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기 전북교육감 선거에 대비해 ‘범민주진보 교육감후보 추대위원회’(이하 진보추대위)가 발족했다. ‘민주진보’를 내세운 전북 시민사회단체 대표자와 노동조합 대표자 등 60여 명은 14일 전북농업인회관에서 ‘진보추대위’를 발족하고 후보추대 활동을 시작했다.
진보추대위는 추대위 정책에 동의하는 모든 진보 후보에 문호를 개방하기로 했다. 또 추대위원을 광범위하게 모집해 2월말 ‘범민주진보’ 후보를 확정한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해 오는 22일 교육정책 토론회를 열어 1기 진보교육을 평가하고, 각 시민단체들이 제시하는 진보교육의 과제를 취합해 정책화하기로 했다.
진보추대위는 “그동안 일부에서는 진보추대위가 특정인에 대한 지지를 위한 모임이라고 폄훼하는 일도 있었다”고 밝힌 뒤 “우리가 제시하는 정책에 동의하는 모든 후보들에 대해 문호를 개방하고 이후 민주적 절차를 거쳐 진보교육감 단일후보를 추대하겠다”고 밝혔다. 하지만 ‘민주적 절차’는 아직 정하지 못한 상태다.
현재 최대 관심사는 진보추대위가 접촉하게 될 교육감 입지자들이다. 방용승 진보추대위 대변인은 “김승환 교육감을 비롯해 아직 출마 입장을 공표한 사람이 없는 상황이어서 특별히 언급된 대상이 없다”고 말했다. 그러면서도 접촉해볼 대상으로 이상휘 전북대 교수와 이미영 전주공고 교사를 언급했다.
추대위 체제에서 진보교육감 추대 활동은 상임대표단 중심으로 이루어지게 됐다. 진보추대위는 준비위원회에 참여한 모든 단체의 대표자들이 공동대표를 구성하고, 이 가운데 노동 농민 여성 시민사회 통일 학계 문화 종교 교육단체에서 1명씩으로 상임대표단을 구성하기로 한 것.
시민사회단체들은 지난달 17일 55개 단체 대표자들이 참가한 가운데 모임을 갖고 진보추대위 발족을 위한 준비위원회를 구성한 바 있다. 또한 준비위원회 안에 실행위원회를 둬 진보추대위 구성 방향과 실무를 위임한 바 있다.
실행위원회는 15일 각 단체들에 보내는 진보추대위 참여 제안서에서 “지난 한 달 동안 4번 회의를 거치는 동안 초기의 특정 후보를 중심으로 한 추대위 구성에 여러 가지 문제가 드러났음을 확인했다”고 밝혀 주목된다.
‘특정 후보’란 다름 아닌 현직 김승환 교육감을 지칭한 것이고, 차기 전북교육감 선거에서 김승환외 대안부재론에 입각한 일방적인 ‘김승환 추대’ 활동이 있었음을 시사하기 때문이다.
실행위는 계속해서 “1기 진보교육에 대한 공식적인 평가의 장을 거치지 않고 2기 진보교육감 추대활동을 하는 것은 성급한 진행이라는 지적이 있었다”고 밝혔다. 또한 “일각에서는 범민주 진보후보 선정과 단일화에 대한 보다 광범위한 여론 수렴 과정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제기됐다”고 밝혔다.
실행위는 이 같은 문제제기가 타당하다며 “다행히 추진위원 조직 과정에서 생산적 의견수렴을 통해 민주적이고 합리적인 추대위 활동 방향을 마련할 수 있게 됐다”고 강조했다.
여기서 ‘민주적이고 합리적인 활동’이란 △진보교육 1기, 즉 김승환 체제에 대한 평가와 토론 △추대위 참여단체 의견을 정책과제로 선정해 후보에게 제안 △각계를 망라한 폭넓은 조직 구성 △진보교육감 후보들의 교육철학, 교육개혁 과제 등 종합적 검토 등으로 요약된다.
이 가운데 가장 관심을 끄는 대목은 ‘김승환 체제에 대한 평가’다. 22일로 예정된 토론회에서 시민사회가 형식적인 평가로 김승환 체제에 다시 한 번 자유통행증을 발행할 것인지, 과오에 대한 냉정한 평가를 통해 이 체제에 쐐기를 물려둘지는 아직 알 수 없다. 김승환 교육감이 재선에 독자출마할 수도 있지만 그 가능성은 낮다.
진보추대위가 발족함에 따라 차기 전북교육감 선거를 앞두고 진보추대위와 범도민추대위 양대 기구의 세 싸움이 펼쳐지게 됐다. 이에 따라 독자노선을 고민해온 입지자들의 고민도 깊어질 것으로 보인다. 또한 새로 발족한 추대위가 ‘진보’를 배타적으로 점유함에 따라 ‘진보추대위 밖 진보인사의 딜레마’도 발생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