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개발협력 역사 - 2000년 이후 G20 개발논의
(Ver1.0) 낙서장
http://blog.naver.com/tc2848/220308766869
SEOUL DEVELOPMENT CONSENSUS.pdf
Multi Year Action Plan on Development.pdf
2010년 제5차 대한민국 서울 G20 정상회의
'다함께 성장을 위한 서울 개발 컨센서스'와 '다년간 개발 행동계획' 채택
<서울 개발 컨센서스의 G20 개발 6대 원칙>
<9개 분야에 대한 다년간 행동계획>
2010년 6월 제4차 캐나다 토론토 정상회의에서 G20 정상들은
제5차 서울 정상회의에서 개발의제를 비중있게 논의하기 위해
G20 개발그룹(DWG: High-Level Development Working Group)을 발족시키기로 합의,
이후 G20 개발그룹은 서울에서 두 차례 회의를 갖고, 서울 개발 컨센서스의 근간을 마련
<서울 개발 컨센서스의 G20 개발 6대 원칙>
1. 경제성장과 성장복원력 강조: 다만, 경제성장이 개발에 필요한 요건이나 충분하지 않다는 측면에서 포용성 반영
2. 수원국 주도의 개발정책 추진과 글로벌 개발 파트너십
3. 국제.지역 차원의 공동 대응이 필요한 주제 우선 추진
4. 민간 부문 참여 촉진
5. 기존 개발협력 논의와의 차별화 및 보완
6. 이행가능한 행동계획을 통한 구체성과 도출
<9개 분야에 대한 다년간 행동계획>
1. 인프라 투자 확대를 위한 고위급 패널 창설 및 관련 제도 개선
2. 개도국 노동자의 생산성 향상을 위한 직업기술 개발 지원
3. 무역을 통한 성장을 지원하기 위해 개도국 무역역량 개선
4. 개도국의 고용 관련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민간투자 촉진
5. 식량안보 공약 이행 및 식량가격 변동성 완화
6. 경제위기 대응과 복원력 제고를 위한 사회안전망 강화
7. 조세역량 배양을 통한 개도국의 개발재원 확충
8. 중소기업 등 금융소외계층의 금융 접근성 개선
9. 다양한 개발경험을 공유하여 개도국 실정에 맞게 적용
서울 개발 컨센서스 및 다년간 개발 행동계획의 이행성과를 확인하고
개발을 G20 주요 의제로 지속 추진키로 합의
*빌 게이츠 개발재원 보고서를 통해 혁신적인 개발 재원 마련 방안 논의
G20 정상선언문(국문).hwp
부속서4. 2012년 개발그룹 보고서.pdf
개도국 인프라 투자 확대를 위한 다자개발은행(MDB) 행동계획 및
고위급 패널 권고사항의 이행을 환영하고, 향후 작업을 독려
식량안보 증진을 위한 깐느 G20 농업행동계획 이행을 점검하고,
신규과제인 소농의 지속가능한 농업 생산업 향상 보고서 논의
---
의장국인 멕시코 정부가 견인하여 온 식량안보의제나 녹색성장 지속가능발전 등의 개발의제는 뒷전으로 밀린채,
전 세계를 금융위기 공포로 몰아넣고 있는 유로존 위기 대응책을 포함한 침체된 세계경제 회복과 성장,
금융체제 강화방안 등이 주된 의제로 다루어졌다.
상트페테르부르크 정상 선언문(국.영문).hwp
2013년 제8차 러시아 상테페테르부르크 G20 정상회의
G20 서울 정상회의시 개발의제 도입 이후 3년간의 G20 개발의제 성과를 평가하고
'신규행동계획(Development Outlook)' 채택
인프라, 식량안보, 인적자원개발, 금융소외계층포용/국제송금, 국내재원조성
5개 중점분야로 의제를 간소화하여 효율성 추구
국제개발협력 역사 - 2005년이후 UN DCF (0) | 2015.03.23 |
---|---|
국제개발협력 역사 - 2000년 이후 UNCSD, SDGs (0) | 2015.03.23 |
국제개발협력 역사 - 1945년부터 2000년까지 (0) | 2015.03.23 |
국제개발협력 역사 - 2000년 이후 UN FfD, OECD, GPEDC (0) | 2015.03.23 |
유엔 새천년개발목표인 MDGs 란?,,SDGs의 해석 (0) | 2015.03.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