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다가올 미래가치 [회복력]--「The Resilience Imperative」

본문

 

 

 

다가올 미래가치 [회복력] 도서 번역 프로젝트

크라우드펀딩

    3 / 6

    "우리는 경제성장을 위해 소중한 자유와 권리를 희생하면 가난과 굶주림에서 벗어난다고 믿었습니다. 하지만 우리에게는 빈부격차의 심화, 지역경제의 붕괴, 마을 공동체의 해체 등 너무나 큰 상처만 남았습니다. 이에 대한 자각과 대항으로 마을공동체, 대안경제 등 시민의 반격이 시작됐습니다. 대안적인 시도들을 통하여 회복력을 갖춘 삶의 터전을 만들자고 제안하는 「The Resilience Imperative」. 이제 곧 한국어로 번역되어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 펀딩기간 2015.01.28 - 2015.02.20
    • 보상품제공일 2015.03.16
    목표금액이 2015년 2월 20일까지 100% 모여지지 않으면 모금은 실패되고 후원해 주신 금액은 자동 환불됩니다. 공감하신다면 지금 바로 동참해 주세요!


    이 시대에 가장 필요한 가치, 회복력 
    지금 전 세계는 경제 및 사회 양극화 심화, 기후변화, 핵 사고, 종교 분쟁 등 다양한 경제, 사회, 환경적 불안 속에서 살아가고 있으며, 한국도 이러한 문제를 마주하며 시민들의 불안은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습니다. 리질리언스 포럼에서는 이런 외부 충격에 대한 회복이 될 수 있는 대안을 고민해왔습니다.  

    The Resilience Imperative 번역본 출판 및 저자 초청을 통해 세계 여러 나라에서 진행되고 있는 대안적 삶의 모습들을 살펴보고, 회복력 있는 삶, 회복력이 발휘될 수 있는 구조에 대한 고민을 나누는 대한민국이 될 수 있길 기대합니다. 

     

     

     

     

     The Resilience Imperative 

     * 회복력(resilience) : 외부 충격에 대한 내부적인 원상회복 능력 “어떤 시스템에서, 충격이나 교란으로 인해 야기된 불안정한 상태를 회복시킬 수 있는 역량(시스템 속성)”

     

     

    ◎ 어떤 이야기가 담겨있나요?

     The Resilience Imperative」 에는 사유재산과 공유재산, , 에너지, 먹거리, 금융, 협동조합, 마을경제, 소유권 이슈 등 21세기를 살아가는 우리에게 주어진 사회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안을 제시하고, 그 안에 담겨진 회복력의 중요성을 이야기 합니다.

     

     

     

     




    <마을 밖으로 새어나가는 돈을 막아야 일자리와 마을자본을 만들 수 있다>

     (7. 마을경제로 새틀짜기) 

     


     

     

    <공동체가 토지를 함께 소유하고 협동조합으로 주택을 만들면 투기적인 시장에서  벗어난 새로운 주택모델이 가능하며 그곳에 호혜성이 나타난다>

     (4. 나와 우리의 하나됨:지불가능한 집 중)

      

     

     

     

     

     ◎ 목 차

      

     

     

     

     

     ◎ 저자 및 역자 소개




    한국의 독자들에게~

    전 세계는 지구적 부채 위기, 기후 변화, 심화되는 불평등이란 소용돌이를 마주하고 있습니다. 이런 문제들은 협동에 기초해 공유재산을 창출하고 활용함으로써 다룰 수 있습니다. 역사 속에 그 전례는 풍부히 존재하며, 그를 현대적으로 해석해 적용하는 사례들 역시 늘어나고 있습니다. 이런 경제 민주화의 길들은 무엇보다 도시를 회복력있고 사회적으로 통합된 곳으로 만들어 나갈 것입니다. 이런 아이디어들과 실천들을 서울에서 나눌 수 있게 되어 매우 기쁩니다.                                                                                  (from, Pat Conaty)

     

    역자 소개

    「The Resilience Imperative」의 번역을 위하여 미래가치 리질리언스 포럼의 회원을 중심으로 각 분야에서 대안모델에 대한 고민과 연구, 현장 활동을 하고 계시는 분들이 함께 공동 번역작업을 진행 중에 있습니다

     

    전대욱  (1한국지방행정연구원)

    이수연  (2서울시사회적경제과)

