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엔미래보고서 지구촌 15대 과제:
정보통신기술융합 Challenge 6 : Global convergence of ICT
(정보 통신 기술의 글로벌 컨버전스)
How can the global convergenc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ies work for everyone? 정보 통신 기술의 글로벌 컨버전스는 어떻게 모든 사람을 위한 일을 할 수 있나?
Short Overview
The race is on to complete the global nervous system of civilization and make supercomputing power available to the masses, with advances in IBM's Watson, cloud computing by Amazon and others, plus the Loon project of Google and a team led by Facebook to get Internet access to everyone. Projects to understand the human brain are underway in the EU, US, and China that will yield new insights for better computing and communications.
인류는, IBM의 왓슨, 아마존, 다른 사람들이 클라우드 컴퓨팅, 구글과 인터넷 접속을 할 수 있도록 페이스 북이 이끄는 팀의 Loon 프로젝트의 발전과 함께, 문명의 글로벌 신경 체계를 완료하고 대중에게 슈퍼 컴퓨팅 파워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인간의 뇌를 이해하는 프로젝트는 더 나은 컴퓨팅 및 통신에 대한 새로운 통찰력을 얻을 수 있는 유럽 연합 (EU), 미국, 중국에서 진행되고 있다.
Nearly 40% of humanity uses the Internet, 6.7 billion mobile subscriptions, ITU and uncountable billions of hardware devices are intercommunicating in a vast real-time multinetwork, supporting every facet of human activity. It is reasonable to assume that the majority of the world will experience ubiquitous computing and eventually spend much of its time in some form of technologically augmented reality. New forms of civilization are beginning to emerge from this convergence of minds, information, and technology worldwide. Mobile phones have already become personal electronic companions, combining computer, GPS, telephone, still and movie camera and projector, alarm clock, research assistant, music player, flashlight, newspaper, translator, and TV. There are more than a million phone applications listed in the on-line store.
인류의 약 40 %는 인터넷을, 6억 모바일 구독을 사용하고 있으며, ITU 와 셀 수 없는 수십억의 하드웨어 장치는 광대한 실시간 다중 네트워크상에서 상호 통신하고 인간 활동의 모든 측면을 지원하고 있다. 세계의 대부분이 유비쿼터스 컴퓨팅을 경험하고 결국 기술적으로 증강 현실(augmented reality)의 형태로 대부분의 시간을 보내는 것을 추정하는 것이 타당하다. 새로운 형태의 문명은 전 세계적으로 정신(mind), 정보 및 기술의 융합으로부터 나타나기 시작하고 있다. 휴대 전화는 이미 컴퓨터, GPS, 전화, 영화 카메라, 프로젝터, 알람 시계, 연구 조력자, 음악 플레이어, 플래쉬, 신문, 번역기, 그리고 TV와 결합하여 개인의 전자 동반자가 되었다. 온라인 상점의 목록에는 백만 개 이상의 모바일 전화용 앱(App)이 있다.
As the cost of computers and smart phones continues to fall, and capacity and ease of use increases, even remote and less developed areas are beginning to participate in this emerging globalization. Collaborative systems, social networks, and collective intelligences are self-organizing into new forms of transnational democracies that address issues and opportunities. This is giving birth to unprecedented international conscience and action, augmenting conventional techniques for global improvement. New systems are being invented to address increasing complexity that has grown beyond hierarchical management. Open source software and the Internet’s non-ownership model may become a significant element in the next economic system. Web capacities are allowing businesses to carry out training, sales, and meetings in interactive and visual cyberspaces that compete with conventional reality.
컴퓨터와 스마트 폰의 가격은 계속 하락하고, 용량은 커지며 사용이 쉬워짐에 따라, 멀리 떨어져 있고 덜 개발된 지역이 새로운 세계화에 참여하기 시작했다. 협업 시스템, 소셜 네트워크, 집단 지성은 이슈들과 기회들을 야기하는 초국가적 민주주의라는 새로운 형태로 자기 조직화되고 있다. 이는 글로벌 개선을 위한 종래의 기술을 보강하고 전례 없는 국제 양심과 행동을 나타나게 하고 있다. 새로운 시스템은 계층적 관리를 넘어, 성장하고 증가하는 복잡성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되고 있다.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와 인터넷의 비소유(non-ownership) 모델은 다음의 경제 시스템에서 중요한 요소가 될 수 있다. 웹 용량은 기업들이 상호작용가능하고 전통적인 현실과 경쟁하는 시각적인 사이버 공간을 통해 훈련, 판매 및 회의를 수행하게 한다.
