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김호기의 ‘우리 시대 사상의 풍경’

정치, 정책/미래정책과 정치 전략

by 소나무맨 2014. 4. 16. 17:33

본문

 
[김호기의 ‘우리 시대 사상의 풍경’](11) 진보주의, 사상의 과잉과 정치의 빈곤: 조희연과 김상조
이념구도를 지칭하는 말로는 보수 대 진보, 우파 대 좌파가 흔히 쓰인다. 주목할 것은 보수와 우파, 진보와 좌파가 언제나 동일한 의미를 갖는 게 아니라는 ..
경향신문김호기 연세대 교수·사회학2014. 03. 02 21:34
[김호기의 ‘우리 시대 사상의 풍경’](10) 보수주의, 사상의 빈곤과 정치의 과잉: 이상돈과 박효종
[김호기의 ‘우리 시대 사상의 풍경’](10) 보수주의, 사상의 빈곤과 정치의 과잉: 이상돈과 박효종
이제 이 기획에서 가장 뜨거운 쟁점인 보수주의와 진보주의 사상을 차례로 다뤄보고자 한다. 먼저 보수주의든 진보주의든 가능한 한 객관적 시각에서 평가하고..
경향신문김호기 연세대 교수·사회학2014. 02. 16 21:19
[김호기의 ‘우리 시대 사상의 풍경’](9) 페미니즘, 여성해방과 양성평등을 향하여: 이효재와 조한혜정
[김호기의 ‘우리 시대 사상의 풍경’](9) 페미니즘, 여성해방과 양성평등을 향하여: 이효재와 조한혜정
2월이 되면 마음이 착잡해진다. 졸업을 앞뒀는데도 사회에 진출하지 못한 제자들 때문이다. 특히 여학생들은 안타까움을 더한다. 2011년 우리나라 대졸 이상 여..
경향신문김호기 연세대 교수·사회학2014. 02. 02 20:43
[김호기의 ‘우리 시대 사상의 풍경’](8) 생태학, 인간과 자연의 공존 : 김종철과 최재천
[김호기의 ‘우리 시대 사상의 풍경’](8) 생태학, 인간과 자연의 공존 : 김종철과 최재천
생태학(ecology)이란 말을 만든 이는 독일의 생물학자 에른스트 헤켈이다. 생물들이 서로 환경을 형성하고 결합하면서 어떻게 살아가는지를 다루는 생물학의..
경향신문김호기 연세대 교수·사회학2014. 01. 12 17:06
[김호기의 ‘우리 시대 사상의 풍경’](7) 종교사상, 평화와 구원으로 가는 길: 김수환과 법정
[김호기의 ‘우리 시대 사상의 풍경’](7) 종교사상, 평화와 구원으로 가는 길: 김수환과 법정
사상의 가장 오랜 벗은 종교다. 아니 종교는 사상의 어머니다. 서양의 기독교든, 동양의 불교든 종교는 우리 인류가 갖게 된 최초의 본격적인 사상이다. 근대..
경향신문김호기 연세대 교수·사회학2013. 12. 29 22:23
[김호기의 ‘우리 시대 사상의 풍경’](6) 인문주의, 인간과 삶에 대한 질문 : 이어령과 김우창
[김호기의 ‘우리 시대 사상의 풍경’](6) 인문주의, 인간과 삶에 대한 질문 : 이어령과 김우창
사상이 세계를 바라보는 방법과 내용을 말한다면 그 주체는 당연히 인간이다. 인간이란 무엇인가는 어떤 사상이라 하더라도 출발점을 이루는 질문이다. 서양..
경향신문김호기 연세대 교수·사회학2013. 12. 01 21:45
[김호기의 ‘우리 시대 사상의 풍경’](5) 분단시대에서 통일시대로 : 강만길과 백낙청
[김호기의 ‘우리 시대 사상의 풍경’](5) 분단시대에서 통일시대로 : 강만길과 백낙청
사상가는 기본적으로 지식인이다. 하지만 지식인 모두가 사상가는 아니다. 지식인들 가운데 독창적 지식의 방법과 내용을 일궈낸 이들이 사상가다. 이 점에서..
경향신문김호기 연세대 교수·사회학2013. 11. 24 21:56
[김호기의 ‘우리 시대 사상의 풍경’](4) 민주주의, 영원한 미완의 기획 : 최장집과 김근태
[김호기의 ‘우리 시대 사상의 풍경’](4) 민주주의, 영원한 미완의 기획 : 최장집과 김근태
‘풍경’이란 말을 인문·사회과학에서 선구적으로 쓴 두 사람은 일본의 문예평론가 가라타니 고진과 인도 출신의 인류학자 아르준 아파두라이다. 두 사람이 제..
경향신문김호기 연세대 교수·사회학2013. 11. 03 22:33
[김호기의 ‘우리 시대 사상의 풍경’](3) 발전주의의 새로운 도전 : 박세일과 김종인
[김호기의 ‘우리 시대 사상의 풍경’](3) 발전주의의 새로운 도전 : 박세일과 김종인
해방 이후 우리 사회에 부여된 가장 중대한 과제는 ‘나라 세우기’였다. 나라 세우기의 목표는 무엇보다 현대적 제도와 의식의 정착에 있었다. 모더니티의 ..
경향신문김호기 연세대 교수·사회학2013. 10. 13 22:40
[김호기의 ‘우리 시대 사상의 풍경’](2) 민족주의, 역사와 미래 사이에서: 이기백과 리영희
[김호기의 ‘우리 시대 사상의 풍경’](2) 민족주의, 역사와 미래 사이에서: 이기백과 리영희
우리 현대사에서 영향력이 가장 컸던 사상을 꼽으라면 세 가지를 지목할 수 있다. 민족주의, 발전주의, 민주주의가 그것이다. 발전주의가 산업화라는 시대정..
경향신문김호기 연세대 교수·사회학2013. 09. 29 22:47
[김호기의 ‘우리 시대 사상의 풍경’](1) 자유주의의 외로운 초상 : 최인훈과 김수영
[김호기의 ‘우리 시대 사상의 풍경’](1) 자유주의의 외로운 초상 : 최인훈과 김수영
인간과 사회를 바라보는 생각의 방법 및 내용을 사상이라고 한다. 사상은 사회발전으로부터 영향을 받는 동시에 그것을 이끌어간다. 산업화 30년에 이어 민주..
경향신문김호기 연세대 교수·사회학2013. 09. 15 22:43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