    최윤종  (3행정자치부)

    전은호  (4서울사회적경제지원센터)

    윤태환  (5루트에너지)

    송원규  (6농업농민정책연구소 녀름 )

    김광남  (7러반다이나믹스)

    김홍길신효진  (8한국사회투자)

    박내현  (9, 청년공동체도꼬마리)

    김형미  (10아이쿱협동조합연구소)

    강빛나래  (11네덜란드델프트대학) 

    김혜인  (12숭실대학)

    김건위최인수  (감수한국지방행정연구원)

     

    참여해 주신 여러분께 드리는 보상품

     

    ◆ 번역서 1: 2만 5천원

      -  The Resilience Imperative 번역서 1권을 배송해 드립니다.

     

    ◆ 번역서 1+ 강연회 초대권 1: 3 만원

      - The Resilience Imperative 번역서 1권을 배송해 드립니다.

     -  저자(Pat Conaty) 초청 강연회에 초대합니다.

     * 예정일 : 31619시 (※확정된 시간 및 행사장소는 개별 연락 드립니다.)

     

    ◆ 번역서 1+ 강연회 초대권 1+ 디너파티 초대권 1: 5 만원

     - The Resilience Imperative 번역서 1을 배송해 드립니다.

     -  저자(Pat Conaty) 초청 강연회에 초대합니다.

    * 예정일 : 31619시 (※확정된 시간 및 행사장소는 개별 연락 드립니다.)

     - 저자와 번역자들이 함께하는 디너파티에 초대합니다. (50인 한정).

    * 디너파티 일시 및 장소 : 201531819시(예정), 미나리하우스 2.0 / 까페슬로비 케이터링 (※최종 안내는 개별 연락 드립니다.) 

     

        꼭 읽어주세요!

        ○ 출간 예정일은  3월 16일이나 출판 과정에서 다소 일정이 조정될 수 있습니다. 일정 변경시 [새소식]을 통해 공지하겠습니다. 

        ○ 강연회에 임박하여 책이 출간되는 경우에  3월 16일 강연회 당일에 책을 배포해 드리겠습니다. 부득이 강연회에 참석못하시거나, 책이 조금 늦게 나오는 경우에는 배송을 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개별 확인 예정) 

        ○  저자 초청 강연회 예정일은 3월 16일 19시이며, 장소 및 일시가 확정되면 참여하신 분들께 개별 연락드리겠습니다.

        ○  디너파티는 50인으로 인원이 제한되오니 서둘러 참여 부탁드립니다. 3월 18일 19시 미나리하우스 2.0에서 진행될 예정이며, 장소 및 일시가 확정되면 참여하신 분들께 개별 연락드리겠습니다. 

       ○ 아래 사진은 디너파티가 열릴 미나리하우스 2.0입니다. 


     

     

     

    이번 크라우드펀딩을 통해 

    예비 독자들에게 책의 출간을 널리 알리고, 더 많은 분들과 출간 이벤트를 함께 하게 되길 기대하고 있습니다.  < The Resilience Imperative > 저자 초청 행사로 독자와 저자의 만남이 추진될 예정이며, 한국 사회에 꼭 필요한 회복력의 가치에 대해서 재고해볼 수 있는 시간이 될 것입니다. 궁극적으로 이 책이 널리 읽혀져 이번 기회를 통해 한국사회에서  회복력이라는 아젠다가 확산되고 주요하게 인식될 수 있기를 바랍니다. 

     

    프로젝트 리스크 요인과 해결 방안

    The Resilience Imperative 한국어판은 국문 번역이 완료되어 가고 있으며 곧 출판을 기다리고 있습니다. 도서출판 따비에 의하여 모든 출판 과정이 진행되며, 일정(3월 16일) 내에 출간이 완료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 저자 방문 시 출간이 완료되지 못하더라도 3월 내에는 출간하여 받아보실 수 있도록 준비중입니다.
    하지만 만에 하나라도 보상품을 받지 못하실 경우가 생기게 된다면 펀딩금액을 전액 환불조치해 드리겠습니다.

    저자초청 강연회는 장소가 최종적으로 확정되지 않아 공지에 세부 내용을 담지 못하였습니다. 세부 일정은 추후에 메일과 문자를 통하여 안내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강연회는 3월 16일 유력. 디너파티는18일 유력함)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