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국가 기후변화 적응대책 발표

본문

국가 기후변화 적응대책 발표

국내 기후변화 동향 2010/10/21 17:56


환경부는 녹색성장기본법에 따라 5년 단위의 "국가 기후변화 적응대책(2011~2015)" 발표

적응대책은 건강, 재난/재해, 농업, 물관리 등 10개 분야 87개 과제를 추진하며,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음

(건강) 방문건강관리 프로그램, 폭염 적응 건축물 모델 마련, 지역맞춤형 매개체 방제 시스템 구축, 대기오염 예경보 정보제공 시스템 구축, 알레르기 질환 유발 꽃가루 모니터링 강화 및 정보 제공체계 구축 등

(재난/재해) 기후변화 취약성 지도 작성, 풍수해보험 활성화, 전조현상 모니터링체제 구축, IT 활용 방재정보 전달기법 개발, 소하천 위험도 분석 DB화 등

(농업) 열대 및 아열대 작물(망고 등) 개발 및 보급, 농업용수 관리기술 보급, 외래병해충 발생 기상도 작성 및 웹기반 실시간 외래병해충 발생예측 검색정보 제공 등

(산림)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 지정 확대, 국가수목원 확충, 적정 조림시기 및 조림적지에 관한 맞춤형 산림지도 보급, 산림 병해충 발생 예찰시스템 강화 및 방제단 운영, 전국 40개 댐 유역 숲 가꾸기 등

(해양/수산업) 어황 예보체제 구축, 연안 해수 생물 발병동태 모니터링 및 진단법 개발, 유행생물(해파리 등) 어업피해 경감기술 개발, 신품종 양식기술 및 신규 내유어종 최적 어획기술 개발, 바다 숲 및 목장 조성 등

(물관리) 기후변화를 고려한 물관리 모니터링 인프라 확대 및 IT 기술 활용체계 구축, 첨단기술 활용한 홍수예보시스템 구축, 해수담수화 등 대체수원 개발, 절수형 물이용 장치 및 시설 개발 보급, IT기술을 활용한 실시간 하천관리시스템 구축 등

(생태계) 생태 우수 지역에 대한 실태조시 및 관련 정보DB 구축, 돌발생물 조기 경보 및 방제 시스템 구축, 생물다양성 관찰 네트워크 구축 등

(기후변화 감시 및 예측) 도시 단위 기상 및 기후 감시 위한 방법론 개발 및 시범사업 추진, 국가 표준 기후변화 시나리오 개발, 지역별 분야별 맞춤형 기후변화 및 미래 극한기후 정보 생산, IT 및 유비쿼터스 기술을 활용한 WEB GIS 기반의 맞춤형 실시간 서비스 제공

(적응산업/에너지) 산업 분야별 적응대책 가이드라인 마련 및 기업적응 인벤토리 작성, 기후예측 및 기상산업, 수자원 확보사업, 에너지 효율화 및 저장사업, 기후변화 특화 홍보 마케팅 등 신사업 발굴 및 지원, 국가 재난관리시스템 연동 에너지 공급시설 관리체계 구축 등

(교육 홍보 및 국제협력) 적응분야 Clearing House 운영, 기후변화 포털사이트 활용 맞춤형 기후변화 적응 정보서비스 제공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