There were 2.1 billion mobile-broadband subscriptions in 2013, which is growing 40% annually. More mobile-broadband subscriptions exist in the developing world (1.16 billion) than the developed world (940 million) in 2013. Ericsson forecasts that 85% of the world’s population will be covered by high-speed mobile Internet in 2017; there are currently about 4.5 billion mobile phone users; and 7.3 billion mobile communications devices are expected to be in active use by 2014. one report says 77% of mobile phone users access the Web only from a mobile device, while 28% of all Internet traffic originates from mobile devices. Unfortunately multitasking with smart phones may cost the world economy billions per year in lost productivity due to lack of concentration and interruptions.
2013 년에 21 억 건의 모바일 광대역 구독이 이루어졌으며 이러한 구매는 매년 40 % 성장하고 있다. 2013 년에는 선진국(940000000건)보다 개발 도상국(1160000000건) 에서 더많은 광대역 모바일 구독이 이루어졌다. 에릭슨은 2017 년에는 세계 인구의 85 %가 고속 모바일 인터넷을 사용할 것으로 전망; 현재 약 45 억 휴대 전화 사용자; 73 억 이동 통신 장치는 2014 년까지 사용 중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한 보고서는 휴대 전화 사용자의 77 %는 모바일 장치에서만 웹을 사용함을 보여준다. 그리고 인터넷 사용의 28%가 모바일 장치에서 발생한다. 불행하게도 스마트 폰을 이용한 멀티 태스킹은 집중과 중단의 부족으로 연간 세계 경제에 수십억의 비용을 지불하게 할 수 있다.
One of the next “big things” could be the emergence of collective intelligences for issues, businesses, and countries, forming new kinds of organizations able to address problems and opportunities outside the bounds of conventional management. Collective intelligence can be thought of as a continually emerging capability that we create by building synergies among people, software (including sophisticated analysis tools), and information (including massive "big data" banks) and that continually learns from feedback to produce just-in-time knowledge for better decisions than any one of these elements acting alone. Billions of people with smart phones, big data access, and common platforms and languages create a unique global capacity. This capacity may be augmented by personal assistant artificial brains that know “everything” about you (being developed by Google) and future applications expected to result from the human brain projects (to further cognitive development) in the US, EU, China, and Japan.
다음 "큰 일"중 하나는 기업 및 국가에 대한 집단 지능의 출현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집단지성은 기존 경영의 범위 밖에서 이슈와 기회를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종류의 조직을 형성한다. 집단지성은 지속적으로 새로 생기는 발전 능력으로 간주될 수 있다. 이러한 발전 능력은 사람들, 소프트웨어(정교한 분석 도구를 포함), 정보(대규모 "빅 데이터"은행 포함) 간에 서로 시너지를 발생시킬 수 있고 이러한 요소들이 독립적으로 이용될 때 보다 더 나은 결정을 할 수 있는 즉각적인 지식들을 생성하는 피드백으로부터 계속해서 지식을 얻게 된다. 스마트폰, 빅데이터 이용, 공통 플랫폼과 언어를 사용하는 수십억의 사람들은 독특한(유일한) 글로벌 역량을 만든다. 이러한 역량은 당신에 대한 모든 것(구글에 의해 개발)과 미국, EU, 중국, 일본의 인간 두뇌 프로젝트의 결과로 출현될 미래의 응용 프로그램을 알고 있는 개인 비서 인공 두뇌에 의해 증강될 수 있다.
Real-time streamed communications shorten the time it takes from situational awareness to decisions. There may be a danger in losing the practice of thoughtful investigation and contemplation, as exemplified by short attention spans and the near-disappearance of investigative journalism. Search engines and Wikipedia give instant access to “all” the world’s stored knowledge. Google and Wikipedia are making the phrase "I don't know" obsolete.
