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지방농정 활성화, ‘논두렁 거버넌스’에 달려”

본문

“지방농정 활성화, ‘논두렁 거버넌스’에 달려”
경남농업 발전 토론회
 
 
경남도 제18회 농업인의 날 기념행사 직전에 한농연경남도연합회가 개최한 ‘경남농업 발전을 위한 토론회’.

현장 문제, 정책으로 발굴하는
                              거버넌스 형태 기구 설립 주문


국민들에게 농업의 가치를 제대로 인식시켜 지원 확대를 견인하고, 지방농정을 활성화시키려면 지역 농업현장에 중심을 둔 이른바 ‘논두렁 거버넌스’ 구축이 절실하다는 목소리다.

한농연경남도연합회(회장 김치구)는 지난 19일 창원컨벤션센터에서 ‘농업정책의 시작은 논두렁에서!’라는 기치를 내걸고 ‘경남농업 발전을 위한 토론회’를 개최했다.

주제발표에 나선 조만제 한농연함안군연합회장은 “농업·농촌·농 민은 신자유주의 피해를 고스란히 안고 고통스러워하고 있으며,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농정에서 배제됐던 농민의 의견이나 농업현장의 특이성을 적극 수용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에 ”농민과 행정 사이에 일어날 수 있는 분쟁과 이견들이 성숙된 합으로 도출되도록 완충작용을 할 수 있는 중간단계의 지원조직이 필요하다“고 피력했다.

손상재 한농연고성군연합회장도 잇단 주제발표에서 “단순한 심의기구가 아니라, 농업현장에서 대두되는 문제를 농업정책으로 발굴하는 거버넌스 형태의 기구가 절실하다”고 주장했다.

토론에 나선 김인식 경상대학교 초빙교수(전 농촌진흥청장)는 “농업의 가치는 일반국민들이 이해해야 의미가 있기에 귀농·귀촌이나 도시농업도 중요시되는 것”이라면서 “농민단체들이 역량을 결집해 아래로부터의 협치농정 실현과 국민설득에 앞장서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

김경환 지역농업네트워크 영남지사장은 “농정심의위가 지역실정에 맞는 정책을 제한할 수 있는 수준으로 혁신돼야 하며, 불가능하다면 농업회의소와 같은 조직이 중간지원역할을 맡아 지역농업계의 힘을 결집시키고 WTO체제에 정부가 못하는 다양한 활동을 수행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박상희 한농연중앙연합회 정책실장은 “농업회의소 등을 통한 협치농정은 사회적 갈등조정비용도 줄일 수 있다”면서 “일선 지자체가 보다 능동적으로 나서고, 농민단체도 역량을 쌓아야 실질적인 민간주도를 이뤄내야 한다”고 피력했다.

김치구 한농연경남도연합회장은 “이번 행사가 논두렁, 즉 현장에서 필요한 농업정책을 농민 스스로 발굴해 지역농정에 접목시켜가기 위한 디딤돌이 되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구자룡

관련글 더보기