 정책이 매우 중요함을 확인.
또한 MDGs를 비롯하여 이미 국제사회가 합의한 원조 공약 이행의 중요성을 재확인하고
예측가능하며 개발 성과를 최대화 시킬 수 있는 원조 분배가 보장되어야 함을 강조.
DCF가 보다 포괄적인 고위급 회담을 지원함으로써
시민사회, 국회, 민간 및 지방 정부를 포함한
모든 이해관계자들의 목소리를 강화하는데 힘쓸 것을 강조하며
2010년에 열릴 2차 회의에서는 관계자들 간의 합의를 통해
효과적인 개발협력을 이끌어 낼 수 있는
보다 포괄적인 프레임워크를 구축하기로 했다.
SG's Report E/2010/93
제2차 UN DCF, UN 뉴욕본부, 2010년 6월 29-30일
개발협력의 일관성과 효과성 향상을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논의.
특히 MDGs 달성을 위해 개발협력 책무성과 투명성 향상이 중요함을 인지.
책무성에 관한 논의 결과 중 더욱 주목할 점은,
국회와 시민사회, 지방정부가 개발협력 활동 책무성 향상을 위한 옹호자이자
동등한 파트너로써 모니터링과 평가 과정에 활발하게 참여할 수 있도록
더 많은 권한을 부여해야 한다고 인지한 점.
DCF가 개발협력의 트렌드(양과 질, 분배 등)뿐만 아니라
개발협력 행위자들 간의 동료 학습을 통해 상호 책무성과
투명성 증진 과정을 정기적으로 점검해나갈 것을 후속 계획으로 밝혔다.
또한 DCF가 국제사회의 정책 대화와 규범을 형성해 나가는 역할을 강화해야 함을 강조하고 있다.
SG's Report E/2012/78
제3차 UN DCF, UN 뉴욕본부, 2012년 7월 5-6일
DCF가 개발협력을 통한 지속가능한 발전을 달성하고,
포괄적 파트너십을 구축하여 개발성과를 증진하며,
다양한 행위자들 간의 상호 책무성을 강화하여
미래의 개발협력 주요 의제에 기여하기 위해 개최.
'국제개발협력의 트렌드와 진전' 보고서
(Trends and Progress in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이란ㄴ 제목으로 8가지 주요 내용을 담고 있다.
ing
(제4차 UN DCF, UN 뉴욕본부, 2014년 7월 예정)
http://www.un.org/en/ecosoc/dcf/
국제개발협력 역사 - Post-2015 과정 (0) | 2015.03.23 |
---|---|
국제개발협력 역사 - 2013년 UN MDGs 평가, D-1000 (0) | 2015.03.23 |
국제개발협력 역사 - 2000년 이후 UNCSD, SDGs (0) | 2015.03.23 |
국제개발협력 역사 - 2000년 이후 G20 개발논의 (0) | 2015.03.23 |
국제개발협력 역사 - 1945년부터 2000년까지 (0) | 2015.03.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