실시간 전송되는 통신은 의사 결정 상황 인식에서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킨다. 짧은 집중 기간과 조사하는 저널리즘이 거의 사라짐에 의해 예시된 바와 같이, 사려 깊은 조사와 명상의 실천이 사라질 수 있다. 검색 엔진 및 위키 백과는 "모든"세계 저장된 지식에 즉시 접근할 수 있다. 구글과 위키 백과는 "나는 모른다"라는 문구를 사라지게 하고 있다.
Google Goggles searches the Web for data about an image rather than being driven by typed or spoken keywords. Even though Wikipedia has become the world’s encyclopedia (4.4 million articles, 287 languages), it still has to manually counter disinformation campaigns occasionally fought through its pages. Going from web 2.0 to web 3.0 and beyond, the Web is evolving from the present user-generated and participatory system into a more intelligent partner that starts to mimick the "understanding of" and the "ability to reason over" its data. Using a hybrid of approaches and technology - leveraging mathematics (statistical analysis, more specifically) and those first developed by AI (Artificial Intelligence) scientists (semantic technology, more specifically) - smarter "machines" such as today’s Jeopardy-beating Watson Computer from IBM or Apple’s affectionate Siri personal assistant, are giving us a glimpse on what is on the horizon, and how "machines" might augment "human" intelligence. A new step in that direction is Google's Knowledge Graph, with (in its initial 1%) 18 billion pieces of information on the "meaning" of more than 570 million entities. Applications are being developed that negotiate with the user in conversational natural language on how to solve a problem. Massive simulations are testing scientific theories in astrophysics and managing sophisticated training systems. The multiplicity of world languages is still a barrier to full global intercommunication (45% of Web sites are not in English); existing human+machine translation is improving quickly.
구글 안경은 웹에서 입력하거나 음성 키워드에 의해 구동되는 것보다 이미지에 대한 데이터를 검색한다. 위키 백과가 세계 백과 사전 (440 만 기사, 287 개 언어)이 되었다 하더라도, 이는 그 페이지를 통해 다툼을 일으키는 그릇된 캠페인들이 여전히 수동으로 카운트된다. 웹 2.0에서 웹 3.0으로 가는 이상 , 웹은 현재 사용자가 생성하고 참여하는 시스템에서 "이해"하고 데이터를 "통해 추론 할 수 있는 능력"을 모방하기 시작하는 더욱 지능적인 파트너로 진화하고 있다. 접근과 기술-활용수학(더 구체적으로 통계분석)과 AI (인공 지능) 과학자 (더 구체적으로 시맨틱 기술)에 의해 개발 된-의 융합(hybrid)을 사용하는 IBM에서 개발하는 Jeopardy-beating Watson Computer나 Apple의 매력적인 Siri 개인 비서 같은 더 똑똑한 “기계들”은 우리에게 수평선에 있는 것들과 기계들이 인간의 지능을 증강시키는 방법을 엿볼 수 있도록 한다. 그 방향의 새로운 단계는, (초기 1 %에서) 570,000,000개 이상의 기관의 "의미"에 대한 정보의180 억 조각을 갖는, 구글의 지식 그래프이다. 응용 프로그램은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에 관한 대화식 자연어 사용자와 협상이 수행되고 있다. 대규모 시뮬레이션은 천체 물리학에서 과학 이론을 테스트하고 고성능의 교육시스템을 관리하고 있다. 다양한 세계 언어는 여전히 전체 글로벌 의사소통 (웹 사이트의 45 %가 영어임)에 장벽이다; 기존의 인간 + 기계(human+machine) 번역은 빠르게 개선되고 있다.
However, this explosive growth of Internet traffic, mainly from video streaming, has created a stress on the Net’s capacities, requiring new approaches to keep up with bandwidth demand, while the ubiquity of the Internet in society makes its reliability critically vital. People and businesses are trusting their data and software to “cloud computing” on distant Net-connected servers rather than their own computers, raising privacy and reliability questions. The Amazon cloud data center’s outage and millions of online card users have had their data compromised are examples. Security and privacy have become prominent aspects of current developments in Web usage; multi-million dollar fines have been levied against careless data custodians. The legal complexities of accelerating changes in ICT are forcing new jurisprudence. Every week there are scores of new laws, regulations, and decisions around the world, ranging from employees' information rights on computers attached to a corporate network to the ownership, patenting, and copyrighting of software. While various technologies to do a better job do exist, there is still no globally accepted policy or approach to replace the password for identity authentication. Governments are wrestling with how to control harmful content (and how to define "harmful"!). Vigorous regulatory debate continues on net neutrality, the doctrine that technical and economic factors for Net users should not be affected by considerations of equipment, type of user (e.g., being a second-level communications provider), or communications content. The 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 has not agreed on the proper role of government in regulating communications which has been brought dramatically to world attention by the Edward Snowdon NSA disclosures.
