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물산업 집중육성 고용창출 기회로

본문

물산업 집중육성 고용창출 기회로

매일경제|입력2010.10.11 17:53|수정2010.10.11 20:05

◆ 기후변화 이젠 생존의 문제 (中) ◆

최근 10년 동안 미국에서는 폭염으로 연평균 170명이 사망했다. 일본에서도 올해 일사병으로 3만2000여 명이나 병원 신세를 졌다.

서울에서는 지난 4월 낮 최고기온이 7.8도로 102년 만의 봄 한파를 경험했고, 지난달에는 102년 만의 폭우가 내려 8000여 가구가 침수됐다. 대구에서도 올해 3월 53년 만의 눈 폭탄을 맞아 초ㆍ중ㆍ고교 1000여 곳이 임시휴교를 하기도 했다.

이상저온, 폭염, 집중호우 등 한반도 기후변화에 대비하기 위한 범정부 차원 대응책이 마련된다.

환경부는 11일 국토해양부, 보건복지부, 농림수산식품부 등 13개 부처와 함께 만든 '국가 기후변화 적응대책(2011~2015년)'을 발표했다.

올해 4월부터 시행되고 있는 '저탄소 녹색성장기본법'에 따라 범정부 차원의 종합적이고 효과적인 기후변화 적응을 위해 건강 등 10개 분야, 87개 과제를 추진하게 된다. 환경부에 따르면 한반도 기온은 2050년까지 2도 추가 상승할 것으로 예상되고, 이로 인한 경제적 피해가 800조원에 달할 것으로 추산된다.

정부가 선제적으로 기후변화 적응대책을 마련ㆍ시행해 적응 비용을 획기적으로 줄이겠다는 게 이번 대책의 핵심이다.

대책은 건강, 재난ㆍ재해, 농업, 물관리, 해양ㆍ수산업, 생태계 등 '부문별 적응대책'(7개)과 기후변화감시ㆍ예측, 적응산업ㆍ에너지, 교육ㆍ홍보ㆍ국제협력 등 '적응기반 대책'(3개)으로 나뉘어 추진된다. 부문별 적응대책은 기후변화로 빈발하게 될 폭염, 전염병, 홍수, 가뭄 등으로 인한 인명ㆍ재산 피해를 최소화하고, 아열대작물 재배, 물산업, 생태관광 등 기후변화를 소득ㆍ고용 창출 기회로 활용하기 위한 방안이다.

각 부처는 이번에 발표된 적응대책을 바탕으로 올해 말까지 세부계획을 수립ㆍ시행하며, 지방자치단체는 내년 상반기까지 수립ㆍ시행해야 한다.

이재현 환경부 기후대기정책관은 "2050년까지 기온이 2도만 올라가도 전 세계 20억명이 물 부족으로 고통받고, 생물종의 20~30%가 멸종 위기에 처한다는 전망이 있다"며 "우리나라도 폭설, 이상저온, 폭염 등 이상기후 영향을 받는 만큼 범정부적인 대응책을 만들어 기후변화에 대비해야 한다"고 말했다.

※ 매경ㆍ환경부 공동기획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