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기후변화 동향 2010/10/21 17:56
○ 환경부는 녹색성장기본법에 따라 5년 단위의 "국가 기후변화 적응대책(2011~2015)" 발표
○ 적응대책은 건강, 재난/재해, 농업, 물관리 등 10개 분야 87개 과제를 추진하며,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음
○ (건강) 방문건강관리 프로그램, 폭염 적응 건축물 모델 마련, 지역맞춤형 매개체 방제 시스템 구축, 대기오염 예경보 정보제공 시스템 구축, 알레르기 질환 유발 꽃가루 모니터링 강화 및 정보 제공체계 구축 등
○ (재난/재해) 기후변화 취약성 지도 작성, 풍수해보험 활성화, 전조현상 모니터링체제 구축, IT 활용 방재정보 전달기법 개발, 소하천 위험도 분석 DB화 등
○ (농업) 열대 및 아열대 작물(망고 등) 개발 및 보급, 농업용수 관리기술 보급, 외래병해충 발생 기상도 작성 및 웹기반 실시간 외래병해충 발생예측 검색정보 제공 등
○ (산림)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 지정 확대, 국가수목원 확충, 적정 조림시기 및 조림적지에 관한 맞춤형 산림지도 보급, 산림 병해충 발생 예찰시스템 강화 및 방제단 운영, 전국 40개 댐 유역 숲 가꾸기 등
○ (해양/수산업) 어황 예보체제 구축, 연안 해수 생물 발병동태 모니터링 및 진단법 개발, 유행생물(해파리 등) 어업피해 경감기술 개발, 신품종 양식기술 및 신규 내유어종 최적 어획기술 개발, 바다 숲 및 목장 조성 등
○ (물관리) 기후변화를 고려한 물관리 모니터링 인프라 확대 및 IT 기술 활용체계 구축, 첨단기술 활용한 홍수예보시스템 구축, 해수담수화 등 대체수원 개발, 절수형 물이용 장치 및 시설 개발 보급, IT기술을 활용한 실시간 하천관리시스템 구축 등
○ (생태계) 생태 우수 지역에 대한 실태조시 및 관련 정보DB 구축, 돌발생물 조기 경보 및 방제 시스템 구축, 생물다양성 관찰 네트워크 구축 등
○ (기후변화 감시 및 예측) 도시 단위 기상 및 기후 감시 위한 방법론 개발 및 시범사업 추진, 국가 표준 기후변화 시나리오 개발, 지역별 분야별 맞춤형 기후변화 및 미래 극한기후 정보 생산, IT 및 유비쿼터스 기술을 활용한 WEB GIS 기반의 맞춤형 실시간 서비스 제공
○ (적응산업/에너지) 산업 분야별 적응대책 가이드라인 마련 및 기업적응 인벤토리 작성, 기후예측 및 기상산업, 수자원 확보사업, 에너지 효율화 및 저장사업, 기후변화 특화 홍보 마케팅 등 신사업 발굴 및 지원, 국가 재난관리시스템 연동 에너지 공급시설 관리체계 구축 등
(교육 홍보 및 국제협력) 적응분야 Clearing House 운영, 기후변화 포털사이트 활용 맞춤형 기후변화 적응 정보서비스 제공인류의 재앙은 ‘핵’ 아닌 ‘기후변화’ (0) | 2014.05.28 |
---|---|
물산업 집중육성 고용창출 기회로 (0) | 2014.05.28 |
변화하는 기후에 똑똑하게 대응하는법, 기후변화적응 (0) | 2014.05.28 |
기후변화로 인한 온난화에 적응합시다. 환경부~~~| (0) | 2014.05.28 |
국가기후변화적응대책 발표돼 (0) | 2014.05.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