사회에서 인터넷의 편재는 그 신뢰성이 매우 중요하게 되었다. 그러나, 비디오 스트리밍이 주를 이루는 인터넷 트래픽의 폭발적인 성장은, 대역폭 수요를 유지하기 위해 새로운 접근 방식을 필요로 하는, 네트워크의 용량에 대한 스트레스를 만들었다. 사람과 기업이, 오히려 자신의 컴퓨터보다 개인 정보 보호 및 안정성 문제를 제기하는, 원거리의 인터넷 서버에서 "클라우드 컴퓨팅"에서 제공되는 인터넷의 데이터와 소프트웨어를 신뢰한다. 아마존 클라우드 데이터 센터의 정전 과 수백만 온라인 카드 사용자의 데이터 손상이 그 예이다. 보안 및 개인 정보 보호 정책이 웹 사용에서 현재 중요한 개발 부분이 되었다; 수백만 달러의 벌금이 부주의한 데이터 관리자에 부과되었다. ICT의 급속한 변화에 대한 법적 복잡성은 새로운 법학을 필요로 한다. 매주 소프트웨어의 소유권, 특허, 및 판권에서부터 회사 네트워크에 연결된 컴퓨터에 직원의 정보 권한에 이르기까지 새로운 법률, 규정 및 세계의 의사 결정에 대한 평가(scores)가 있다. 더 나은 일을 할 수 있는 다양한 기술이 존재하는 한, 신원 인증을 위한 암호를 대체할 세계적인 정책이나 접근 방법은 여전히 받아들여지지 않고 있다. 정부는 유해 콘텐츠("유해한"!을 정의하는 방법)를 제어하는 방법과 씨름하고 있다. 활발한 규제 논의는 망 중립성에 대해 계속되고 인터넷 사용자를 위한 기술적, 경제적 요인은 장비, 사용자의 유형 (예를 들어, 두 번째 수준의 통신 서비스 제공 업체 인) 또는 통신 내용의 고려 사항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는 것이라는 원칙에 대해 계속 토론한다. 국제전기통신연합(ITU)은 에드워드 스노든 NSA의 공개로 세계의 주목을 크게 가져왔던, 통신을 규제하는 정부의 적절한 역할에 동의하지 않았다.
Humanity, the built environment, and ubiquitous computing are becoming a continuum of consciousness and technology reflecting the full range of human behavior, from individual philanthropy to organized crime. The "Internet of Things” is expected to connect 75-80 billion items to the Internet by 2020, from controlling one’s home heating via mobile phones to managing drip irrigation and robotic factories. The 3D printer presages a whole new world of personal manufacturing, from simple chess pieces to eventually body parts, and unfortunately fabrication of weapons. Low-cost computers are replacing high-cost weapons as an instrument of power in asymmetrical cyber warfare. Cyberspace is a new medium for disinformation among competing commercial interests, ideological adversaries, governments, and extremists, and is a battleground between cybercriminals and law enforcement. The full range of cybercrimes worldwide is estimated to cost $1 trillion annually. Fundamental rethinking will be required to ensure that people will be able to have reasonable faith in information. We have to learn how to counter future forms of information warfare that otherwise could lead to the distrust of all forms of information in cyberspace. Nevertheless, the value of ICT for reducing the divisions among people outweighs its divisiveness.
