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틀집 아시나요? 전남 순천 동락헌(同樂軒)
▶이 집은 오로지 흙으로만 지었다. 목재 거푸집(담틀)을 이용해 흙을 켜켜이 다져 넣는 방법으로 벽체를 쌓아 올린 뒤 그 위에 지붕을 얹었다.
흙집 하면 누구나 시골의 초가집을 떠올린다. 흙집이 촌스럽고 투박할 것으로 지레 짐작하는 사람이 많다. 그동안 흙집에 현대적 미학을 담으려는 다양한 건축적 노력이 부족한 때문으로 보인다.
전남 순천시 상사면 응령리에 자리한 동락헌은 이 같은 흙집에 대한 통념을 깨끗하게 뒤집은 전원주택이다. 흙집이라는 고전적 건축공법을 사용했으면서도 모던한 세련미가 물씬 느껴진다. 현대적이면서도 시멘트 건물에서는 좀처럼 맛보기 힘든 독특한 감동이 있다. 최신 아파트와 유사하게 꾸민 주택 내부 평면 역시 기존의 흙집과는 전혀 다른 느낌을 선사한다.
이 집에는 정형외과 의사 박모(52)씨와 그의 아내 서모(49)씨 부부가 산다. 청·장년 시절을 순천의 아파트에서 줄곧 살아온 이들 부부는 1990년대 중반부터 전원생활을 꿈꿔 왔다. 흙집을 짓기로 부부가 결정한 것은 2006년 6월 무렵. 이후 1년여 동안의 설계와 시공기간을 거쳐 2007년 6월 드디어 집을 완공했다.
집을 짓는데 건축비로만 대략 3.3㎡당 450만원이 들었다. 택지비까지 계산해 3.3㎡당 500만원 선이다. 수입산 자재로 지은 고급 목조주택보다 조금 비싼 편이다.
그러나 부부는 건축비가 아깝다는 생각을 거의 해보지 않았다. 그만큼 흙집의 매력에 푹 빠져 산다. 우선 여름에는 시원하고 겨울에는 따뜻하다. 관리비 지출도 생각보다 많지 않다. 순천 시내 185㎡ 짜리 아파트에 사는 것과 비슷한 수준이다. 오히려 공동 관리비가 안 들기 때문에 관리비가 매달 3만~4만원 가량 절약된다.
이 집에 사는 동안 부부의 건강에도 변화가 왔다. 몸이 한결 가벼워진 것이다. 하지만 적응 기간은 좀 필요했다고 한다. 아파트 생활에 길들여진 몸이 이 집에 사는 동안 구조조정을 거치면서 겪게 된 어려움들이다.
부부는 이 과정을 낯선 집에 ‘정붙이기’로 받아들이고 있다.
글 김영태 기자 neodelhi@joongang.co.kr / 사진 월간주택저널 건축공방無
☞담틀집=담틀집은 모든 흙 건축의 기본에 해당한다. 이 공법을 응용해 대부분 흙집이 지어진다. 집을 지을 때 나무 기동과 보를 별도로 세우는 다른 흙집과는 달리 담틀집은 오로지 흙으로만 짓는 식이다.
우선 직사각형의 나무로 된 거푸집(담틀)을 이용해 흙을 켜켜이 다져 넣은 방식으로 벽체를 쌓는다. 이때 짚등을 썰어 넣는 다른 흙집 공법과는 달리 담틀집은 진흙만을 사용한다. 대신 주택의 구조적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벽체의 두께를 달리 한다. 대개 하부는 폭 60cm, 상부는 40cm 정도의 두께로 쌓는다. 점토와 사토를 잘 배합한 뒤 단단하게 다지기 때문에 집이 오래 간다. 이렇게 흙벽이 세워지면 벽체의 외부에는 소일텍을, 내부에는 느릅나무 수액 등을 바른다. 그러면 웬만한 비바람에도 흙벽이 잘 마모되지 않는다. 벽체가 완공되면 그 위에 서까래를 걸고 지붕을 얹어 집을 완공한다. 지붕재로는 대개 짚과 너와가 많이 쓰인다. 특이하게 지붕을 흙으로 마감한 뒤 그 위에 잔디를 심는 경우도 있다. 물론 이 경우 방수를 위해 별도의 시트지(sheet紙·방수포)를 깔아야 한다.
오로지 흙만을 사용해 짓는 담틀집은 사계절 집 내부의 공기가 쾌적하게 유지된다. 흙벽은 자체 공기를 품고 있어서다. 이 때문에 마치 집이 숨을 쉬듯 집안의 공기를 정화하고 온도를 유지하는 것이다. 같은 이유로 여름엔 시원하고 겨울엔 따뜻하다.
☞건축개요
프로젝트명 --------- 순천 동락헌
대지위치 ----------- 전남 순천시 상사면 응령리
대지면적 ----------- 961㎡
건축 연면적 -------- 본채 115㎡, 별채 49㎡
내부마감 ----------- 흙다짐 벽 위 느릅나무액,
천연 삼베, 실크 벽지
외부마감 ----------- 흙다짐 벽 위 소일텍,
레드차인 찬넬 사이딩 위 오일스테인
지붕마감 ----------- 잔디
설계기간 ----------- 2006.7~2006.10
공사기간 ----------- 2006.11~2007.6
건축설계 ----------- 건축공방 無(02-3672-9777)
|
피톤치드 향 가득한 편백숲 속 작은 집 (0) | 2014.01.26 |
---|---|
4인 가족을 위한 소형주택 (0) | 2014.01.26 |
분에 넘치는 집 머리에 이고 힘겨워하고 있다면... (0) | 2014.01.26 |
마음의 생채기 아물게 하는 나무 위 유토피아 (0) | 2014.01.26 |
고향 풍경에 나지막이 녹아든 ‘툇마루 집’ (0) | 2014.01.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