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미국과 중국이 합의한 온실가스 감축

본문

 

 

미국과 중국이 합의한 온실가스 감축

미국-중국 온실가스 감축 합의에 인도 "아직 우리는…

(서울=연합뉴스) 정규득 기자 = 미국과 중국이 온실가스 감축에 관한 역사적인 합의를 함에 따라 이제 국제사회의 시선은 인도로 옮겨지고 있다.

세계 2위의 인구 대국이자 미국과 중국을 뒤따르는 3위의 온실가스 배출국으로, 그동안 기후변화 협상에서 중국과 공동보조를 취했던 인도가 조만간 중국과 같은 행보를 보이지 않겠느냐는 기대감이다.

하지만, 인도는 아직 그럴 입장이 전혀 못된다며 손사래를 친다.

미국과 중국 간의 이번 합의를 계기로 중국과 자국 간의 엄청난 개발 격차가 다시 한번 확인됐을 뿐이라는 게 인도 측의 강변이다.

인도 환경부의 고위 간부는 17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에 "중국의 온실가스 배출량은 인도의 4배"라면서 "미국이 중국에 2030년의 시한을 인정했다면 인도에는 2050년 또는 그 이후까지 시간을 줘야 한다"고 말했다.

중국은 최근 10년간 제조업을 기반으로 비약적인 성장을 이뤘고 이 과정에서 온실가스 배출량도 급증했다. 그러나 인도의 개발 속도는 상대적으로 느렸고 양국 간 개발 격차는 더욱 커졌다.

세계은행에 따르면 중국 인구의 99.8%에 전기가 보급됐지만 인도는 75%에 그친다. 또 인도의 1인당 온실가스 배출량은 연간 1.9t으로 중국의 7.2t(세계 평균 5t)에 크게 못 미친다.

따라서 인도 정부는 앞으로 진행될 기후변화 협상에서도 '공동의, 그러나 차별적인 책임'의 원칙을 따를 수밖에 없다고 환경부 당국자는 강조했다.

고도성장과 함께 주요 2개국(G2)의 반열에 오른 중국과 달리 인도는 여전히 수백만 가구에 전기를 보급하고, 기본적인 인프라를 건설해야 하며, 빈곤 해소를 위해 고성장 정책을 구사할 수밖에 없다는 설명이다.

인도 내부에서는 서방 선진국들이 급성장하는 개발도상국에 온실가스 감축의 공동 책임을 지우려고 중국과 인도를 '대규모 배출국'이라는 한 묶음으로 엮는 무리수를 뒀다는 볼멘소리도 나온다.

한 당국자는 "중국은 이미 일정한 개발 단계에 도달했다. 인도도 언젠가는 그런 단계에 도달할 것이다. 하지만, 아직은 아니다"고 역설했다.

인도 정부는 지난 주말 호주에서 열린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에서도 자국이 중국과 동급으로 취급되는데 대한 곤혹감을 표시했다.

나렌드라 모디 총리의 한 참모는 "중국은 대부분의 사회경제적 지표에서 인도를 압도한다"면서 "그럼에도 두 나라가 동급으로 여겨지는 것은 기후변화 협상에서 워낙 긴밀히 협조했기 때문"이라고 해명했다.

지난주 베이징에서 열린 정상회의에서 중국은 사상 처음으로 2030년을 전후해 온실가스 배출량을 더는 늘리지 않기로 합의했다. 미국은 2025년까지 온실가스 배출량을 2005년 수준보다 26∼28% 줄이기로 했다.

양국 간에 이런 합의가 도출되자 서방 권에서는 다음 달부터 시작돼 내년 프랑스 파리 회의에서 결론이 날 기후변화 협상에서 인도도 유사한 약속을 해야 한다는 부담을 갖지 않을까 하는 관측을 제기했다.

한편 뉴욕타임스(NYT)는 인도에서 지속하는 석탄개발 붐 때문에 세계 기후변화 문제가 회복 불가능한 수준까지 악화할 수 있다는 전문가들의 지적이 나오고 있다고 이날 보도했다


Greenpeace Facebook Twitter YouTube

여러분에게 전하고 싶은 좋은 소식이 있습니다. 지난 11월 12일, 미국과 중국은 기후변화와 청정에너지를 위해 협력하겠다고 발표했습니다. 구체적으로는, 두 국가가 온실가스 감축에 합의했습니다.

이는 그린피스가 10년 넘게 캠페인 활동을 벌인 결과라고 할 수 있습니다. 여러 언론으로부터 이번 합의에 대한 인터뷰 요청을 받는 동안, 저는 제일 먼저 여러분에게 이 기쁜 소식을 알리고 싶었습니다. 여러분의 응원과 지지가 있었기에, 이러한 긍정적인 변화가 가능했기 때문이죠. 감사합니다!

두 국가가 합의한 내용이 궁금하시죠? 미국은 2025년까지 온실가스 배출량을 2005년 수준으로 26%~28% 줄이겠다고 했습니다. 이는 2005년~2020년까지 감축하는 속도의 2배에 가깝습니다. 중국도 2030년을 전후하여 온실가스 배출량을 더 늘리지 않겠다고 약속했습니다. 이를 위해, 중국은 2030년까지 중국의 총 에너지 생산량에서 화석연료를 사용하지 않는 에너지의 비율을 20%로 늘리기로 했습니다. 이번 발표는 매우 놀랍습니다. 중국이 처음으로 구체적인 일정 하에 온실가스 감축을 약속했기 때문이죠.

그리고 이번 합의는 매우 의미있습니다.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은 온실가스를 배출하는 두 국가가 기후변화 현실을 깨닫고, 이 심각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협력하여 구체적으로 행동했기 때문이죠. 지난 몇 달 동안, 두 정부는 기후변화에 대해 대대적으로 논의했습니다. 그 결과, 두 정부는 기후변화 문제에 대한 연대 책임을 통감하고, 이를 다하겠다는 결론에 다다른 것이죠.

하지만, 두 국가가 기후변화의 판도를 바꿀 만한 목표에 도달하기에는 아직 갈 길이 남았습니다. 그동안 두 국가가 배출했던 내력에 비추어 더 많은 책임감을 느끼고, 더욱 야심찬 행보를 보여줄 것이라고 기대해 봅니다.

기후변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고군분투했던 우리에게 이번 발표는 굉장히 역사적인 순간입니다. 하지만 우리는 계속 나아가야 합니다. 여러분의 꾸준한 응원과 지지를 바탕으로, 우리는 이번 발표와 같은 역사적인 순간을 더 많이 마주하도록 노력할 것입니다. 그린피스와 함께 하는 여러분,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리 슈오(Li Shuo)
선임 기후에너지 캠페이너 드림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