인류, 건축 환경, 유비쿼터스 컴퓨팅은 개인의 자선에서부터 조직 범죄에 이르기까지 인간 행동의 전체 범위를 반영하는 의식과 기술에 대해 계속되고 있다. 2020년까지 "사물의 인터넷"에 750억~800억 사물을 연결 할 것으로 예상된다, 휴대 전화로 가정의 보일러를 작동하는 것부터 점적 관수로 및 로봇 공장을 관리하는 것까지. 3D 프린터는 간단한 체스 조각에서 종국에는 불행하게도 신체 부위, 무기의 제작에 이르기 까지 개인 제조의 완전히 새로운 세계를 예견하게 한다. 저가 컴퓨터가 비대칭 사이버 전쟁에서 권력의 도구로 고가의 무기를 대체하고 있다. 사이버 공간은 경쟁하는 상업적 이익, 이데올로기 적, 정부, 극단주의자 사이에 그릇된 정보를 제공하는 새로운 매체이며 사이버 범죄자 및 법 집행 기관 사이의 전쟁터이다. 전세계 사이버 범죄의 전체 범위는 연간 1 조 달러의 비용 추정된다. 사람들이 정보에 합리적인 믿음을 가질 수 있도록 근본적으로 재검토해야 한다.우리는 사이버 공간에서 모든 형태의 정보에 대한 불신으로 이어질 수 있는 정보 전쟁의 미래 형태에 대응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야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람들의 분열을 감소시키기 위한 ICT의 가치는 그러한 분열을 능가한다.
The unprecedented acceleration in automation with improved software and robotics is a serious threat to future employment (See Global Challenge 7). New work models like one-person-businesses that seek markets around the world instead of local non-existent jobs will be increasingly needed. (See GFIS Research on future elements of he next economy).
개선 된 소프트웨어 및 로봇으로 인한 전례없이 가속화되는 자동화는 미래의 고용(글로벌 도전 7 참조) 에 대한 심각한 위협이다. 대신 지역에 존재하지 않는 직업 대신 전 세계 시장을 추구하는 1인 기업과 같은 새로운 직업 모델은 점점 더 필요하다. (다음 경제의 미래 요소에 관한 GFIS 연구 참조).
It is hard to imagine how the world can work for all without reliable tele-education, tele-medicine, and tele-everything. Internet bases with wireless connections are being constructed in remote villages; cell phones with Internet access are being designed for educational and business access by the lowest-income groups; and innovative programs are being created to connect the poorest 2 billion people to the evolving global nervous system of civilization. Sensors and mesh networks are making cities smarter, able to diagnose and fix problems. on-line training, supported by Web access and virtual reality environments, is being used intensively in all fields of endeavor.
신뢰할 수 있는 원격 교육, 원격 의료, 원격 모든 것(tele-everything) 없이 세계가 모든 작업을 수 있는 방법을 상상하기 어렵다. 무선 인터넷이 외딴 마을에 연결되고 있다; 인터넷 연결 가능한 셀 폰(휴대용 전화)은 최저 소득 그룹이 교육과 사업에 접속할 수 있도록 고안되고 있다; 혁신적인 프로그램들은 진화하는 문명의 글로벌 신경계에 가난한 20억명을 연결하기 위해 생성되고 있다. 센서들과 그물망 네트워크(서로 일대일로 연결된 촘촘한 네트워크)는 도시를 더욱 스마트하게 만들고, 문제를 진단하고 해결할 수 할 수 있도록 한다. 웹과 가상현실에서 이루어지는 온라인 교육은 시도하는 모든 분야에 집중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The mobile phone is transforming village life throughout the developing world. Over 2.4 million children and teachers have OLPC (One Laptop Per Child), Kindle e-book readers are bringing global libraries to schools in Africa; the Inter-American Development Bank found that children in Peru in 2012 using the OLPC gained about five months of cognitive development over a 15-month period compared with those who did not use it. Udacity, an effort in Massive Open online Courses (MOOC), has had 300,000 students enrolled in its CS101 - Introduction to Computer Science, and Coursera, another provider, has 1.5 million students.
휴대 전화는 개발 도상국의 마을들의 생활을 변화시키고 있다. 240 만 이상의 어린이와 교사는 OLPC (One Laptop Per Child 어린이 당 하나의 노트북)를 가지고 있고, Kindle 전자 책 독자들은 아프리카의 학교에 글로벌 도서관을 들여오고 있다; Inter-American Development 은행은 2012 년에 페루에 있는 아이들을 대상으로 15개월 간의 인지발달을 관찰한 결과, OLPC를 사용하는 그룹이 OLPC를 사용하지 않은 그룹에 비해 인지발달이 약 5 개월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MOOC (Massive Open online Courses)의 노력인 Udacity는 CS101(Computer Science 소개 강좌)에 30 만 학생들이 등록하였다. 또 다른 공급자 Coursera는150 만 학생들이 있다.
Social networks like Facebook and Twitter are a major component of today's society, and link hundreds of millions of members into new kinds of “personal” relationships and spur the growth of political consciousness and popular power, as in the “Arab Spring.” They also serve as excellent media for commercial customer relation campaigns. E-government systems existing to some degree for the majority of the world allow citizens to receive government information, provide feedback, and carry out needed transactions without time-consuming and possibly corrupt human intermediaries. Telemedicine capabilities are uniting doctors and patients across continents. Computational biology, computational chemistry, and computational physics are accelerating scientific discoveries and sharing of knowledge worldwide, but many governments have tightened controls on Internet access and content, in efforts to suppress discontent or protect religious sensibilities.
페이스 북과 트위터와 같은 SNS는 현대 사회의 주요 구성 요소이며, "개인"관계의 새로운 형태로 수백만의 회원을 연결하고 "아랍의 봄"과 같이 정치의식과 대중의 힘의 성장에 박차를 가한다. 또한 SNS는 상업적 고객 관계 캠페인을 위한 우수한 매체를 제공한다. 세계의 대부분 어느 정도 기존의 전자 정부 시스템은 시민들이 정부의 정보를 수신하고 피드백을 제공하고, 시간이 많이 소요되지 않고 부정한 사람의 중개 없이 필요한 거래를 수행하게 하게 한다. 원격 진료 기능은 대륙에 걸쳐 의사와 환자를 연결하고 있다. 전산 생물학, 전산 화학, 전산 물리학은 전 세계적으로 과학적 발견과 지식의 공유를 가속화하고 있지만, 많은 정부는 불만을 억제하거나 종교적 감성을 보호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인터넷 접속과 콘텐츠에 대한 통제를 강화했다.
Universal broadband access should become a national priority for developing countries, to make it easier to use the Internet to connect developing-country professionals overseas with the development processes back home, improve educational and business usage, and make e-government and other forms of development more available. Challenge 6 will have been addressed seriously when Internet access and basic tele-education are free and available universally and when basic tele-medicine is commonplace everywhere.
보편적인 광대역 접속은 쉽게, 개발 도상국의 전문가와 바다 건너의 선진 연결하고 교육과 비즈니스 사용을 개선하고, 전자 정부 및 더 유용한 개발의 다른 형태 확인하기 위해 인터넷을 더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개발 도상국가의 우선 과제가 되어야 한다. Challenge 6은 언제 인터넷 접속과 원격 교육이 무료가 되고 보편적으로 이용되며 원격진료가 도처에 흔하게 되는 지를 진지하게 보여줄 것이다.
Ten Countries with the fastest Internet connectivity. Source Smart Planet* from State of the Internet by Akamai*
가장 빠르게 인터넷 접속 가능한10 개국. 인터넷의 아카 마이 * 상태로부터 나오는 소스 스마트 플래닛
*
![]() |
Internet Users in the World by Geographic Regions (December 31, 2011)
지역에 따른 세계의 인터넷 사용자 (2011년 12월 31일)
![]() |
출처 : www.internetworldstats.com
인데일리(2014.6.23) 번역:고성임기자
구글 페이스북 등이 무료인터넷을 전 세계에 2016년까지 깔면, 한국의 통신사나 단통법은 무의미해질 수 있다. (0) | 2014.11.26 |
---|---|
(미리 보는 유엔미래보고서 2045) 교육 Challenge 9 : Education(지구촌 15대 과제) (0) | 2014.11.26 |
(미리보는 유엔미래보고서 2045)과학기술발전의 미래(지구촌 15대과제) (0) | 2014.11.26 |
(미리보는 유엔미래보고서 2045)국제 윤리, 글로벌 윤리(지구촌 15대 과제 15) (0) | 2014.11.26 |
빌 게이츠가문의 자녀교육 10계명 (0) | 2014.11.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